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cal encryp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반도체 레이저의 광 주입을 이용한 혼동 통신망의 암호화 기법 분석 (Analyses of Encryption Method for Chaos Communication Using Optical Injection Locked Semiconductor Lasers)

  • 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11-815
    • /
    • 2005
  • We theoretically studied synchronization of chaotic oscillation in semiconductor lasers with chaotic light injection feed-back induced chaotic light generated from a master semiconductor laser was injected into a solitary slave semiconductor laser. The slave laser subsequently exhibited synchronized chaotic output for a wide parameter range with strong injection and frequency detuning within the injection locking scheme. We also analytically examined chaos synchronization based on a linear stability analysis from the view point of synchronization based on a linear stability analysis from the view point of modulation response of injection locked semiconductor lasers to chaotic light signal.

간섭계와 직렬 위상 키를 이용한 안정한 광 보안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table Optical Security System using Interferometer and Cascaded Phase Keys)

  • 김철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1-10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간섭계와 직렬 위상 키를 이용한 안정한 광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먼저 암호화를 위해 원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이진 위상 컴퓨터형성홀로그램을 반복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설계하며, 이를 암호화할 영상으로 간주하여 랜덤하게 발생시킨 위상 키 영상과의 XOR 연산을 통해 암호화한다. 홀로그램의 복호화 과정은 암호화된 영상과 암호화시에 사용된 무작위 위상 키 영상을 직렬 정합시킨 후, 기준파와의 간섭에 의해 수행된다. 그리고 복호화된 홀로그램 영상은 위상 변조한 후, 역푸리에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구한다. 이 과정동안 간섭세기는 주위 진동에 상당히 민감하다. 그래서 광굴절매질의 자기 위상공액성질을 이용하여 안정된 간섭패턴을 얻는다. 제안된 암호화 시스템에서는 암호화시에 사용된 무작위 키 영상 정보가 없으면 원영상이 전혀 복원 되지 않고, 키 영상을 달리함에 따라 복원되는 홀로그램의 패턴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차별화된 인증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컴퓨터 형성 홀로그램 및 재생 영상에 따른 지문 인식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 to Computer Generated Hologram and Its Reconstructed Image)

  • 정만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6-80
    • /
    • 2009
  • 지문 인식은 입력된 지문 영상과 컴퓨터 단말기 혹은 호스트 컴퓨터에 보관중인 지문 영상을 상호 비교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지문 인식 과정에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은 필수적이며 이 과정에서 컴퓨터 형성 홀로그램(CGH)을 사용하며 CGH로부터 재생된 지문 영상을 상호 비교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학적 패턴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지문 영상들의 CGH로부터 재생된 지문 영상들을 비교하는 방법과 이와는 달리 지문 영상들의 CGH를 직접 비교하는 방법을 상호 비교하여 두 가지 방법의 근본적인 지문 인식 능력의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후자의 경우가 전자의 경우 보다 약 150배 정도 인식률이 높았다. 특히 CGH를 이용한 지문 인식의 경우 CGH의 형성 방식에 따른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광학문자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OCR)

  • 정필성;조양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5-22
    • /
    • 2018
  • 스마트 기기가 보급화 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인증 서비스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인증,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 등이 있다. 본 논문은 광학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지식기반 인증의 보안성 문제를 해결하고 쉽고 빠르게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에서 문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제안하는 인증 시스템은 외부로 쉽게 노출되거나 분실 위험이있는 비밀번호나 OTP를 사용하지 않으며 정확한 사진을 사용하지 않으면 인증이 불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한 인증 시스템은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으며 사용자 인증 및 파일 암호화, 복호화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간섭을 기반으로한 컴퓨터형성홀로그램과 $BaTiO_3$를 이용한 안정한 광 정보보호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table Optical Information Security System using Interference-based Computer Generated Hologram iud $BaTiO_3$)

  • 김철수;김종윤;박영호;김수중;조창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8C호
    • /
    • pp.827-8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간섭원리에 기반한 컴퓨터형성홀로그램과 광굴절매질인 BaTiO$_3$를 이용하여 광 정보 보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먼저 원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이진위상홀로그램을 생성한 후, 이를 암호화할 영상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 홀로그램에 간섭 원리를 적용하여 암호화된 영상과 기준영상(키 정보)을 얻는다. 복호화과정은 Mach-Zehnder 간섭계에서 암호화된 영상과 기준영상과의 간섭을 통해 간섭세기 정보를 얻고, 이를 LCD를 이용하여 위상 정보로 변환한 후 푸리에 변환함으로써 원영상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두 영상의 간섭을 통해 얻어지는 세기 정보는 주위 진동에 상당히 민감하다. 그래서 광굴절매질인 BaTiO$_3$의 SPPCM 특성을 이용하여 안정한 간섭 무늬를 얻는다. 제안된 방법은 원래의 영상 대신 그 영상의 홀로그램을 암호화하므로 이중 영상 암호 효과의 장점이 있다.

Full-pipelined CTR-AES를 이용한 Giga-bit 보안모듈 설계 (A design of Giga-bit security module using Fully pipe-lined CTR-AES)

  • ;박주현;김영철;김광옥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026-1031
    • /
    • 2008
  • 현재 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재정적인 변화와 개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원격의료에 이르기까지 점점 GPON 사용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PON의 다중사용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와 커뮤니케이션 보호를 위한 보안의 필요성이 더더욱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Virtex4 FPGA를 기반으로 AES의 카운터 모드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구조는 pipeline 구조 구현을 위하여 크게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1) composite filed 연산을 이용한 Subbyte, 2) efficient MixColumn transformation, 그리고 3) on-the-fly key scheduling이다. 구현된 S-box는 면적의 17% 감소와 on-the-fly key 스케줄링 기법으로 pipeline 구조에 특화된 key-expander 기능을 구현하였다.

다중 암호화 기법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카드 구현 (Implementation of Hybrid Smartcard Using Multi Encryption Method)

  • 이성은;장홍종;박인재;한선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1-89
    • /
    • 2003
  •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정보의 온라인 유통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통 정보에 대한 보호가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공개키 기반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정보보호 기반구조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스마트카드는 공개키 기반구조를 가장 잘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개키 기반의 인증서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본인확인 및 권한 정보가 필요한 응용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스마트카드의 위·변조 가능성 또한 존재하고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증서 유효성 검증만으로 해결할 수 혀는 스마트카드의 위·변조에 대한 가능성을 광영상 암호화 기법인 각 다중화와 암호키다중화를 사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였고, 위·변조 시 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보안성과 이동성이 뛰어난 스마트카드와 결합한 공개키 인증기반의 본인확인 기법을 제안하여 다중 인증 체계의 새로운 보안 인증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전자투표 신뢰성 향상을 위한 투표자 검증용 영수증 발급 기술 (A Voter Verifiable Receipt in Electronic Voting with Improved Reliability)

  • 이광우;이윤호;원동호;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19-126
    • /
    • 2006
  • 최근 전자투표 시스템에 대한 투표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표자가 자신의 투표 결과를 확신할 수 있도록 하는 영수증 발급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자투표 영수증은 투표소 밖에서도 검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개별 검증성과 함께 매표방지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특수한 용지와 프린터를 필요로 하거나 투표기가 올바로 작동하는 것을 수시로 검증해야 하는 관리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투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면서, 특수한 종이나 프린터 또는 스캐너가 필요 없고 투표소 내의 기기나 관리자를 신뢰하지 않아도 되는 영수증 발급 방식을 제안한다.

의료 이미지 데이터의 비식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for the Pseudonymization Technique of Medical Image Data)

  • 백종일;송경택;최원균;유기근;이필우;인한진;김철중;여광수;김순석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03-110
    • /
    • 2016
  • 최근 의료데이터의 유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환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및 의료기관의 피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등과 같은 법규를 제정하여 이러한 피해사례 예방하고 있다. 이중 의료기관 및 의료데이타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내 의료기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정도만 발표되어 있다. 환자개인의 민감정보를 포함한 의료데이타를 타의료기관 또는 제3의 연구기관등에 전달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전달하고자 하는 의료 이미지 데이터를 일반적인 이미지파일 (JPG, JPEG, TIFF)의 포맷으로 자료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이 일반적인 이미지 포맷의 파일은 아무런 보호조치가 되어 있지 않아 외부로 유출시에는 파일내에 포함된 환자의 주요 식별정보가 노출되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파일에 대한 광학문자판독기술(OCR)을 적용하고 민감정보가 포함된 이미지파일에 암호화된 모자이크기술을 이용한 마스킹 기법을 도입하여 이러한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한 이미지 비식별화 방안을 제시한다.

다중 복호화 키들을 이용한 영상 워터마크 방법 (Image Watermark Method Using Multiple Decoding Keys)

  • 이형석;서동환;조규보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2-26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복호화 키들을 이용한 영상 워터마크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나의 워터마크 영상에서 다중 복호화 키들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원 영상을 복원 할 수 있고 왈시 코드를 이용하여 복호화 과정에서 간단하게 사이드 로브를 제거한 복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삽입 과정에서 제로 패딩(zero-padding)된 원 영상들을 무작위 위상 영상들과 곱하여 푸리에 변환후 실수부를 취하여 부호화된 영상을 생성한다. 삽입 영상들은 확장된 부호화 위상 영상들을 새롭게 생성된 무작위 위상영상들과 곱한 후 이 영상들의 개수만큼 독립적으로 생성한 왈시 코드 영상들을 곱하여 생성하고 이 때 사용된 무작위 위상영상들에 동일한 왈시 코드 영상들을 곱하여 복호화 키 영상들로 사용한다. 스테고(stego) 영상은 삽입 영상들과 새로운 왈시 코드 영상이 곱하여진 커버(cover) 영상의 중첩에 의해 생성한다. 원 영상은 스테고 영상과 다중 복호화 키를 곱하여 비확산을 취한 후 역-푸리에 변환하여 복원할 수 있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워터마크 방법의 적합성과 다중 복호화 키로 복원이 가능하고 영상에 잡음이 발생하더라도 원 영상의 복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