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1초

손바닥 선인장의 성분 특성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 이영철;황금희;한동휴;김성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47-853
    • /
    • 1997
  • 손바닥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여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인장과 알로에의 주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이었다. 총무기질 함량은 선인장 줄기, 열매와 씨가 각각 9400.8, 6151.2와 1096.8 mg%이며, 주요 무기질은 Ca, P, Mg이었다.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선인장 열매인 경우 tyrosine, proline과 arginine이, 줄기는 glycine과 arginine이 씨의 경우 glutamic acid이었다. 총 아미노산중 주요 아미노산은 열매의 경우는 glutamic acid가, 줄기는 glycine과 arginine이었으며, 씨는 glutmic acid와 arginine이었다. 비타민 C는 열매와 줄기가 각각 163.8과 71.2 mg% 존재하나 씨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비타민 A는 모든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방법에 따라 다르며,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경우 선인장 열매가 줄기와 씨보다 함량이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줄기와 열매에서 비슷하였다.

  • PDF

백년초가루 첨가 백설기의 품질특성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 정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7-642
    • /
    • 2004
  • 백년초 가루를 각각 $ 0\%,\;0.05\%,\;0.1\%,\;0.3\%$$0.5\%$의 비율로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여 백년초가루 첨가에 따른 일반성분, 수분함량, 호화도, 색상, 기계적 texture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백년초 가루 첨가 백설기의 수분함량은 대부분 $37\~39\%$ 정도로 일반 백설기의 수분함량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pH는 산성을 나타낸 편으로 백년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호화도는 백년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상은 백년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치)는 감소하며, 적색도(a치)와 황색도(b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결과, 응집성(cohesiveness)과 탄성(springness)을 제외한 강도(Strength), 견고성(Hardness), 부착성(Adhesivness) 및 검성(gumminess)은 대조군이 가장 높고 백년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은 $0.3\%$ 첨가군인 C군이 가장 높아 백년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하면 기호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향기, 삼킨 후의 느낌과 종합적인 기호도 역시 C군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백년초 가루 첨가 백설기 제조 시 적정한 백년초 가루를 $0.3\%$ 첨가하는 것이 관능평가 상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Constituents of the Stems and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Lee, Eun-Ha;Kim, Hyoung-Ja;Song, Yun-Seon;Jin, Chang-Bae;Lee, Kyung-Tae;Cho, Jung-Sook;Lee, Yong-Sup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2호
    • /
    • pp.1018-1023
    • /
    • 2003
  • From the stems and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ight flavonoids, kaempferol (1), quercetin (2), kaempferol 3-methyl ether (3), quercetin 3-methyl ether (4), narcissin (5), (+)-dihydrokaempferol (aromadendrin, 6), (+)-dihydroquercetin (taxifolin, 7), eriodictyol (8), and two terpenoids, (6S,9S)-3-oxo-$\alpha-ionol-\beta$-D-glucopyranoside (9) and corchoionoside C (10)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mean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Among these isolates, compounds 3∼5 and 8∼10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stems and fruits of O. ficusindica var. saboten.

백년초열매 분말 첨가 컵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pcakes Added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 김나영;조아라;정수지;김경희;이효정;이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백년초 분말의 1, 3, 5% 첨가가 항산화성 및 컵케이크의 품질과 관능적 기호도, 저장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여 제품화의 최적조건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백년초 분말의 각 농도에 대한 전자공여능 실험결과 백년초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백년초 분말과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컵케이크에서의 미생물 분석 결과 효모, 곰팡이,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고 일반세균은 백년초 분말에서 4.41 log CFU/g로 나타났고 컵 케이크에서는 검출한계 ($10^2$ CFU/g) 이하로 나타났다. 컵케이크의 수분함량은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구가 첨가하지 않은 구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rust와 crumb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물성은 백년초의 첨가 및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견고성(hard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이 증가하였고 응집성(co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은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 및 1% 백년초 분말 첨가 컵케이크가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 인 기호도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백년초 분말을 컵케이크에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저장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컵케이크의 품질 및 관능특성, 기능성을 고려할 때 1% 첨가구가 최적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도 민속식물인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L.) Mill.)의 분류학적 검토 후 명명 (A Taxonomic Review and Nomenclature of the Opuntia ficus-indica (L). Mill. in Jeju Island)

  • 양영수;최병기;오홍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8-73
    • /
    • 2020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선인장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비교를 통하여 종을 분류하고 오동정을 바로잡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제주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온 Opuntia ficus-indica 또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은 Opuntia stricta인 것으로 밝혀졌다. 종의 형태학적 비교에서 O. stricta는 기존 보고 종에 비해 식물크기, 엽상경의 형태, 꽃과 열매의 색, 자좌의 특징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분류군의 학명을 Opuntia stricta로 정정하고, 국명으로 '해안선인장'을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양한 연구문헌 및 국가 생물다양성 운영기관에서도 종의 오동정를 확인하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손바닥 선인장의 항산화 및 항균특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 정해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66
    • /
    • 2000
  • 손바닥 선인장 열매를 극성을 달리하는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95% ethanol과 methanol을 사용하였을 때 우수하게 나타났고 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다.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크게 증가하였고 열에 대한 안정성 시험에서는 40~12$0^{\circ}C$의 범위에서는 안정하여 동일한 항균력을 유지하였으나 16$0^{\circ}C$ 이상에서는 그 활성이 상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그람양성균은 3.0~4.5 mg/ml 첨가 범위에서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그람음성균은 본 실험에서 사용한 첨가농도로는 완전한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손바닥 선인장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water 등의 용매로 순차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분획이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검색되었다.

  • PDF

손바닥선인장 줄기 m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Methanol Extract)

  • 김해남;권도훈;김해윤;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9-286
    • /
    • 2005
  •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한의학에서 항염증 작용, 화상, 부종, 소화 불량 등 몇 가지의 생리학적 기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손바닥선인장 줄기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병원균 등 일반 세균에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약제내성균 및 혐기성 균인 여드름 원인균 뿐만 아니라 효모, 곰팡이 등 진균류에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열 처리,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이 항균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온도 및 기간에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식품 보존제로서의 가능성 확인 시험에서도 기존의 식품 보존제보다 안전성이 있는 항균활성 물질로 평가되었다.

The Effe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Fruit on Gastric Lesion and Ulcer in Rats

  • Lee, Eun-Bang;Hyun, Jin-Ee;Li, Da-Wei;Moon, Yung-I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90-93
    • /
    • 2001
  • The effects of the dried fruit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f) were investigated on gastric lesion and ulcer models in rats. It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in HCl ethanol and HCl aspirin induced gastric lesion at a dose of 600 mg/kg, p.o. OF-f also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in indomethacin induced gastric lesion at the doses of 200 and 600 mg/kg, p.o. However, it did not affect aspirin and Shay ulcer in rats. It also did not affect the gastric juice secretion, acid output and pH. These data suggest that OF-f possesses pronounced inhibitory action on gastric lesion of rats.

  • PDF

Isolation of a Pestalotiopsis Species Degrading Mucilage from Frui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Huh, Yoon-Hee;Ko, Young-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21-226
    • /
    • 2007
  • The high molecular-weight mucilage extracted and purified from cactus frui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was degraded by the cell-free culture filtrate of a fungus isolated from soil. TLC analysis of the polymeric mucilage after incubation with the fungal culture filtrate confirmed its degradation. When the degradation products were tested for their qualitative reactions with ninhydrin and phenol-sulfuric acid, only phenol-sulfuric acid gave positive development, and ninhydrin did not show any observable color reaction. This coloring reaction suggested the presence of a carbohydrate without an amino group within the mucilage. Analyses by HPLC and liqui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on sephadex G-100 also provided additional information on degradation of the mucilage by the fungal culture filtrate. The sequences of ITS-5.8S rDNA from the fungal isolate that was cultivated for the preparation of mucilage-degrading enzyme showed 99% similarity to those of Pestalotiopsis aquatica.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Stem on Gastric Damages in Rats

  • Lee, Eun-Bang;Hyun, Jin-Ee;Li, Da-Wei;Moon, Yung-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67-70
    • /
    • 2002
  • The effects of the dried stem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s) were investigated on gastric lesion and ulcer models in rats. It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in HCl·ethanolinduced gastric lesion at the doses of 200 and 600 mg/kg p.o. and in HCl·aspirin-induced gastric lesion at 600 mg/kg p.o. OF-s also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i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lesion at the doses of 200 and 600 mg/kg, p.o. However, it did not affect both the aspirin-induced and Shay ulcers in rats. It also did not affect gastric juice secretion, acid output and pH. These data indicate that OF-s only possesses pronounced inhibitory action on gastric lesion without antiulcer activity in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