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aque glaz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 of repetitive firing on passive fit of metal substructure produced by the laser sintering i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 Altintas, Musa Aykut;Akin, Hak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3호
    • /
    • pp.167-172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ssive fit of metal substructure after repetitive firing processes in implant-supposed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Five implants (4 mm diameter and 10 mm length) were placed into the resin-based mandibular model and 1-piece of screw-retained metal substructure was produced with the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MSL) method using Co-Cr compound (n = 10). The distance between the marked points on the multiunit supports and the marginal end of the substructure was measur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t each stage (metal, opaque, dentin, and glaze). 15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each prosthesis, and 150 measurements from 10 samples were obtained. In total, 600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t 4 stages. One-way ANOVA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data. RESULTS. When the obtained marginal range values were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lowest values were found in the metal stage (172.4 ± 76.5 ㎛) and the highest values (238.03 ± 118.92 ㎛) were determined after glaze application. When the interval values for groups are compared with pairs, the differences between metal with dentin, metal with glaze, opaque with dentin, opaque with glaze, and dentin with glaz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05), whereas the difference between opaque with metal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P=.992). CONCLUSION. Passive fit of 1-piece designed implant-retained fixed prosthesis that is supported by multiple implants is negatively affected by repetitive firing processes.

Glaze Development with Application of Unity Molecular Formula

  • No, Hyunggoo;Kim, Soomin;Kim, Ungsoo;Cho, Wooseo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35-540
    • /
    • 2016
  • Effects of compositions and sintering conditions on glaze properties are shown in the diagram constructed by using the unity molecular formula (UMF) method in this study. Glossy characteristics of glaze were clearly differentiated by compositional area in the diagram and sintering process. As alumina and silica contents were increased, texture of the glaze became rough and opaque, akin to having been devitrified or underfired. The correlation between glossiness and surface roughness was found to be non-linear and inversely proportionate. Crystalline phases formed in the glaze were also influenced by the compositional area.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CaO, anorthite and wollastonite were forme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s. Hardness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alumina and silica concentrations in the glaze.

여러 가지 나무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제조와 색상 특성 (Glaze from Wood Ashes and their Color Characteristics)

  • 한영순;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8-164
    • /
    • 2004
  •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12가지 나무와 참나무잎, 소나무껍질 등을 나무 부위별로 구분하여 나무재를 만들어 한국적 천연 재유의 특성을 연구ㆍ분석한 결과 나무재의 주성분은 CaO이며 소나무껍질재는 $SiO_2$, 참나무잎재의 주성분은 CaO와 $SiO_2$이다. 아카시아나무재, 미루나무재 및 대추나무재는 다른 나무재에 비해 MgO와 Fe$_2$ $O_3$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노랑색기를 띤 녹색유약으로 나타났으며 UV에 의한 4분류 중 가장 채도가 높아 맑은 색을 지닌 투명유 제조에 적합하다. 포도나무재, 배나무재 및 참나무재는 재 안에 많이 함유된 Fe$_2$ $O_3$, MgO 및 MnO의 영향을 받아 UV 분석결과 노랑색기를 띤 녹색 현상이 나타났으며 다른 나무재보다 P$_2$ $O_{5}$의 함량이 많아 온화하고 안정된 느낌을 주는 유백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유백유 제작에 적합하다. 소나무재, 플라타너스나무재 및 느티나무재는 다른 나무재에 비해 CaO 성분과 P$_2$ $O_{5}$ 성분이 많아 12가지 나무재 중 가장 선명하고 푸른색기가 많은 녹색 현상이 나타나 청자유약제조에 적합하다. 자작나무, 참나무, 밤나무는 소량으로 유약의 색상에 많은 영향을 주는 MnO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아카시아나무재, 미루나무재, 대추나무재 보다는 약하지만 노랑색기를 띤 녹색유 현상이 나타나 이라보 유약 제조에 적합하다.

도기유의 표면장력이 Pinhole 현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e Tension on Pinhole Phenomenon of Earthen Ware Glazes)

  • 지응업;이경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2
    • /
    • 1976
  • The corelation between surface tensions and surface appearances of SK O5a opaque glazes for earthen wares were investigated. The surface tension values were theoretically calculated by using Dietzel's factors of constituent oxides of glaze. The surface appearances of glazes, especially the pinhole phenomena were strongly effected by the surface tension values showing the following general tendencies: (1) In the range of 305±3 dynes/cm of surface tensions, glazes showed almost no pjnholes. (2) In the range of surface tensions less than 300 dynes/cm, the large numbers of small pinholes or eggshell textures were observed. (3) In the range of surface tensions higher than 310 dynes/cm, large and deep pinholes were observed. (4) The contact angles of glazes on the wall tile body substrate are in the good proportional agreement with the surface tension values calculated by Dietzel's factors.

  • PDF

곡물재와 채소재를 이용한 도자기용 유약제조와 그 특성 (Pottery Glaze Making and It′s Properties by Using Grain Stem Ash & Vegetables Ash)

  • 한영순;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34-841
    • /
    • 2004
  • 우리 주변(경기도 이천, 양평, 용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곡물대 10가지와 2가지의 곡물껍질(콩깍지, 왕겨), 4가지의 채소(시금치, 무우잎과 줄기, 호박잎과 줄기, 고추대)의 재를 만들어 한국적 천연 재유의 특성을 연구 분석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곡물대재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1그룹인 들깨대재, 참깨대재, 검정콩대재, 팥대재에는 다른재에 비하여 $SiO_2$ 성분이 적고 CaO와 P$_2$ $O_{5}$ 성분이 10%이상 함유되어 비교적 유백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약한 녹색기가 도는 밝은 노랑색유로 나타나 유백유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2그룹인 고추대재, 시금치재, 콩깍지재, 무우잎ㆍ줄기재, 콩대재에는 모든 성분이 비교적 고르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MgO 함량이 평균 8.53%로 가장 많고 Fe$_2$ $O_3$ 성분이 2% 정도 함유하고 있어 채도가 높은 녹색기를 많이 띤 노랑색유로 나타났으며 유흐름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 이라 보 유약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3그룹인 옥수수대재, 흰콩대재, 호박잎ㆍ줄기재는 $SiO_2$, $Al_2$ $O_3$의 함량이 다른 재에 비하여 많았고 Fe$_2$ $O_3$가 3~5%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UV에 대한 4분류 중 색상, 채도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짙은 노랑에서 짙은 고동색을 지닌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천목유 및 흑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SiO_2$ 성분이 45~82%로 함량이 제일 많아 잘 녹지 않고 다른 재에 비하여 Fe$_2$ $O_3$와 P$_2$ $O_3$ 성분의 함량이 적은 4그룹인 갈대재, 볏짚재, 수수대재, 왕겨재는 푸른색기 또는 녹색기가 도는 흰색에 가까운 미색으로 나타나 백유의 기본유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였다.

착빙 해석의 표면 거칠기 모델 개선을 위한 착빙 풍동시험 연구 (Icing Wind Tunnel Tests to Improve the Surface Roughness Model for Icing Simulations)

  • 손찬규;민승인;김태성;김선태;이관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611-620
    • /
    • 2018
  • 수치해석을 이용한 항공기 착빙 형상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거칠기 분포 예측이 가능한 해석적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량적인 실험 결과가 거의 없어 해석적 모델을 검증하고, 경험적인 변수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면의 상태를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착빙 환경 변수인 온도와 자유류 속도에 따른 매끈한 표면의 넓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대기 온도가 높고 자유류 속도가 증가할수록 매끈한 표면의 넓이가 증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서리 얼음 표면과 유리얼음 표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리얼음 조건에서는 불투명한 원뿔 형태의 얼음 요소들이 유동 반대 방향으로 성장하고, 대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원뿔 얼음 요소들의 길이와 간격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리얼음 조건에서는 반투명한 얼음 덩어리를 날개 아랫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중력의 영향이 큰 아랫면에서 주로 리블렛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리블렛이 집중하여 얼어붙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