•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8초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요인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 전기하;이주열;이지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89-898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ccording to smoking in the male workers in Gunsa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60 male workers in Gunsan from April 13 to 30, 2015. Among 460 workers, smokers were 205 and nonsmokers were 255.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ree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ur questions of subjective oral health, fourteen questions of OHIP, ten questions of sobriety test (AUDIT), and eight questions of smok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FTN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 20.0 program. Results: In the nonsmok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lcohol consumption, dental health condition, tooth pain, gum bleeding, and halitosis. The higher OHIP in the smokers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icotine dependence, alcohol consumption, tooth pain, gum bleeding, and halitosis. In order to improve OHIP, smokers are encouraged to manage gum bleeding, and non-smokers to halitosi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OHIP, cessation of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and it can lea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workers.

성인의 유산소 신체활동과 구강건강 및 구강건강행태와의 관련요인 :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Factors Related to Aerobic Physical Activity,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in Adult : Use of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정호진;김경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7-195
    • /
    • 2024
  • Purpose : Many studies hav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xercise, chronic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but few of those studies were limited to aerobic exercise. Above all, no research has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exercise and the oral health.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exercise, which is practic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exercises, and oral health in adults. Through this study, we hoped to confirm the complex impacts of aerobic exerci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ral health-related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in adults and to use these impacts as basic data on the importance of aerobic exercise. Methods : In this study, the follow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a complex sample design that applied stratification variables, cluster variables, and weights using SPSS version 21.0. Complex sample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and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rate. Then,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on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atistical analysis, missing values were treated as valid value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Results : Aerobic physical activity practice was 1.39 times higher among the respondents who brushed their teeth after lunch (p<.001), 1.43 times higher among those who used dental floss (p<.001), 1.24 times higher among those who used mouthwash (p=.040), and 1.37 times higher was among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dental treatment (p=.040),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when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is maintained, positive oral health behavior can be achieved by paying attention to oral health, and this appears to contribute to improving oral health.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nder Visiting Health Care)

  • 이근유;조영식;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5-332
    • /
    • 2015
  • 본 연구는 충남 A시 보건소 방문보건팀에 등록된 방문건강사업 대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취약계층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건강사업 대상 노인의 평균 연령은 77.1세였고, 평균 잔존 치아 수는 12.7개, 주관적 건강인지도 평균은 2.27, 일상생활점수 평균은 7.39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91.0%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GOHAI 점수의 평균은 37.36으로 나타났으며 점수가 낮았던 문항은 구강상태에 행복한 경험이 없음, 걱정이 있음, 단단한 음식을 씹을 때 문제가 있음의 순이었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GOHAI의 관계는 점심식사 후 칫솔질, 구강위생용품 사용, 무자격자에 의한 진료경험, 구강검진, 스케일링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미 충족 치과진료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GOHAI의 총점에서는 잔존 치아수(p<0.001)와 나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남성이 통증과 불편요인에서 점수가 높았고(p<0.05), 74세 이하에서 기능제한요인의 점수가 높았다(p<0.01) 잔존 치아 수에서는 통증과 불편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GOHA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p<0.05), 잔존 치아수(p<0.001), 주관적 건강 인지도(p<0.00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방문건강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평가지수 점수는 낮은 편이며 연령, 치아수, 주관적 건강 인지도와 연관성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기에, 방문건강대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치아기능 회복을 위한 보철물 제작 등 틀니 지원 확대를 위한 국가 재원 외에 지방자치단체 예산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장착된 의치 관리 및 구강건강증진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일부 한국 노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평가를 위한 핵심 음식 선택 (Key Food Selection for Assessement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me Korean Elderly)

  • 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61-369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건강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음식 문항을 선택하기 위해 대전 동구보건소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에 참가한 50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Kim 등에 의한 저작능력평가 한국음식 30종류 문항 중에서 한국 음식 섭취 빈도, 내적 일치도, 상관분석, 의사결정나무, 주성분분석, 요인분석 등을 통해서 13개의 문항으로 축약하였으며 원문항과 핵심 문항을 성별, 연령대, 치아수, OHIP-14에 따른 분석을 시행한 결과 원문항과 핵심 문항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구강건강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파악할 수 있는 13개의 핵심 문항은 단단한 음식군으로 단감, 땅콩, 깍두기, 캐러멜 4문항, 중강도 음식군으로 삼겹살, 찹쌀떡, 배추김치, 사과, 참외, 삶은 닭으로 6문항, 연한 음식군으로 생선조림, 귤, 국수 3문항이 선정되었으며, 본 문항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설문조사와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노인의 구강건강 수준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Oral Health Level on Daily Life of Elderly Women)

  • 최정옥;남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09-2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지역 여성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142명이었고, 설문법, 면접, 상담, 구강검사를 통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상생활에 영향을 받는 항목으로 평균 1.4개로 나타났고 구강건강상태는 치석제거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아잇몸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을 때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통증, 치아잇몸상태, 치석제거불량의 경우 일상생활에 불편 항목수와 빈도가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여성노인의 구강건강과 관련하여 일상생활능력이 향상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건강증진 교육의 확대와 지속적인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체계화된 구강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Korean Elderly)

  • 신수일;홍민희;심선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26-835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보건행위가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5)를 활용한 이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65세 이상 노인 8,148명을 대상으로 사회 경제상태, 건강 상태, 흡연 및 음주 습관, 스트레스 여부, 그리고 구강보건행위(칫솔질 횟수, 정기적인 치과 검진여부, 치간 세정도구 사용)를 조사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을 위해 EuroQol-5 Dimension(EQ-5D) index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학적 수준이 낮거나 고혈압, 당뇨병을 가진 노인들에서 HRQOL이 낮았으며, 칫솔질 횟수가 적거나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하지 않거나 치간 세정도구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노인들에서 HRQOL이 낮았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노인의 삶의 질에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구강보건행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구강보건행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매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해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스트레스 해소 및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포함한 융합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그러한 정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성인의 구강건강 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성: EuroQoL-5 Dimension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EuroQoL-5 Dimension))

  • 최은실;유지영;김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0-487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KNHANE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 상태와 HRQoL 관련성을 EQ5D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16~64세 성인 3,252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치아통증과 운동능력, 통증 및 불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고, 저작 불편과 말하기 불편은 EQ5D 구성요소 5가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은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 및 불편, 불안 및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어 구강건강 상태와 EQ5D 구성요소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EQ5D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변수를 보정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치아통증, 저작 불편, 말하기 불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이 불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 증진은 HRQoL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되므로,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방차원의 교육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일상활동구강영향지수(OIDP)를 이용한 교정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만족도 평가 (Assessment of d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level in patients with orthodontic treatments using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 (OIDP))

  • 김수경;기은정;김성준;문선호;장민지;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5-54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s in d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fore, during,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in the patients. Methods: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patients who completed orthodontic treatment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using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 (OIDP) to identify the relevant factor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rom observations of OIDP before, during,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ree factors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one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an before the treatment; whereas, it was dramatically dropped afterw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influential factors of satisfaction level on orthodontic treatment by setting before, during, and after OIDP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atisfaction on orthodontic trea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OIDP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on orthodontic treatment. Conclusions: The above analysis on the change in patients' d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improved after the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ly,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level on orthodontic treatment are expected to improve if they strive to maintain healthy dental health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한국 중년층 치주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riodontal Disease Patients for the Middle-aged Koreans)

  • 이은주;서순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5-116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verse factors of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s, make comprehensive and pluralistic assessment of relevant factors, construct a hypothetical model, including direct and indirect paths, and test goodness-of-fit of the model. Methods : TRaw data were used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whi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4. Excluding current patients with cancer which could sever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s who were between 40 and 64 years of age, a total of 1,555 patients were included and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Results :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health perception had total effects through direct effects and functions had indirect and total effects through the channel of health perception. Conclusions : In oral health programs for the middle-aged, it is necessary to have preventive interventions in oral health;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ven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health perception and relieve functional restrictions.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자료 활용 (The effect of restrictions on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of adults in Korea on quality of life: Using the 8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정;임차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3-182
    • /
    • 2023
  • 서론: 본 연구 우리나라 성인 청년, 중년, 장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성인의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8기 1차년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였으며, 우리나라 성인 청년 만19~29세, 중년 만30~49세, 장년 만50~6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EQ-5D, HINT-8과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로는 치통 경험 여부, 저작 불편 호소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의 구강 관련 활동 제한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차이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분산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청년, 중년, 장년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제한에 따른 EQ-5D와 HINT-8 차이는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전체 성인의 EQ-5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읍,면,동),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체 성인의 HINT-8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 성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준비된 노년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여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구강건강증진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성인구강보건사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