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Impact Profil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초

자활 참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of Workers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 홍민희;이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76-185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 대구 4곳의 지역자활센터 프로그램 참여 근로자 415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5일~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은 자활 참여 근로자들의 구강 증상을 살펴보고 심리적 불안의 매개변수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구강건조증, 악관절, 치주 질환 증상 모두 구강건강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불안 요인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주관적 구강 증상 경험은 부정적인 불안 상태로 이어져 구강건강 삶의 질을 더욱 저하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추후 자활 근로자들을 위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 확대 및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 -경남지역 남성 성인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Factor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f workers -Industrial workers in Gyeong-Nam province-)

  • 차정단;장경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04-4611
    • /
    • 2012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신건강지수, 연령, 식생활 행동, 구강건조증의 4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중 전신건강지수와 식생활 행동은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과 구강건조증은 부적 영향을 미쳐, 전신건강지수가 높고, 좋은 식생활 행동을 가질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으며, 연령이 낮고, 구강건조증이 없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힘을 써 구강질환이 발생되기 전에 예방하고 나아가 근로자의 건강과 구강건강영향지수를 향상 시켜야 할 것이다.

중증 장애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 배미정;황세현;김성애;이지영;윤정애;박정현;엄상화;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1-475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5 severe disabled people in Busan and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by direct interview with the severe disabled persons from June to August, 2011.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Data were analyzed by SAS version 9.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ive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problem, seven questions of K-ADL, ten questions of K-IADL, fourteen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severely disabled's IADL was $19.9{\pm}7.8$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17.5{\pm}1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losely related to multiple disorders and IADL. Conclusions: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poor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with self-supporting tools that help ADL and IADL.

당뇨병노인의 구강환경과 자가간호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Environment and Self-car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 성기월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192-20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al environment and self-care behavior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0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and follow-up care on their outpatient clinic in D and G city. Data were collected September-December 2018, using questionnaires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 and Kim's Self-care Behavior, measuring with the tooth-pick (Premiers Dental), Halitosis Checker (HC-212M), and Moisture Checker for Mucus (MCM) for oral environm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e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n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Result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behavior (r= .61, p< .001), negative correlations among halitosis (r = -.34, p< .001), gingival index (r = -.31, p= .001) and plaque index (r = -.32, p= .001). Self-care behavior (β= .46, p< .001), subjective health status (good) (β= .23, p= .002), halitosis (β= -.16, p= .030), and plaque index (β= -.15, p= .041) explained 46.0% of the variance i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care for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that can enhance the self-care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ower halitosis and plaque index,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Teeth, Salivary Flow Rat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 Lee, JooHee;Jung, Hyo-Jung;Min, Yong-Guang;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4호
    • /
    • pp.131-135
    • /
    • 2021
  • Purpose: Depression is a condition that weakens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reduces quality of life. In Korea,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s 29.2% and depression is a considerable public health concern for the elderly. Depres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al conditions such as number of teeth and salivary flow rat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is the concept including subjective evaluations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spects of oral health. Tooth loss and hyposalivation can affect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r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teeth, salivation,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We recruited 100 participants, aged over 65 years, and assessed their number of teeth,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ll participants filled out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OHIP-14) and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ore (SDS) for checking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R program. Results: We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HIP-14 and SDS after Mann-Whitney test (p=0.03). The lower SDS group had an OHIP-14 median score of 4.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SDS group had a median value of 7.5. The other factors (number of teeth and salivary flow rate)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OHIP-14 or SDS. Conclusions: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군인과 일반인에서의 우울감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분석 (Comparison of depression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military personnel and public)

  • 김명희;황영선;김태미;백설화;이주현;이경애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8
    • /
    • 2019
  •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depression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litary and public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The respondents were 278 soldiers and 228 general people of similar age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soldiers and the public. The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eneral population than in the military personnel (p<0.001). In contrast,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better in the general population than in the military, but without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6). Among soldiers, the military rank wa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depression, showing a gradient based on the rank.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type of work display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As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comparative analyses of the general population groups with similar soldier groups are rare. This study encourages future investigations of the advancements in mental health and improvement programs for oral health in each group.

일부 보육교사들의 구강건강인식, 구강건강행위, 자아존중감 및 OHIP-14와의 연관성과 영향요인 (Corre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 self-esteem and OHIP-14 in childcare teachers)

  • 이성림;곽정숙;최정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1-269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s, self-esteem and OHIP-14.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313 childcare teachers in Jeonnam from June 4 to 14,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4 questions of occupation, 1 ques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1 ques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articipation. The instrument for awareness and behavior of oral health were modified and consisted of 10 questions of awareness and 10 questions of behavior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was 0.718 in awareness and 0.812 in behavior. Instrument for self-esteem was modified from Rosenberg. Self-esteem questionnaire consisted fo 5 questions of positive answers and 5 questions of negative answers by Likert 5 scale. Cronbach's alpha in self esteem was 0.846 in the study. Oral Health Impact Profile-14(OHIP-14) was adapted from Slade by Likert 5 scale and consisted fo 14 questions. Cronbach's alpha was 0.934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chi square tes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multiple range test, Pearason's correlatio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Result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r=0.502), and self-esteem(r=0.332), but negative correlations with OHIP-14. Oral health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steem(r=0.230). The factors on oral health awareness were high oral health behavior and self esteem, low OHIP-14, and ac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Self-esteem was closely related to high with high oral health awareness. low OHIP-14, low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Childcare teachers play the ver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continuous education.

자활프로그램 참가 근로자들의 우울 수준과 구강 증상이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Oral Symptoms o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ting workers)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11-519
    • /
    • 2021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자활프로그램 참가 근로자들의 우울 수준과 구강 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자활 근로자 569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6일부터 9월 5일까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우울 수준, 잇몸 지수, 주관적 구강 증상, 구강 건강 삶의 질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전신질환이 있는 근로자에서 우울 수준, 잇몸 지수, 구강 증상, 삶의 질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은 잇몸 건강, 구강 증상, 구강 건강 삶의 질 모두 부정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우울은 잇몸 건강, 구강 증상, 구강 건강 삶의 질과 부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우울, 잇몸 지수와 구강 증상은 구강 건강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구강 증상이 구강건강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자활근로자는 구강 건강에 취약하므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관리를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계속구강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개선이 필요하다.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 삶의 질 (Oral health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behavior of oral care)

  • 심재숙;이미라;강윤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43-350
    • /
    • 2016
  •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북 소재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9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5.3%가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이 없었으며, 82.6%가 1년 이내 치석제거를 받지 않았고, 68.2%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HIP-14는 학년, 건강보험 가입여부, 유학생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OHIP-14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과 치석제거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구강건강 상태와 1년 이내 치석제거 경험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인 유학생들의 구강건강 문제 발생 시 의료기관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자국어 번역 안내서 및 의료 전문 통역자의 배치와 대학 차원에서 학교구강보건실의 운영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구강보건교육이 요구된다.

노인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 김미화;김경원;이경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88-494
    • /
    • 2014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일개 도 농 복합시의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사업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로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설명하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OHIP-14 설문 문항은 5점 만점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우식증 개수가 적을수록, 잔존치아 수와 일일 칫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의치를 장착하지 않은 그룹에서 구강건강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2.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제한 점수는 학력이 높을수록 적었다. 신체적 동통 점수는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신체적 능력저하는 학력이 낮을수록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3. 구강건강상태와 칫솔질 횟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제한과 신체적 동통, 정신적 불편,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점수는 치아우식증 개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잔존치아가 많을수록, 의치장착을 하지 않은 그룹에서 삶의 질이 좋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충치의 개수와 의치장착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의 수준과 노인들의 삶의 질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나이가 들더라도 잔존치아 수를 많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의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