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um heat-treatment temperatur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7초

김치에서 분리한 Lactococcus sp. J-10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coccus sp. J-105 Isolated from Kimchi)

  • 곽규숙;구재관;배경미;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120
    • /
    • 1999
  • 우리 고유의 전통 발효 음식인 김치로부터 bacteriocin 생성능이 우수한 Lactococcus sp. J-105균주를 분리하였다. Lactococcus sp. J-105의 생육 및 bacteriocin 생성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검토한 결과 bacteriocin 생성은 대수 증식기 말기에서 정지기 초기에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Lactococcus sp. J-105의 생육 및 bacteriocin 생성 최적 탄소원 및 질소원은 각각 maltose와 polypeptone이었다. 균의 생육 및 bacteriocin 생성 최적 온도는 $25^{\circ}C$였으며 생육 최적 pH는 pH 8 부근이었다. bacteriocin 생성 또한 pH 8에서 최고를 나타내었다. 한편 NaCl은 오히려 균체 증식과 bac-tericoin 생성을 저해하였다. Lactococcus sp. J-10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pH 및 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pH 2~4, $121^{\circ}C$ 15분에서 각각 안정하였다. 또한 J-105의 항균 spectrum을 검토한 결과 Lactobacillus sp. Leuconostoc s 그리고 Bacillus subtilis 등의 Gram 양성균에 대해서 항균활성 나타내었으며 Gram 음성균인 Acetobacter acid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E. col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bacteriocin은 trypsin, protease와 같은 peptide 분해효소에 대해서는 안정한 반면, pepsin에 의해서는 활성이 상실되는 특이한 성질을 나타내었다

  • PDF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Glycogen-Debranching Enzyme from Hyperthermophilic Archaeon Sulfolobus shibatae

  • Van, Trinh Thi Kim;Ryu, Soo-In;Lee, Kyung-Ju;Kim, Eun-Ju;Lee, Soo-B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792-799
    • /
    • 2007
  • A gene encoding a putative glycogen-debranching enzyme in Sulfolobus shibatae(abbreviated as SSGD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recombinant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heat treatment and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 The recombinant SSGDE was extremely thermostable, with an optimal temperature at $85^{\circ}C$. The enzyme had an optimum pH of 5.5 and was highly stable from pH 4.5 to 6.5. The substrate specificity of SSGDE suggested that it possesses characteristics of both amylo-1,6-glucosidase and $\alpha$-1,4-glucanotransferase. SSGDE clearly hydrolyzed pullulan to maltotriose, and $6-O-\alpha-maltosyl-\beta-cyclodextrin(G2-\beta-CD)$ to maltose and $\beta$-cyclodextrin. At the same time, SSGDE transferred maltooligosyl residues to the maltooligosaccharides employed, and maltosyl residues to $G2-\beta-CD$. The enzyme preferentially hydrolyzed amylopectin, followed in a decreasing order by glycogen, pullulan, and amylose.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glycogen-debranching enzyme from S. shibatae may have industrial application for the efficient debranching and modification of starch to dextrins at a high temperature.

화학적 공침법을 이용한 침상형 페라이트 합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crystalline Spinel Ferrites by Chemical Co-precipitation)

  • ;임윤희;조영민
    • 공업화학
    • /
    • 제22권2호
    • /
    • pp.185-18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공침법을 적용하여 가스상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한 나노크기의 M-페라이트(M=Co, Ni, Cu, Zn)를 제조하였다. 열중량 분석 결과, 시험제조한 모든 시료의 최고 무게 감소율은 $350^{\circ}C$ 미만에서 발생하였다.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결정형은 우수하여 표면촉매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입자결정의 크기가 크고, 비표면적이 낮은 페라이트가 합성됨을 알 수 있었다. FT-IR 분석으로부터 $375{\sim}406cm^{-1}$의 범위에서 octahedral site에 착화물이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페라이트 내 스피넬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이산화탄소 분해반응을 위한 금속페라이트의 최적 열처리 온도는 $500^{\circ}C$인 것으로 나타났다.

ZnO-Al$_2$O$_3$-SiO$_2$ 유리에서의 결정성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rystal Growth in ZnO-AI$_2$O$_3$-SiO$_2$Glass)

  • 이종근;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8
    • /
    • 1975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s for crystal growth and kinds of crystal in ZnO-Al2O3-SiO2 glass composition. At first, the base glass composed of ZnO (44.7%), Al2O3(14.0%) and SiO2(41.3%) was melted in propane gas furnace at 1450-150$0^{\circ}C$ for an hour, and then it was poured into the stainless steel mould heated previously at $600^{\circ}C$ to obtain the thin glass test piece. Four crystal forms from base glass such as stuffed keatite, zinc orthosilicate, zinc aluminosilicate, and cristobalite were crystallized during heat treatment between 80$0^{\circ}C$ and 110$0^{\circ}C$. For the investigation of crystal growth, X-ray diffractometer and thermal differential analysis were used and the growth rate of the four crystal forms were obtained by the method of Archimedes specific gravity and intensity comparison of X-ray diffraction peak.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tuffed keatite peaks which started to appear after two hours at 80$0^{\circ}C$ were maximum after 11 hours and this crystal breaks down to willemite irreversibly at about 100$0^{\circ}C$. 2) Development of gahnite started at 85$0^{\circ}C$ and increased with temperature growth. 3) Stuffed keatite which had been transformed slowly into willemite at 100$0^{\circ}C$ was decreased with time and willemite increased until four hours. 4) Cristobalite began to be developed after treatment of 110$0^{\circ}C$.

  • PDF

펙틴분해효소를 이용한 마늘, 고추와 오이의 단세포화물의 제조 (Characteriatics of Single Cell Suspension of Garlic, Red Pepper and Cucumber Prepared by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 백구현;김성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9-377
    • /
    • 2006
  • 채소류 가공 공정시 발생하는 영양성분의 손실, 색의 변화, 짧은 저장기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물조직의 단세포를 유리시킬 수 있는 최적조건을 연구하였다. 즉 효소처리를 위한 최적 조건은 오이, 마늘, 고추에서 250 rpm, $37^{\circ}C$, 150분으로 나타냈다. 각 시료에 대한 효소 농도는 오이, 마늘, 고추 각각 0.5, 0.75, 0.75%를 보였으며, pH는 7.0, 8.0, 5.0이었다. 단세포화한 뒤 착즙율은 기계처리물에 비해 오이, 고추, 마늘, 각각 16, 36, 36.5% 이상의 수율 향상을 가져 왔다. 비타민 C 함량에서도 고추, 마늘 단세포화물이 약 9일 경과 후에도 80%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기계처리물에서는 약 50% 정도를 감소하여, 저장기간이 지나도 비타민 C 감소폭이 적었다. 열처리 전후의 색도 변화에서도 ${\Delta}E$ 값이 1.16-3.27로 기계 처리물의 2.87-7.68보다 색도의 변화가 적어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고추의 capsaicin 최초 함량은 단세포화불이 1.77 mg/100 g로 기계처리물의 1.32 mg/100 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저장 후에도 1.4 mg/100 g으로 기계처리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18^{\circ}C$에서 저장시 냉해동 안정성은 4 cycle 경과 후 단세포화물은 약 70%, 기계처리물은 약 20%의 점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Chaetomium globosum 이 생성하는 Cellulose 분해 효소에 관한 연구 -(제2보) Cellulase의 정제- (Studies on Cellulolytic Enzyme Producing by Ckaetomium globosum -Part 2. Purification of Cellulase-)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33-41
    • /
    • 1969
  • 1. Cheatomium globosum의 밀기울 배양기에서 조효소를 추출하고 황산암모니움 염석 부분을 cellulose 분말 column으로 2개의 cellulase활성 부분(C-1, C-2)을 분리 하였다. 그 하나는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하며 (C-1) 다른 하나는 곁도 감소 활성이 강하였다. (C-2) 그러나 단백질 량은 C-1부분이 많았고 C-2 부분은 적었다. 2.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한부분 (C-1)을 DEAE-Sephadex A-25 column에서 분리할 결과 다시 2개의 성분 (C-1-1 및 C-1-2)으로 나누어 졌다. 그리고 C-1-2는 column에 강하게 흡착되었고 2M-NaCl의 용액으로 용출되었다. 이는 착색 된 것으로 봐서 C-1-1과는 아주 다른 단백질로 생각이 된다. 3. Cellulase C-1-1을 다시 Amberlite XE-64 column으로 분별하여 단일의 peak를 얻었다. 4. Cellulase C-1-1 부분의 초원심 침강계 면은 단일의 peak로 나타나고 또 자외선 홍수 spectrum도 전형적인 단백질의 흡수 spectrum을 나타 내었다. 5. Cellulase C-1-1의 최적 pH는 환원당 증가활성법으로나 점도 감소 활성법으로 다 같이 pH 4.0이였다. 6. 그리고 그의 최적 온도는 $40^{\circ}C$였다. 7. Cellulase C-1-1의 pH 안정성은 $40^{\circ}C$에서 pH 5.0 내지 pH 8.0의 범위 내였다. 8. 그리고 열안정성은 pH 4.0에서 $50^{\circ}C$ 이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우유(牛乳)의 적정(適正) 살균조건(殺菌條件)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III. 고온살균처리(高溫殺菌處理)에 의한 우유(牛乳)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및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의 변화(變化) (Experimental Studies on the Optimum Pasteurization Condition of the Cow's Milk Produced in Korea III.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Aspects of High Temperature Pasteurized Milk)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309-317
    • /
    • 1987
  • 국산우유(國産牛乳)를 원료(原料)로 한 적정(適正) 살균조건(殺菌條件)을 검토(儉討)하기 위하여 원유(原乳)를 $70^{\circ}C$, $75^{\circ}C$, $80^{\circ}C$, $85^{\circ}C$, $95^{\circ}C$$100^{\circ}C$의 각온도(各溫度)에서 15초간(秒間) 가열살균(加熱殺菌)하고 처리유(處理乳)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및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성상(性狀)의 변화상태(變化狀態)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처리유(高溫處理乳)는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pH가 저하(低下)하였고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유당(乳糖) 및 회분등(灰分等)은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며 Casein 태질소(態窒素)와 비단백태질소함량(非蛋白態窒素含量)은 증가(增加)하고 비(非)Casein 태질소(態窒素) 및 여과성질소함량(濾過性窒素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2. Calcium함량(含量)은 원유(原乳)의 119.78mg/100g로부터 $75^{\circ}C$ 가열(加熱)에서는 111.86mg/100g, $100^{\circ}C$ 가열(加熱)에서는 106.24mg/100g로 감소(減少)하였으며 Vitamin C에 있어서는 원유(原乳)의 $1.37mg/m{\ell}$로부터 $75^{\circ}C$ 가열(加熱)에서는 $1.15mg/100m{\ell}$, $100^{\circ}C$ 가열(加熱)에서는 $0.94mg/100m{\ell}$로 감소(減少)하였고 인공소화율(人工消化率)에 있어서는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3. 생균수(生菌數)는 $75^{\circ}C$ 가열(加熱)에서 $9.0{\times}10^3/m{\ell}$로, $100^{\circ}C$ 가열(加熱)에서는 $3.4{\times}10^2/m{\ell}$로 감소(減少)하였고 대장균(大腸菌)은 $70^{\circ}C$ 가열(加熱)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내열성균(耐熱性菌), 호열성균(好熱性菌), 호냉성균(好冷性菌) 및 곰팡이, 효모수도 가열온도(加熱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크게 감소(減少)하였다. 4. 고온살균처리유(高溫殺菌處理乳)의 보존시험(保存試驗) 결과(結果) $25^{\circ}C$$37^{\circ}C$에 있어서는 l일후(日後)에 응고(凝固)하였고 $4^{\circ}C$ 보존(保存)에 있어서는 10일(日)까지 산도(酸度), 일반조성분(一般組成分), 미생물수등(微生物數等)이 변화(變化)가 거의 없어 우수한 보존성(保存性)을 나타내었다.

  • PDF

열처리조건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with Heating Conditions)

  • 송대식;우관식;성낙술;김광엽;정헌상;이희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73-778
    • /
    • 2007
  • 숙지황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자 고온고압처리방법을 적용시켜 처리조건에 따라 지표성분인 5-HMF의 함량과 몇 가지 품질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시판 숙지황과 비교분석하였다. 색도는 처리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L, a, b값 모두 감소하였으며, $120^{\circ}C$, 4시간 처리와 $130^{\circ}C$, 2시간 처리 이후가 시판 숙지황의 색도와 유사하였다. Fructose는 $120^{\circ}C$에서 처리시간의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고 그 후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glucose는 $120^{\circ}C$, 3시간 처리까지 증가하였지만 그 후에는 변화가 적었다. Sucrose는 $130^{\circ}C$, 1시간 처리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분석되었으며, 총 함량은 건지황에서 3,029 mg/100 g이었고 열처리온도가 증가할수 록 증가하여 $140^{\circ}C$, 2시간 처리에서 4,172 mg/100 g으로 가 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atalpol 함량은 건지황에서 631.4 ppm이 검출되었으나 숙지황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숙지황은 $130^{\circ}C$, 1시간 처리(275.9 ppm) 이후에 검출되지 않았다. 숙지황의 지표물질인 5-HMF는 건지황과 시판 숙지황에서 각각 0.12 및 4.04 mg/g으로 나타났다. 처리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5-HMF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150^{\circ}C$, 5시간 처리구에서 24.9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5-HMF의 함량이 0.1% 이상일때 숙지황의 품질요건을 충족하므로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숙지황 제조는 $130^{\circ}C$, 2시간에서 $140^{\circ}C$, 2시간 처리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온처리(高溫處理)에 의한 우유(牛乳)의 미생물(微生物) 및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of Milk Treated by High Temperature)

  • 신용국;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98-209
    • /
    • 1986
  • 우리나라 원유(原乳)의 세균함량(細菌含量)과 가열처리(加熱處理)에 의한 일부(一部) 단백질(蛋白質)의 변성(變性)을 고려한 적정살균온도(適正殺菌溫度)와 시간(時間)을 구명(究明)하고자 $70^{\circ}C{\sim}100^{\circ}C$까지 $5^{\circ}C$간격(間隔)으로 10, 15 및 20 초간 살균(殺菌)을 행(行)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살균온도(殺菌溫度)와 시간(時間)에 따라 사멸효과(死滅效果)는 우수(優秀)하였으며 $75^{\circ}C$에서 20초간(秒間) 살균처리유(殺菌處理乳)에서 99.56%의 사멸율(死滅率)을 나타내어 시유처리기준(市乳處理基準) 부합(符合)되었다. 대장균(大腸菌)은 열처리(熱處理)에 의하여 전멸(全滅)하였고, 내열성균(耐熱性菌)은 $100^{\circ}C$의 열처리(熱處理)에도 다수 잔존(殘存)하였다. 또한 호열성균(好熱性菌)은 열처리(熱處理)에 의하여 대부분(大部分) 사멸(死滅)하였고, 호냉성균(好冷性菌)은 $90{\sim}100^{\circ}C$에서 전멸(全滅)하였다. 2. Bacillus subtilis 첨가유(添加乳)의 사멸율(死滅率)은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고 가열시간(加熱時間)이 길수록 높았으나, $100^{\circ}C$에서는 거의 일정수준(一定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3.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고 가열시간(加熱時間)이 길수록 pH는 감소(減少)하였다. 4. 가열(加熱)에 따른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및 유당(乳糖)의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다. 5. 가열온도(加熱溫度)에 따라 총질소(總窒素)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었고 casein태질소(態窒素)와 NPN은 증가(增加)하였으며 비(非)casein태질소(態窒素)는 감소(減少)하였다. 6.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고 가열시간(加熱時間)이 길수록 질소여과율(窒素濾過率)은 감소(減少)하였으며 특(特)히 $95{\sim}100^{\circ}C$에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7. 인공소화율(人工消化率)은 열처리(熱處理)에 의하여 다소 증가(增加)하였다.

  • PDF

Penicillium sp. CB-20이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olygalacturonase from Penicillium sp.CB-20)

  • 조영제;안봉전;임성일;이우제;최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0-586
    • /
    • 1989
  • Penicillium sp. CB-20 이 생성하는 polygalacturonase의 최대 효소활성을 위한 pH는 5.0, 최적온도는 4$0^{\circ}C$였으며, 이 효소는 약산성의 pH에서 안정성을 보였고, 온도에 의한 안정성은 3$0^{\circ}C$였으며 4$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한 효소단백질의 불활성화가 진행되었다. 금속이온 중 $Mg^{++}$, $Zn^{++}$, $Ba^{++}$ 등이 활성을 촉진시켰고, Ag$^{+}$, Cu$^{++}$, Pb$^{++}$, Fe$^{+++}$, $Ca^{++}$, $Na^{++}$, Mnc 등은 효소활성을 저해하였으며, 본 균주가 생성하는 호소의 $K_m$값과 V$_{max}$값, 활성화에너지는 2.13$\times$$10^{-2}$mol/$\ell$, 104.17 $\mu$mol/min, 2,499 Kcal/mol 이었으며, pectin보다 polygalacturonic acid를 특이 적으로 분해하였다. 효소저해제 중 EDTA, DNP, $H_2O$$_2$ 등에 의해 효소활성이 제해되어 효소분자 중의 금속이 활성에 관여하며, 말단 아미노기와 histidine의 imidazole기가 효소활성에 관여함이 입증되었던 반면에 효소분자 중 SH기는 활성에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효소의 기질분해 양상을 종이 크로마토그라피로 확인한 결과 반응초기에는 monomer, dimer oligomer 등이 생성되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oligomer는 사라지고 monomer dimer 만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endo 형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효소의 과즙청징도 측정에서는 약 8 unit 에서 거의 청징화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