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Technology Innovation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6초

우리나라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in Korea)

  • 안치수;이영덕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31-465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로 논의되고 있는 개방형 혁신에 초점을 맞춰 개방형 혁신활동을 내향형 혁신활동과 외향형 혁신활동을 구분하고, 영향요인을 환경특성, 기업특성, 재도특성으로 분류하여 국내 149개 제조기업의 설문응답 내용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환경특성 요인의 경우 시장경쟁정도와 기술변화정도가 내향형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시장경쟁정도가 심해지거나 기술변화정도가 높아질 경우, 자사의 기술 개발 촉진 및 시장에서의 우위를 유지하거나 선점하기 위하여 공동연구, 사용자 혁신 등 외부로부터의 기술도입 및 외부의 정보활용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업특성 요인의 경우, 내향형 혁신활동은 연구개발인력, 연구개발투자, 국제화사업건수, 해외수출, 조직문화 개방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향형 혁신활동은 국제화조직특성, 기업가정신(역량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내향형 혁신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인력, 연구비 등의 R&D 투입요소의 증대에 관심을 갖아야 됨을 의미하며, 반면 외향형 혁신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제화 전담조직을 육성하며, CEO도 독자적인 내부 기술혁신활동에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보다는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기술혁신활동에 기업가정신을 집중해야 됨을 의미한다. 제도특성 요인의 경우 내향형 혁신활동에서는 기술네트워킹에 의해, 외향형 혁신활동의 경우 산업클러스터 입주여부 및 기술네트 워킹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에서 제도적으로 개방형 혁신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산업클러스터 조성과 기업들의 기술네트워킹 확대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의미한다.

  • PDF

기술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투자성향 특성요인과 개방형 기술혁신의 역할 (Technology Investment Propensity Factors Related on the Technology Competitive Advantage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Role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 신승훈;안연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4호
    • /
    • pp.71-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empirically that technology investment propency factors (TIPFs) refect on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TCA) and management performance. It includes the role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OTI) approach is mediate to TCA from technology investment propensity. Especially the three TIPFs are market orientation, innovation orientation and strategy orientation. The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respondents' data from 181 firms focusing to technology innov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suggested research assumptions including structured equation model were proved.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CEO or CTO must concentrate on innovative, strategic and market oriented propensity when he makes a decision on technology investment. An open innovation approach is effective for getting high TCA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technology intensive firms such as technology innov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개방형 혁신의 성공을 이끄는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능 (The Role and Function of Intermediaries in Driving the Success of Open Innovation)

  • 김정호;박현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35-246
    • /
    • 2022
  • 중소기업은 외부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존을 위해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강요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이나 기술협력 파트너의 발굴을 위해서는 산학연을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외부 자원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독자적인 추진이 어려워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활용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기술이전 분야에서 기술공급자 중심으로 성과요인이나 영향 요인이 연구되었고 중재자에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 중개자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과 기존 기술이전 중개자와 어떻게 다른지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방형 혁신중개자의 역할을 정부지원사업의 수행 결과 토대로 중개자의 역할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의미가 있고, 향후 개방형 혁신 중재자들에 관한 연구에 대한 토대가 되는 것이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

개방형혁신의 공공연구부문 적용방안 연구: KIST ORP 사례를 중심으로

  • 이창근;강대신;정선양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73
    • /
    • 2015
  • 개방형혁신(Open Innovation)이 주창(Chesbrough, 2003)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공공연구 분야서는 제한된 정부 연구재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우선시되어 왔고, 따라서 개방형 연구를 위한 동인과 실증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KIST가 자체 묶음예산을 외부 연구자에게 개방한 ORP사업을 분석하여 공공연구 분야에서의 개방형 혁신연구 적용가능성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개방형 혁신과 혁신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Open Innov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cusing on Manufacturing Industry in South Korea)

  • 정도범;김병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9-76
    • /
    • 2017
  • 오늘날 환경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내부 R&D만 수행하여 생존하거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에 관한 패러다임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들에서 외부 R&D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수행한 한국기업혁신조사(KIS)의 데이터를 통해 개방형 혁신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제조업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의 비중을 확인하였고, 개방형 혁신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혁신은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패러다임이 아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부지원제도의 활용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외부 R&D의 활용은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업들이 혁신 활동을 수행할 때 전략적인 방향을 마련하거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IT중소기업의 개방형 기술혁신 수용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Adoption of Open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SMEs based 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 정석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4호
    • /
    • pp.47-66
    • /
    • 2013
  • Recently, with the diffusion of a new paradigm named as the creative economy, the government's interests and efforts regarding support of SMEs' R&D have been concentrated. In particular, due to the dominant perception that the fundamental science and original technology from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can further enhance the capabilities of SMEs' R&D,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s diffusion on national R&D is further emphasized. In fact, the domestic SMEs don't have enough budget and workforce, so that all of self-contained technologies, product's competitiveness as well as the R&D capabilities, are very vulnerable, and thereby SMEs' commercialization is very likely to fail. For this end, SMEs need to adopt the concept of open innovation as the use of external R&D resources by licensing.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a total of 286 domestic IT SMEs, and analyzed empirically to compare the degree of their acceptanc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open/not-open innovation. As a result, we drew some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the SMEs' op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found a variety of implications through them.

중소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 모형 (Open Innovation Models in SMEs)

  • 윤병운;이성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0-183
    • /
    • 2010
  • 최근 많은 기업들이 다른 혁신 주체들과의 협력을 통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수행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에 관련된 연구나 사례분석에는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못해서 외부의 리소스에 접근하거나 다른 기업들과 협력하기에 매우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또한 많은 중소기업들이 유통, 서비스, 판매 등과 관련된 외부 리소스에 의존하고 있으나 오픈 이노베이션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개 연구개발이나 생산에만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과 정책을 제시하고 중소기업이 채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오픈 이노베이션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소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형태를 정의하고 산업이나 기업의 특성에 맞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유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 결정자가 중소기업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이 공공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Open Data Policies on Public Innovation)

  • 임준원;최경현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9-29
    • /
    • 2017
  • Nowadays, the policy of open data disclosure has become one of the globally used tools for public innov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policy has eventually created the achievement of public innovation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valuates qualities of the fourteen thousand open data in Korea that is disclosed to the public and compares it with indexes such as the usage of data, transparency index, and Government 3.0 Excellency Index, which are regarded as the outcome of the disclosur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orientation for the policy.

The Role of Open Business Model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Park, Hyo J.;Shin, Wan S.;Ju, Yong J.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77-496
    • /
    • 2014
  • Purpos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business model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ith the data from 30 companies of manufacturing firms in South Korea. Methods: Th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distinguishing five hypotheses relating to development time, IP management, sales, firm size and R&D intensity.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via e-mail and fax. Small and medium-sized (less than 300 employees) and large industrial firms were chosen for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openness in its business mod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are: First, as the business model gets more open, development period of technology will be more favorable which gets benefit from rising costs of innovation. Second, as the business model gets more open, large portion of sales are created from new products. Thus, the problem of shorter product life in the market which affects large portion of market revenue can be solved through an open business model. Third, in general, R&D intensity, firm size and the level of IP management affect determination of business model typ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companies need to increasingly address their external technology exploitation process instead of focusing on their internal innovation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