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cal Internet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31초

Implementation of Indoor Localization System

  • Ryu, Dong-Wan;Kim, Sun-Hyung;Jeong, Dong-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54-60
    • /
    • 2019
  • In this paper, a localization system for indoor objects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Beacons, LED Cells, Main Cell Controller (MCC), and Display. A Beacon is attached at each indoor object, and each LED cell has Beacon Scanner and VLC Transmitter. The Visual Light Communications (VLC) and Power Line Communications (PLC) methods are used to communicate the signals for localization of indoor objects. And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prototype. To certify that our propose d system can exactly localize a given indoor object, we take test for the implemented system as a p rototype. Here the location of the given indoor object is known. Test is done in two ways. The first is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detail of the system, and the second is the position recognition of i ndoor object. The second is the test of the implemented system to correctly detect the location of the indoor object with Beacon, while the object with Beacon is moved from location C to A.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system is exactly detect the moving locations. The system has the advantages of using previously installed power lines, and it does not need to use LAN lines or optical cables. The proposed system is usefully applied to indoor object localization area.

Solution-Processed Two-Dimensional Materials for Scalable Production of Photodetector Arrays

  • Rhee, Dongjoon;Kim, Jihyun;Kang, Joohoon
    • 센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8-237
    • /
    • 2022
  • Two-dimensional (2D) nanomaterials have demonstrated the potential to replace silicon and compound semiconductors that are conventionally used in photodetectors. These materials are ultrathin and have superior electrical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as well as mechanical flexibility. Consequently, they are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fabricating high-performance photodetectors that can be used for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Although prototype photodetectors based on single microflakes of 2D materials have demonstrated excellent photoresponsivity across the entire optical spectrum,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are limited due to the difficulties in scaling up the synthesis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optoelectronic performance. In this review, we discuss facile methods to mass-produce 2D material-based photodetectors based on the exfoliation of van der Waals crystals into nanosheet dispersions. We first introduce the liquid-phase exfoliation process, which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for the scalable fabrication of photodetectors. Solution processing techniques to assemble 2D nanosheets into thin films and the optoelectronic performance of the fabricated devices are also presented.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liquid-phase exfoliation and the recent advances mad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chemical exfoliation process with molecular intercalants.

IoT 기반의 스마트 마스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Mask based on IoT)

  • 왕이;김현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10-619
    • /
    • 2022
  • Recently, the market for masks has been growing due to air pollution, sun protection, pollen allergies and other reasons. In addition, the demand for masks has increased dramatically due to the new coronavirus from 2020, and masks are still one of the necessities of life. Although the reliance on masks is increasing,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associated with wearing masks for long periods of time. At the same time,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and the demand for smart wearable devices is increasing. Therefore, at the moment whe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underway, combining people's common necessities with IoT technology to bring new convenient experiences to people is an important direction for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 development. In this study, smart mask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IoT(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The mask uses a microcomputer Adafruit circuit playground express, using the microcomputer's LED, optical sensors, can be in the dark place light, an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real-time grasp of body temperature changes. If the body temperature rises above normal, the LED will turn "on" and activate the voice sensor to warn yourself and others around you.

재실자의 수면-각성 주기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파장제어 LED 조명시스템 (Smartphone-based Wavelength Control LE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leep-Wake Cycle of Occupants)

  • 김양수;권숙연;황준;임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5-45
    • /
    • 2016
  • 인간의 생체리듬 조절에 관여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은 빛의 특정 단파장 비율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 단파장 비율이 고정된 기존 조명 빛은 재실자 생체리듬 교란 및 수면장애 현상을 초래한다. 특히 교대근무자의 경우, 일정치 않은 근무시간과 항시 동일한 빛 환경으로 인해 생활패턴이 불규칙적으로 변화하여 집중력 저하로 사고 발생의 위험도가 높아지거나 퇴근 이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등 건강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근무 또는 퇴근 시점에 따라 각성 및 수면에 적합한 조명 빛을 손쉽게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파장 제어 가능한 LED 조명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LED 조명을 대상으로 조광제어비율에 따라 변화하는 조명 빛 특성을 스마트폰에 내장된 컬러센서 및 외부에 연동된 소형 스펙트로미터(Mini-Spectrometer)를 통해 계측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광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측 모듈과 조명제어모듈을 구현한다.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처리 절차에 따라 '근무' 시간대에는 각성이 필요한 시점으로 파악하여 작업유형에 따라 분류한 목표조도를 고려하여 단파장 비율이 최대치인 제어비율로 서비스하고, '퇴근' 무렵에는 자연스럽게 수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단파장 비율이 최소치인 제어비율로 조명 빛을 가변화한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Super Resolution(SR)을 위한 자동화 알고리즘 (Automated Algorithm for Super Resolution(SR) using Satellite Images)

  • 이스라엘;고경식;박종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09-216
    • /
    • 2018
  •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기상관측, 지형관측, 원격탐사, 군사시설감시, 문화재보호 등 많은 분야에서 이용된다. 위성영상은 동일한 위성영상 시스템에서 획득한 영상이라 할지라도 하드웨어(광학장치, 위성의 운용고도, 영상 센서 등)의 조건에 따라서 해상도가 저하된 영상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위성이 발사된 이후에는 이러한 해상도가 저하된 영상들의 해상도 향상을 위해서 영상시스템의 하드웨어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위성영상 자체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SR(Super Resolu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SR 알고리즘은 다수의 저해상도 영상들의 정합을 통해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위성영상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한 여러 장의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징점 자동추출과 투영 변환(Projection Transform)을 적용 후 영상에 대한 기하학적 변화를 보정하여 SR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동으로 특징점을 구한 SR 결과와 같이 에지 부분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악보인식 전처리를 위한 강건한 오선 두께와 간격 추정 방법 (A Robust Staff Line Height and Staff Line Space Estimation for the Preprocessing of Music Score Recognition)

  • 나인섭;김수형;뀌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9-37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상에서 카메라기반 악보인식을 위한 오선 두께와 오선 간격을 추정하는 전처리 기술을 제안한다. 캡쳐된 영상은 조명이나, 흐려짐, 저해상도 등의 많은 왜곡으로 인해 인식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복잡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악보 영상인식의 경우 더욱 그렇다. 악보 기호 인식에서 오선 두께와 오선 간격은 인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들 정보는 이진화에도 사용되는데, 복잡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일반적인 이진 영상은 오선 두께와 간격을 추정하는데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우리는 에지영상에서 런-길이 엔코딩 기술을 이용해 오선 두께와 간격 추정하는 강건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소벨 연산자에 의해 영역별로 에지 영상을 기반으로 오선 두께와 간격을 추정한다. 각 에지 영상의 열은 런-길이 엔코딩 알고리즘에 의해 기술된다. 두 번째 단계는 안정한 경로 알고리즘을 이용한 오선 검출과 오선 위치를 추적하는 적응적 LTH알고리즘을 이용한 오선 제거이다. 실험결과 복잡한 영상의 경우에도 강건함과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ICT 관점에서 바라본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 (Improve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System from ICT point of view)

  • 장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9-199
    • /
    • 2016
  • 현재의 국가기술자격제도가 당면한 여러 가지 현안에 대해서 원인과 개선사항을 다루고자 하였다. 국가기술자격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가기술자격의 주요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취업 시 가산점 종목과 의무고용 형 법령이 적용되는 종목들의 취득분포를 조사한 결과 우대사항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국가기술자격 제도에 대한 개선요소들을 엄선하여 AHP 분석을 하였다. AHP 분석을 통하여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AHP 실증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 위주로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기술자격 문제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현재의 우대정책이 의무고용 형 자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기술자 경력수첩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의견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기타 제안사항으로, 유사종목의 통폐합을 비롯한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국가기술자격의 미래설계에 유용한 데이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실험계획법 기반의 코팅제 배합비율 최적화 모형 (Optimization Model for the Mixing Ratio of Coatings Based on the Design of Experiments Using Big Data Analysis)

  • 노성여;김영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10호
    • /
    • pp.383-392
    • /
    • 2014
  • 코팅제에 대한 연구는 고분자 산업에서 가장 보편화되고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내용의 하나이다. 코팅제는 전자산업, 의료, 광학 분야 등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및 전자부품의 첨단화에 힘입어 코팅제에 대한 성능과 정밀도 등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방대한 환경 정보와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물 인터넷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도입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는 더욱 지능화되고 자동화된 시스템과 처리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실험계획법 기반의 코팅제 배합 데이터에 대한 최적화 모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생산현장에서 사용하는 코팅제 배합 기준 데이터와 발생한 오차에 대하여 작업자가 수정한 보정 결과 데이터를 실험계획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코팅제 배합 기준 데이터를 계산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사물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코팅제 배합 기준 데이터만을 적용한 공정이 아니라 제조 환경 정보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과 품질 유지에 가장 중요한 인자를 검색하고 기준값을 보정하는 최적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실험 및 분석을 통해 확보된 기준 데이터는 제조 공정에 적용할 경우 배합의 정확도 향상과 LOT별 작업시간 단축을 가능하게 해주고, 건당 처리시간의 감소로 인한 생산 납품시간 단축, 불량률 감소 등에 따른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델링에 대한 제조 공정에서의 표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페시베이션 박막이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광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ssivation Thin Films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문세찬;이상희;박병민;피재호;장호정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5
    • /
    • 2016
  • 유기발광다이오드(orgi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는 대형 유연 디스플레이와 발광원으로서 사물인터넷 (IoT)의 하드웨어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일함수의 금속 및 쉽게 반응하는 유기재료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외부환경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수분과 산소에 민감하여 외부와의 접촉 시 성능이 급속도로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PVD, CVD, ALD 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막 형성 연구를 진행 중에 있지만 복잡한 공정 및 높은 비용의 문제점 등이 있다. 그러므로 외부 환경에 의한 성능 저하를 차단해주는 저렴하고 단순한 공정의 페시베이션(passivation) 박막 기술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수명 향상을 위하여 스핀코팅(spin-coating) 방법으로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위에 조성비에 따른 페시베이션 박막을 형성한 후 녹색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휘도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페시베이션 용액은 poly vinyl alcohol (PVA)를 기반으로 sodium alginate (SA)를 0, 10, 20, 40 wt%의 조성비로 제조하였으며, 40 wt%의 조성비에서 가장 좋은 배리어 보호 특성을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PVA + SA 용액의 최적화된 페시베이션 보호막을 제작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 GR형 수신기와 컨트롤데스크를 이용한 통합방재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using Network GR-type Receiver and Control Desk)

  • 백동현;송호빈;강원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96-101
    • /
    • 2012
  • 근래의 건축물들은 고층화와 지하 심층화되고 있어 화재 발생 시 대형 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여러 장소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화재수신기의 방재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화재수신기에 대해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 가능하며 인터넷과 광케이블로 연결 할 수 있는 네트워크형 화재수신기와 컨트롤데스크를 제작한 다음 각 장치 간에 화재발생 및 이상상태를 감시하고 상황에 따라 모니터링, 경보, 제어 및 유지관리를 수행 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국가검정기준에 의하여 평가하고, 각 구간의 신호 전달 시간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여 성능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