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백년초 분말을 첨가 제조한 양갱의 항산화활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tive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Beaknyu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4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s ratios of 1%, 3%, 5%, 7% to the tot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H of yanggaeng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p<0.001). Increasing the amoun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in the yanggaeng tended to increased $^{\circ}Brix$ value (p<0.01). For color values, lightness (L) values were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redness (a) and yellowness (b) while valu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Texture measurement scores in terms of hardness, springness, and Adhesiveness for yanggaeng showed that sample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hesivene and chewiness were higher in the additiv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tioxidant activities, evaluat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Nitrites 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creased when increased the amoun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p<0.001).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some attributes such as the intensity of the color, sweet, hardness and chewiness increased (p<0.01). It concluded that yanggaeng containing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can be prepared with good sensory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addition of 3%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was found to be ideal.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color, od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groups with 3%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dition of 3%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may be the best substitution ratio for yanggaeng.

백년초 분말 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정현숙;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0-205
    • /
    • 2003
  • 백년초 분말을 각각 0%, 0.05%, 0.1%, 0.3% 및 0.5%의 비율로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수분함량, 색상 및 기계적 texture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백년초 첨가 국수의 수분함량은 모두 32∼33%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국수 대조구의 색상은 명도(L치) 74.21,적색도(a치) -2.40, 황색도(b치) 5.52였으며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치)는 감소하며, 적색도(a치)와 황색도(b치)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백년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의 강도, 견고성, 부서짐성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백년초 첨가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0.3%와 0.5% 첨가군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기호도를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국수의 기호도는 촉촉한 정도, 부드러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백년초 0.3%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관능검사결과를 종합하면 국수 제조시 적정한 백년초 분말 첨가량은 0.3%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Beaknyu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 조아라;김나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7-11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aknyu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Sponge cakes containing 0, 1, 3, and 5% of powder were prepared and stored for three days at $20^{\circ}C$. The volume of sponge cake increased up to 1%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ded powder, while the pH level decreased as the amount of powder increased. The edible period of the products could also be extended by the addition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however, the lightness of crust and crumb was weaker as the amount of powder increased. Rednes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herea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wder. In a sensory evaluation of the overall acceptance, the highest scores were for treatment with 1%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during storage periods.

손바닥 선인장 분말로부터 추출된 항균물질의 특성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Material Origin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 김해남;조대원;윤웅찬;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15-922
    • /
    • 2007
  • 본 연구자들은 동${\cdot}$서양에서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고, 문헌에도 약리적인 작용이 기록되어 있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손바닥 선인장, 백년초) 줄기 분말을 사용하여 항균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줄기 분말을 황산으로 가수분해 처리한 후 메탄올, 메틸클로라이드,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다. 용매추출물 가운데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 가장 탁월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분석하기 위하여 조제용 TLC를 이용하여 산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7개의 분획물을 분리하였다. 7개 분획물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분획물로 분리된 것을 MBT-01108이라 명명하였다. 산가수분해로 추출된 분획물 MBT-01108을 구조 분석한 결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levulinic acid임을 밝혀냈다.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로부터 분리된 levulinic acid는 식품 또는 화장품의 천연 보존제로써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되며, 또한, 세균성 질병예방, 여드름, 노화 예방, 미백 화장품 성분, 그리고 항생제로도 사용 가능한 물질임을 밝혀냈다.

백년초 분말 첨가가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 진상근;신대근;허인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25-134
    • /
    • 2011
  • 본 연구는 백년초 분말 첨가가 아질산염의 대체를 통한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아질산염 및 백년초 분말 무 첨가구), T1(0.014% 아질산염 첨가구), T2(0.014% 아질산염 + 0.5% 백년초 분말 첨가구), T3(0.014% 아질산염 + 1.0% 백년초 분말 첨가구), T4(0.5% 백년초 분말 첨가구) 및 T5(1.0% 백년초 분말 첨가구)로 처리하며 소시지를 제조하였으며 $4^{\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을 통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CIE $L^*$값은 대조구가 다른 모든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CIE $a^*$값은 T5 처리구가 T1과 T3 처리구의 중간 값인 10.84-11.30 범위를 나타내었다(p<0.05). 황색도를 나타내는 CIE $b^*$값과 보수력 및 조직감을 나타내는 응집성, 탄력성 그리고 씹힘성은 T5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5). 이에 반하여, 수분함량, pH 및 백색도를 나타내는 W값은 T1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T1과 T5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따라서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0.014% 아질산염의 소시지내 첨가는 1.0%의 백년초 분말로 대체시 조직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적색도를 높일 수 있는 소시지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련초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의 Salmonella와 Escherichia coli O157 : H7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 Made by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gainst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O157:H7)

  • 김소현;권남훈;김지연;임지연;배원기;김준만;노경민;허진;정우경;박건택;이종은;라정찬;박용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1-78
    • /
    • 2002
  • 항생제 및 항균 물질 등의 오, 남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균들이 등장,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물이나 probiotics 등과 같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오래 전부터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어 오던 백련초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를 이용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Salmonella enteyica serova. Enteritidis (S. enteritidis), S. enterica serova. Typhimurium (S. Typhimurium) DT104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능을 평가하였다 백련초의 수용액이 포함된 Moulter Hinton agar에 Salmonella spp. 및 S. coli O157:H7를 접종한 결과 이들 균에 대한 억제능(inhibitory activity)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련초 제제를 경구투여한 군에서 분변으로 배출되는 S.typhimurium DT104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낀 후에는 더 이상 분변으로 균이 배출되지 않았으며, intestinal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백련초가 in vitro에서 S. enteritis, S. Typhimurium DT104와 E. coli O157:H7대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역시 Salmonella에 대한 항균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백련초 및 그 성분을 이용한 병원성 세균의 제거 및 면역 증진 효과 등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그 응용 가능성도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손바닥선인장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생리활성(III)-흰쥐의 알코올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Fruit and Stem of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III. - Effects on Subacute Alcoholic Hyperlipidemia in Rats)

  • 이정규;문영인;박희준;한용남;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238-244
    • /
    • 2002
  • The extracts from stem and fruit of Cactus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were applied to confirm the antiatherosclerotic effects in subacute alcoholic hyperlipidemic rats. It was observed that several indications of hyperlipidemia were prevented or changed by the treatments of the extracts but activities of hepatic HMG-CoA reduct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were not affected, which suggest that the extracts may promote the fecal excretion and delay the absorption of alcohol in hyperlipidemic rats.

손바닥선인장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생리활성(II)-흰쥐의 식이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Fruit and Stem of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II.-Effects on Dietary induced Hyperlipidemia)

  • 이정규;이영철;문영인;박희준;한용남;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230-237
    • /
    • 2002
  •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Cactaceae) is widely used as folk medicine for burned wound, edema and indigestion. To confirm the hypolipidemic action of the extract from Cactus stem and fruit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variations of the lipid- or cholesterol-related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As results these changes were significantly prevented by treatments with Cactus extracts. The effects of the extract of fruit was better than those of stem.

Monoamine Oxidase B Inhibitors from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Han, Yong-Nam;Choo, Yeun-Su;Lee, Young-Chul;Moon, Young-In;Kim, Sung-Dae;Choi, Jong-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51-54
    • /
    • 2001
  • Three varieties of methyl citrate and 1 -methyl malate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through in vitro bioassay-guided isolation for the inhibition on monoamine oxidase(MAO). The $IC_50$ values for MAO-B of 1-monomethyl citrate, 1,3-dimethy citrate, trimethyl citrate and 1-methyl malate were 0.19, 0.23, 0.61 and 0.25 mM, respectively. However, on MAO-A, their inhibitions showed only marginal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