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exercise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노인의 건강요인 및 구강건강요인과 우울증 유병여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factor, oral health factor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n elderly)

  • 전주연;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63-97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factor, oral health factor and 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elderly by data from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2. Methods: The subjects were 10,938 elderly over 65 years old by rolling survey method and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2. Data of 1,421 elderly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using kstrad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factors, oral health factors and depression. The oral health factors included subjective perception of oral health, alcohol consumption, exercise, smoking, and toothache. Results: Health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ere subjective health(p<0.001), stress(p<0.001), and alcohol consumption(p<0.05). Oral health factor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ere subjective oral health(p<0.05), annual dental checkup(p<0.01), and speaking problem(p<0.01).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and help them maintain good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 특성과 우울의 관련성 :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분석 (Effect of oral health on depression : an analysis of the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

  • 신애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5-40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program to improve depression through oral health management. Methods: Data was obtained from the 2021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experience relative to general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d their oral health. To determine the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software (version 9.4). Results: Th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on may be influenced by gender, age, household generation, drinking habits, subjective health level, moderate to high exercise, breakfast,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chewing discomfort, and tooth brushing. An increasing level of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1.34 times), uncomfortable chewing (3.08 times), and frequency of toothbrushing after lunch or before going to bed (1.23 times and 1.58 times,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study confirm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mental health. In developing health programs for improving depression, appropriate oral health care should be considered.

운동강도와 지속시간에 따른 트레드밀 운동이 비만 쥐의 심장근 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tioxidative Change in Cardiac Muscle of Obesity Rat by Treadmill Exercise with Intensity and Time)

  • 김명희;김용억;윤창륙;유지원;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35-51
    • /
    • 2013
  • 트레드밀 운동이 비만 쥐의 심장근 내 항산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흰쥐에 6주 동안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발시킨 뒤 운동강도와 적용시간을 달리하여 트레드밀을 3주 동안 적용하였으며, 체중변화, 혈중지질성분, 조직학적 변화, 심장근 내 항산화 효소와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2마리를 사용하여 각각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군 (normal), 비만 대조군 (control), 비만 쥐에게 고강도 분할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Experimental I), 비만 쥐에게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 (Experimental II)로 나누었다. 실험 결과 첫째, 체중변화는 고강도 분할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과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p<0.001). 특히, 운동을 적용한 1주에서 3주까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혈중지질성분 수치는 고강도 분할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과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는 대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질의 유의한 감소, 고밀도 지단백질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p<0.001). 셋째, 심장근의 조직학적 소견은 심장근에서 아교질 형성과 평활근 섬유의 정렬 상태와 밀집도, 심장근 세포크기가 중강도 지구력 운동 적용한 실험군 II에서 정상군과 비슷한 형태인 근육들이 잘 밀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섬유아세포, 염증세포들의 침윤 등이 고지방 식이 유발 쥐인 대조군과 고강도 분할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에서 가장 심하였으며,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는 대조군에 비해 섬유아세포, 염증세포들의 침윤 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넷째, 심장근의 항산화 효소 SOD(superoxide dismutase), CAT(catalase), GPx(glutathione peroxidase) 수치는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와 고강도 분할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p<0.001). 다섯째, 심장근의 항산화 단백질 MCP-1 발현 수치는 고강도 분할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과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 모두에서 감소가 있었으며 (p<0.01), 특히, 중강도 지구력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I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p<0.001). 따라서, 중강도 지구력 운동은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쥐의 심장근 내 항산화에 영향을 주어 비만 개선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심장근육 손상 감소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침흘림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중재방법에 관한 고찰: 경향 및 중재방법 분석 (Review of Non-invasive Interventions for Drool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rends and Analysis of Interventions for Drooling)

  • 전주영;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37-5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주로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비침습적인 치료적 중재와 침흘림 측정방법의 경향 분석 등에 대한 국외 문헌들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최근 15년 간(2005-2019) 국외 논문을 검색하여 총 26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1차 제목 및 초록을 중심으로 44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2차 원문 검색을 통해 10편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논문의 PEDro Scale은 평균 6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가 주를 이루었고, 행동수정에 비해 구강감각운동의 치료적 중재가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다.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방법은 대상자의 나이, 인지수준, 대상자 수, 연구설계, 치료시간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흘림 측정방법은 빈도와 심각성을 동시에 확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실시한 비침습적인 중재 중 대표적인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통해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치료를 통한 침흘림 프로그램 계획 시 적절한 치료적 중재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저작기능장애의 구강근기능훈련이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Myofunctional Exercise on the Oral Health in Masticatory Dysfunction)

  • 오나래;윤성욱;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5-463
    • /
    • 2019
  • 본 연구는 최종대상자는 5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29명, 대조군26명을 배정한 후, 실험군에게 구강안면프로그램을 교육하여 저작기능을 향상 시킴으로써 집단 간 구강위생 및 실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프로그램 효과분석은 프로그램 전-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의 평균 사후 $9.57{\pm}1.4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8.68{\pm}1.46$점으로 실험군의 OHBI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p<0.05)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QHI 점수는 평균 사후 $1.00{\pm}.1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1.03{\pm}.23$점으로 실험군의 QHI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실험군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점수는 $4.13{\pm}.17$점 이었고 대조군은 $3.94{\pm}.2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는 집단 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건강행동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을 저작기능의 향상과 구강위생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입체조 프로그램의 객관적 효과와 만족도 조사 (Objective Effects and Satisfaction of Mouth Gymnastics Program)

  • 장경애;황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8-395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에 있어서 입체조 운동의 효과와 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47명의 실험군을 12주 동안 주 2회 입체조 운동을 하였고, 39명의 대조군은 물리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타액분비량은 실험군이 0.075 ml로 대조군 0.046 ml보다 높았다. 최대 개구량은 실험군이 4.12 cm로 대조군 3.92 cm보다 높았다. 구강 교호 운동량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각각 초당 1.69 회와 1.65 회로 나타났다. Kaiser 정규화와 함께 Quartimax법에 의한 주성분 분석 결과는 입체조 프로그램에 대한 유행 예측도가 높아 노인의 구강건강을 위해 앞으로 입체조 프로그램이 많이 사용되리라 예상이 된다. 상관분석 결과 입체조 프로그램이 타액분비량을 증진시키므로(r=.592) 노인의 구강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극 권장될 필요가 있다. 입체조를 어려워하는 노인에 대해 좀 더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추후 구강운동이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고령화 시대 노인의 건강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의 구강위생행태와 주관적 구강건강 형태에 대한 분석 (Oral hygiene form and the subjective health analysis of the elderly)

  • 김욱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9-19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the fundamental data on oral hygiene of the elderly and to assess the behavior of oral hygiene, subjective oral health, oral health problem among the elderly, and to contribute to successful enhancement of life in their declining years. Methods: The author surveyed the behavior of oral hygiene, subjective oral health, oral health problem to 192 elderly at a health center of Busan using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Nov. 2nd 2009 to Feb. 10th 2010.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 18.0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production, ${\chi}^2$ (Chi-square)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otal subjects by oral health behaviors were 56.8% for "have ever trained how to tooth brushing", 76.6% for "correctly performed tooth brushing by himself ", 71.8% for "tooth brushing a day is two times and less", 87.5% for "it doesn't tooth brushing in meals and after" and 53.6% for "it doesn't use the facility for oral health",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total subjects by the state of perceived oral health were 51.0% for "feel the oral discomfort", 51.6% for "feel the comfortable chewing on starchy food", respectively. The mean point of perceived oral health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otal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type of medical insurance, smoke, exercise, and chronic disease. The mean point of perceived oral health by oral health behaviors of total subj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experience on tooth brushing, recognition for tooth brushing by himself, tooth brushing a day, and tongue cleaning. The risk factors of perceived oral health were type of medical insurance and chronic disease in general characteristics, tooth brushing in meals and after and tooth brushing a day, and tongue cleaning in oral health behaviors. Conclusion: The author recommend to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arry out the tooth brushing in meals and after, three times and over tooth brushing a day and tongue cleaning for oral health. and the author consider that it need to prepare the active countermeasure to oral health such as reeducation for oral health and supply to the tongue cleaner.

유아교육학과 학생의 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지식이 구강보건인식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Convergence effect on oral Health Awareness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윤성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1-78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교육(학)과 학생들의 유아구강보건교육과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지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대구,경북 5개 유아교육학과 학생 314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구강보건인식 5점 척도 평균 3.62로 여학생, 3학년, 운동자, 구강건강상태인식과 유아구강보건교육경험이 높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지식 15문항 정답률 평균 9.63으로 여학생, 3학년, 비흡연자, 유아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우, 유아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함에 응답한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인식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Y(구강보건인식)=2.350+0.242(운동)+0.387(구강보건교육)+0.134(유아구강보건교육경험)+0.067(구강보건지식)로 분석되었다. 유아구강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유아교육학과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지식을 높이기 위한 유아구강보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저작기능장애자의 구강근기능훈련이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myofunctional exercise on the oral health in masticatory dysfunction)

  • 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81-282
    • /
    • 2019
  • 본 연구는 저작기능장애자 56명을 대상으로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 인해 이로 인한 구강위생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한 집단과 대조군이 치면세균막지수, 구강건강행동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육프로그램을 구강보건교육의 동기부여를 위한 도구로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테이핑 또는 시각적 피드백을 병행한 드로우-인 교각운동이 복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aw-In Bridge Exercise with Taping or Visual Feedback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 배원식;이화경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7-186
    • /
    • 202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oral instruction and taping to induce abdominal draw-in in the previous study,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comparison of effec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tudy how the effect of oral instruction, taping, and no feedback can affect muscle activity when performing abdominal draw-in pier exercises. Methods : Before the experiment, group A trained piers and applied only draw-in piers, group B applied taping feedback, and group C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er week for six weeks, and three sets of contractions for five seconds per group were performed five times, and a minute break was provided between each exercise. As a measurement tool, a wireless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easure surface electromyography (Telemyo-DTS, NORAXON, USA) that derives a synthetic unit of muscle using a surface electrode.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data, th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SPSS/PC Version 25.0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a=.05 Results : First, the duration was somewhat shorter in order to more accurately compare the muscle activity of the core muscles. Therefore, future research needs to be research that can be exercises with precise biofeedback and taping appli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Secondly,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ince the subjects were studied in healthy young adult men and women, not patients. Thirdly, they could not control the daily life of the subjects.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activity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by adding ultrasound in addition to muscle activity in various age groups. Conclusion : During draw-in bridge exercise according to feedback, the muscle activity of the back muscle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back muscle according to each feedback. Therefore, both the feedback applied during the draw-in pier exercise and the control group are effective in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