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education

검색결과 1,409건 처리시간 0.025초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Its Education Recognizance of Childcare Teacher)

  • 장경애;황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35-741
    • /
    • 2009
  •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경험과 인지도 및 필요성에 따라 구강보건지식정도를 파악하고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경남지역에 소재한 37개 어린이집에 있는 보육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면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장소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살펴보면 보건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필요 요구별에 따른 치주질환, 불소, 자일리톨의 구강보건지식에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참석 필요성에 따른 치주질환, 자일리톨의 구강보건지식에서 교육에 참석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참석 필요성은 높은 상관관계(r=0.874)를 보였고, 치주질환 지식항목과 구강보건교육 참석도는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345).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과 인지도 및 필요성은 구강보건 지식에 관련성이 있었고, 아이들의 구강 보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에게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초등학생 구강보건교육 수행여부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태도, 실천도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al Health Education)

  • 노은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41-246
    • /
    • 2019
  • 본 연구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1학년 때부터 3년간 년2회 구강보건교육을 반복적으로 시행한 129명과 구강보건교육을 미시행한 11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구강보건교육실시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동 점수에서는 3년간 구강보건교육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한 학교가 실시하지 않은 학교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1), 구강보건태도는 구강보건교육 실시학교에서 약간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초등학생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이 구강보건지식과 행동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치위생전문가가 상주하여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될 것이다.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 오세진;이주열;양정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5-5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e oral health promotion in university students. It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activities for life style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Methods: The subjects are 385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research Cheona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fter they filled in by themselves. SPSS ver.20.0 was used for analysis to get the reliability of each analysis tool. The genral characteristics was analysis of frequency. For comparison oral health promotion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related to the genral characteristics, it was us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rehend that affect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departments of health. dietary lifestyle was low correlated among sub factors of lifestyl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n't related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dietary lifestyle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to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To progess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f the university students, it is asked to configure the content that can handle regular lifestyle, rather than focusing on smoking habits and drinking habits.

일부지역 남자고등학생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recognition and oral health education for man high school students)

  • 유미선;구경미;김윤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98
    • /
    • 2009
  • This study did question, and got following conclusion to ready necessary basic data to develop school oral health educational programs because grasp 388 man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Namwon per June, 2008 realization about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actual conditions. 1. Students of 56.7% recognized own oral health as is not healthy in realization about subjective oral health, and students of 72.2% were interested in oral health, and was recognizing oral fitness by important health problems. 2. Oral health realization by cla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brushing reason, cause of dental caries,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Students who respond that know adjusted water fluoridation did only for 10.3%, and it was 43.0% of students who responded that students of 57.0% do toothbrushing because of draft cleanliness, and responds that cause of dental caries is food dregs. 3. Responded that 87.1% is right toothbrushing by oral disease preservative, and next time was on-time oral medical examination 79.4%, smoking resection 58.5%, sugar intake limitation 55.4% round. 4. Students, who oral health education by interest degree of oral health is interested in oral health, is oral health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need rat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high when educate.

  • PDF

일부 어린이집 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및 관리 (Oral Health Awareness and Management of Day Care Teachers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 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407-415
    • /
    • 2016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유아들의 구강보건교육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융합적 요소들을 고려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2015년 1월 5일부터 23일까지 조사하였으며, SPSS 19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강보건교육 경험 교사들은 58.9%로 구강보건교육 실시는 62.3%였고, 구강보건교육 회수는 1회가 42.9%였다. 구강보건교육 경험 교사들의 49.8%가 잇솔질 지도 감독을 하였다(p<0.05). 유치 건강의 중요성과 관리의 필요성(p<0.01), 치아홈메우기(p<0.01), 올바른 잇솔질,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교육의 필요성(p<0.01)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어린이집 교사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과 초등학생의 구강보건행태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Mothers and Dental Health Belief of their Children)

  • 김영희;송근배;이성국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3-92
    • /
    • 200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erify various relations between dental health belief and related behaviors in mothers and children.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by 264 pairs of 1st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self develop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are made on the general socio-economical characteristics,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behaviors relative to the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as to how mothers implement the oral health related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while for the children,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measured relative to the oral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for the children. The obtained results have shown that mothers become with more ages, the usefulness to prevent children's oral diseases becomes lower, and as much as mothers have higher education level, the sensitivity relative to the oral diseases has been measured low. To the degree that the students live well in economical respect, it has been found that they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oral health. As much as the number of mothers tooth brushing becomes made more in a day, the tooth brushing of the children becomes more that much, and also has higher level of oral health beliefs. The number of children to see dentists has been found high, and to the extent of increasing frequency of visiting dental clinics. As the number of mothers tooth brushing education becomes made more frequent for the children. Also, as mothers put more restriction on the sugar intakes by the children, they placed higher importance on the oral health for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oral health behavior in mothers' influence on dental health belief of their children, it has been reviewed necessary to activate more the mother-children joint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projects that mothers and children take part together, as well as to study more in accurate and systematic approaches through more comprehensive and various subjects and elements further in the future.

당뇨병 노인환자의 구강보건교육 시 고려사항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 (Analysis of considerations in oral health education for elderly diabetic patients: Focus group interview)

  • 김지화;이혜경;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51-558
    • /
    • 2022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일반인과 당뇨병 진단을 받은 자를 대상으로 그룹 인터뷰를 통해 구강건강과 구강보건교육 시 고려사항을 파악하고자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 노인종합복지관을 방문하는 65세 이상 건강인 5명과 당뇨병 환자 5명을 2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 당 60-70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핵심 주제는 '당뇨병과 구강질환과의 연관성에 관한 지식',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관리 방법', '구강보건교육 시 고려사항' 4가지의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건강인들은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이 치주관리방법, 임플란트, 전체적 구강관리, 전신건강이라고 대답하였고, 당뇨병 환자들은 당뇨병, 치주관리방법, 구강관리실천의 중요성이라고 대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당뇨병 노인환자을 대상으로 맞춤형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QscanTM을 이용한 노인 구강보건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 김미;이수영;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5-563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elderly using $Qscan^{TM}$.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arried out by oral health education from January 17 to March 7, 2015. The subjects were 64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ho had more than one remaining teeth in the anterior teeth and canines living in Hongseong-gun and assigned to 33 control group and 31 intervention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was measured only by $Qscan^{TM}$. The educational effect between two groups were evaluated using oral health behavior, gingivitis index, and plaque index. After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Namseoul N University, the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lower plaque index of percent red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ingival index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p<0.05),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al health behavior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p<0.05). Conclusions: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motivation of $Qscan^{TM}$ was very effective in the comparison of oral health behavior,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요양보호사의 노인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 workers on the geriatric oral health)

  • 김기욱;김지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15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정도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구강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발전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D광역시 소재 노인요양시설(10개소)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63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를 SPSS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요양보호사들의 구강보건지식은 총점 26점 만점에 20.09점(77.2%)로, 가장 높은 지식은 '올바른 칫솔질 방법' 93.0%, 가장 낮은 지식은 '구강보조용품사용 지식' 58.1%로 조사되었다.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는 사람이 구강보건교육 요구도가 높았으며 (P<0.001), 구강보건교육경험횟수가 많은 사람이 구강보건지식(P<0.001), 요구도(P<0.01), 인지도(P<0.05)가 높아 유의하였다. 요양보호사들의 구강보건인식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구강보건지식점수(P<0.01), 구강보건교육 요구도(P<0.01)가 높을수록 구강보건인식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의 구강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지속적, 실질적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의 담당자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필요 할 것으로 전문 인력의 배치를 위한 국가의 제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6-213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