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source

검색결과 2,043건 처리시간 0.037초

오픈소스 플랫폼 기반의 실시간 환자 대기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A System Design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tient Waiting Time based on Open-Source Platform)

  • 류우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75-58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병원에서 환자의 대기시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오픈소스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환자의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 스트림 처리 시스템을 비용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시스템으로 다양한 하둡 서브프로젝트들로 구성된 하둡 에코시스템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시스템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하둡 에코시스템에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몇 가지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을 선정한다. 그리고, 선정된 아파치 스파크, 아파치 카프카 등을 이용한 시스템 구조 설계 및 상세 모듈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의 연계 및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분산 스트림 처리를 통해 고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을 위한 보안 강화 방안 (Security Enhancements for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s Based on Open Source)

  • 박근덕;김대경;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19-943
    • /
    • 2019
  • 4차 산업 혁명 관련 신흥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분산원장기술은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또는 분산원장기술 플랫폼)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서비스) 개발 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보안 기능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 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국내 법규 및 보안 인증 기준(ISMS-P,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Privacy)을 분석하여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기능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그리고 국제 표준인 공통평가기준(CC, Common Criteria)의 보안기능 컴포넌트 분석을 통하여 오픈소스 기반 분산원장기술 시스템에 필요한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으로서 보안을 강화하고자 한다.

An Analysis on Employing Developer Profit Incentive to Expedite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 Sohn, Jung-woo;Ko, Yohan;Yun, Young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57-270
    • /
    • 2022
  • 본 연구는 오픈소스 현상금 프로젝트에서 개발자 이윤 동기의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현상금 프로젝트의 상금 취득에서 기인하는 소득 증대 효과를 미시경제학의 효용 최대화 이론에 근거한 오픈소스 개발자 의사결정 모형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현상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수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 개발자들의 행동을 시물레이션으로 구성했다. 그 결과는 현상금 프로젝트에서 기인하는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의 상당 부분이 개발자의 소스 코드 학습 비용으로 상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경우 개발자의 소스 코드 학습 비용과 개발 작업 참가의 기회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하나의 대규모 현상금 프로젝트보다는 소규모로 작게 쪼개진 현상금 프로젝트를 여럿 운용하는 것이 더욱 향상된 프로젝트 결과물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한 사이버공격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Building a Cyber Attack Database using 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

  • 신규용;유진철;한창희;김경민;강성록;문미남;이종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3-121
    • /
    • 2019
  •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매일 대량의 공개출처정보(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체 정보의 95%가 공개출처정보에서 나온다고 할 정도로 공개출처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이러한 공개출처정보는 잘 정제되어 활용된다면 매우 효과적인 고가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ISVG나 START 프로그램은 테러나 범죄와 관련된 공개출처정보를 수집해 테러리스트 색출이나 범죄예방에 활용해 많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공격과 관련된 공개출처정보는 기존의 테러나 범죄와 관련된 공개출처정보와는 달리 공격자, 공격목적, 피해범위 등을 명확히 식별하기 어렵고, 자료 자체가 상대적으로 정형화되지 않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해 사이버공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를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해 사이버공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향후 활용방안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외부 유동 해석에 대한 오픈 소스 코드, OpenFOAM의 검증 (Verification of the Open Source Code, OpenFOAM to the External Flows)

  • 김태우;오세종;이관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702-7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외부유동현상 해석에 오픈 소스 기반의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인 OpenFOAM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초음속, 천음속, 아음속 유동 영역에서 각 부분에 대표적인 해석 케이스를 선정하고 OepnFOAM에서 제공하는 해석자를 사용하여 해석을 수행했으며 해석 결과를 실험 결과 및 타 전산유체역학코드와 비교하였다. 충격파가 발생하는 초음속과 천음속 영역에서 충격파 예측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계 조건에 따른 결과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아음속 유동 영역에서는 큰 박리가 일어나는 해석 케이스를 선정하여 복잡한 유동장하에서 OpenFOAM의 해석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OpenFOAM의 활용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OpenFOAM을 기반으로 수행할 연구 내용을 제시하였다.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VoIP 서비스를 위한 무선단말 개발 (Development of a VoWLAN Terminal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 서효중;이병호;김태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5호
    • /
    • pp.565-57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VoWLAN(Voice over WLAN) 단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 IP-PBX 서버를 통해 VoWLAN 단말들 간에 VoIP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작성하여 시스템 도입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이 적다. 둘째, 소프트웨어 IP-PBX 시스템과 연동하여 voice mail, conference call, interactive voice response와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론 제공한다. 셋째, VoWLAN 단말은 임베디드 환경에 적합한 경량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을 이용하여 제한된 시스템 자원 하에서 고수준의 사용자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넷째,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작성되어 요구사항의 변화에 따라 추가 기능의 확장이 용이하다.

SCORM 지원 공개 소프트웨어 학습 관리 시스템 (Open Software Learning Management System support SCORM)

  • 백영태;이세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5-19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국제 학습 콘텐츠 표준인 SCORM을 지원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의 학습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 학습 관리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무들(Moodle)을 선정하였고 학사관리시스템, 스트리밍서비스 등의 기존 시스템들과 연동 운용함으로써,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학습관리 시스템의 현실적 가능성을 보였다. 공개 학습 관리 시스템인 무들은 모듈화 구조를 수용해 사용의 편의성과 확장성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으며, SCORM지원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 구현되어 있다는 중요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 연구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공개S/W 기반 e-Learning시스템 구축이 안정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 PDF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구축 (Development of Open IoT platform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 Cloud Service)

  • 류대현;최태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85-490
    • /
    • 2016
  • 모든 사물이 지능화되고 인터넷과 연결되는 IoT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IoT 생태계 구축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방형 IoT 서비스 플랫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IoT 서비스 플랫폼의 한 요소로서 오픈 소스 하드웨어와 대표적인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를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 IoT 플랫폼을 개발하고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그 기능을 확인하였다.

오픈소스 G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u-GIS 기반 도시 지상시설물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ing an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based on u-GIS using an OpenSource GIS Software)

  • 남상관;오윤석;김태훈;강진아;김장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74
    • /
    • 2009
  • 오픈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원시코드가 공개되어있기 때문에 개발비용이 저렴하며, 개발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GeoFOSS를 기반으로 도시 내 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GIS 기능뿐만 아니라 USN 센서에서 취득되는 각종 자료를 공간정보 상에서 처리하는 u-GIS 기능을 개발하였다. GeoFOSS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초기 GIS 소프트웨어 구입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인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였고, 상용 GIS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성능 측면에서도 상용제품에 비해 전혀 뒤지지 않으며, 국제 표준을 엄격하게 따를 수 있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유지보수나 시스템 확장에 용이하고, 타 시스템과 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한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였다.

  • PDF

행정안전부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 진단기준과 Java 웹 어플리케이션 대상 오픈소스 보안 결함 검출기 검출대상의 총체적 비교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omparisons of the MOIS Security Vulnerability Inspection Criteria and Open-Source Security Bug Detectors for Java Web Applications)

  • 이재훈;최한솔;홍신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3-22
    • /
    • 2019
  • 경쟁적이며 급진적으로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 현장에 시큐어 코딩 방법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안 취약점 결함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결함 검출기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Java 웹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행정안전부가 정의한 42개의 보안 취약점 진단 기준과 총 323개의 오픈소스 보안 취약점 결함 검출기의 검출 대상 결함 패턴을 비교하여, 동일한 결함 패턴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시화한 결과를 소개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행정안전부 보안 취약점 진단 기준 방법론의 한계점, 오픈소스 보안 결함 검출 프레임워크 간의 결함검출 범위의 비교, 그리고 시큐어 코딩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개발 보안 방법론의 발전 과제를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