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tology Matching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49초

T-MERGE 연산자에 기반한 분산 토픽맵의 자동 통합 (Automatic Merging of Distributed Topic Maps based on T-MERGE Operator)

  • 김정민;신효필;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9호
    • /
    • pp.787-801
    • /
    • 2006
  • 온톨로지 통합은 두 소스 온톨로지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온톨로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시맨틱 웹, 데이타 통합, 지식관리시스템 등 여러 온톨로지 응용 시스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연구주제이다. 그러나 과거의 연구들은 대부분 두 소스 온톨로지들 사이에 의미적으로 대응되는 공통 요소를 효과적으로 찾기 위한 온톨로지 매칭 기법에 집중되어 있으며 매핑 요소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매칭 프로세스에 의해 주어진 매핑 결과에 기반하여 두 소스 온톨로지들을 통합해 나가는 상세한 통합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매핑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통합 충돌의 유형에 대한 분류 체계 및 충돌을 탐지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충돌의 탐지 및 해결을 포함하여 통합 과정을 캡슐화하는 T-MERGE 연산자와 통합 과정의 기록과 오류 복구를 위한 MergeLog를 설계 및 구현한다. 제안하는 통합 모듈의 성능을 보이기 위해 동, 서양 철학 온톨로지들과 야후 및 네이버 백과사전의 일부를 온톨로지로 구현하여 실험 데이타로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전문가의 수작업에 의한 온톨로지 통합과 동일한 결과를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사용자 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선호도 기반 검색 기술 (Preference-based search technology for the user query semantic interpretation)

  • 정훈;이무훈;도하나;최의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71-277
    • /
    • 2013
  • 질의 의미 해석에 대한 대표적인 시맨틱 검색은 논리적으로 표현된 지식 베이스를 사용하여 현재의 키워드 기반 검색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키워드의 의미가 상호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의 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선호도 검색을 할 수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부합하는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검색 선호도 기반으로 평가하여 랭킹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온톨로지 기반으로 구축된 지식 베이스의 정형화된 구조에 의미 해석 과정이 통합된 온톨로지 지식 베이스 기반 검색 시스템이다.

Choosing preferable labels for the Japanese translation of the Human Phenotype Ontology

  • Ninomiya, Kota;Takatsuki, Terue;Kushida, Tatsuya;Yamamoto, Yasunori;Ogishima, Soichi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2호
    • /
    • pp.23.1-23.6
    • /
    • 2020
  • The Human Phenotype Ontology (HPO) is the de facto standard ontology to describe human phenotypes in detail, and it is actively use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are disease diagnoses. For clinicians who are not fluent in English, the HPO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languages, and there have been four initiatives to develop Japanese translations. At the Biomedical Linked Annotation Hackathon 6 (BLAH6), a rule-based approach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preferable Japanese translation for each HPO term among the candidates developed by the four approa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PO and Mammalian Phenotype translations was also investigated, with the eventual goal of harmonizing the two translations to facilitate phenotype-based comparisons of species in Japanese through cross-species phenotype matching.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PO terms and the need for manual curation, it would be useful to have a dictionary containing word-by-word correspondences and fixed translation phrases for English word order. These considerations seem applicable to HPO localization into other languages.

Appearance-Order-Based Schema Matching

  • Ding, Guohui;Cao, Keyan;Wang, Guoren;Han, Dong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8권2호
    • /
    • pp.94-106
    • /
    • 2014
  • Schema matching is widely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data integration, ontology merging, data warehouse and dataspa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atching technique that is based on the order of attributes appearing in the schema structure of query results. The appearance order embodies the extent of the importance of an attribute for the user examining the query results. The core idea of our approach is to collect statistics about the appearance order of attributes from the query logs, to find correspondences between attributes in the schemas to be matched. As a first step, we employ a matrix to structure the statistics around the appearance order of attributes. Then, two scoring functions are considered to measure the similarity of the collected statistics. Finally, a traditional algorithm is employed to find the mapping with the highest score. Furthermore, our approach can be seen as a complementary member to the family of the existing matchers, and can also be combined with them to obtain more accurate results. We validate our approach with an experimental study, the results of which demonstrate that our approach is effective, and has good performance.

온톨로지기반 추론을 이용한 시맨틱 검색 시스템 (Semantic Search System using Ontology-based Inference)

  • 하상범;박영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3호
    • /
    • pp.202-214
    • /
    • 2005
  • 시맨틱 웹은 단순한 문서들의 링크가 아닌 문서들의 의미와 관계를 표현하는 웹으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검색방식은 온톨로지기반의 추론을 통한 시맨틱 검색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검색키워드와 문서의 키워드가 다르더라도 의미적으로 같으면 온톨로지의 추론을 통해 검색이 가능하게 한다. 둘째, 규칙기반의 변환기가 서로 다른 온톨로지의 컨셉을 정확한 매치(exact match)가 아니어도 유사한 컨셉으로 추론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온톨로지가 검색 키워드의 의미를 뚜렷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키워드 매칭과 빈도만으로 검색하는 것 보다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최적화된 질의문 자동 생성이 도메인 온톨로지를 통해 가능하므로 자연어와 유사한 검색영역과 정확성을 갖게 한다. 다섯째, 에이전트가 단순히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온톨로지에 표현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지식을 자동적으로 찾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타베이스의 질의문을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키워드기반의 정보검색 기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검색하는 기존의 검색 시스템보다 정화한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추론을 적용한 시맨틱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문서검색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결과를 제안한다.

온톨로지의 점증적 갱신에 기반한 스키마 매칭 (Schema Matching Based on An Incremental Ontology Update)

  • 이준승;이경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37-39
    • /
    • 2004
  • 본 논문은 점증적으로 갱신되는 온톨로지에 기반한 스키마 매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스키마 매칭에 사용되는 온톨로지는 전운가에 의하여 작성된 정적인 것으로 모든 어휘관계를 포괄하기는 힘들다. 제안된 방법은 이전의 매칭 결과와 사용자 피드백에 따라 점증적으로 온틀로지를 갱신하여 매칭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제안된 온톨로지는 분할, 병합 관계를 기술하고 있어 단순한 애칭관계분만 아니라 복합매칭관계 추출을 가능케 한다. 성능평가를 위한 실험결과 점증적 온틀로지의 적용이 매칭 성능을 매우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웹 서비스 발견을 위한 클러스터와 온톨로지 매칭 알고리즘 (Cluster and Ontology Matching Algorithms for Web Services Discovery)

  • 이용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3-486
    • /
    • 2009
  • 본 논문은 클러스터링 탐색 방법과 온톨로지 학습 방법을 융합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검색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키워드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웹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고, 반대로 키워드가 일치하지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웹 서비스는 검색 결과에서 제거할 수 있다. 주된 아이디어는 매개변수들 사이의 숨은 시맨틱 개념을 찾아내어 온톨로지를 학습하고, 확장된 키워드 탐색 방법과 온톨로지 활용 방법을 혼합 사용하여 보다 지능적인 웹 서비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이다.

건축물 에너지 분석 자동화를 위한 건축 자재명 온톨로지 구축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Naming Ontology for Automated Building Energy Analysis)

  • 김가람;김건우;유동희;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37-145
    • /
    • 2011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게 되는 현재 건설산업에서 표준 포맷을 사용한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데이터 교환은 건물 전 생애주기에 걸쳐 관련 실무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하지만, 설계 프로그램에서 Industry Foundation Class (IFC) 포맷의 파일을 사용하여 건축물 에너지 분석으로 데이터 교환 시 BIM 정보에서 추출된 자재 정보를 에너지 분석 도구에서 직접 사용할 수 없어 추가적인 데이터 입력 작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자재에 관련하여 에너지 분석 엔진인 DOE-2 의 기본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재 라이브러리와 매칭될 수 있도록. IFC 파일에서 추출된 건축물 자재 표기명을 에너지 분석 프로그램의 자재 라이브러리 표기명과 자동으로 매칭 시키는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에너지 분석 시 분석 과정의 효율성 및 분석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건설사업에서 온톨로지 활용에 대한 개념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생체정보를 이용한 감성.매칭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Sensibility and Music Matching System Using Bio Information)

  • 김태연;서대웅;배상현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22-126
    • /
    • 2008
  • The stress is an unavoidable result and a complex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too, Human activity changes under control of the stress. The stress is a reaction to adrenalin or other stress hormones. It provides the power for fighting and the energy for going away from dangers. Because of the stress, our bodies increase the pulse, the blood pressure and the breath for more blood and more oxygen. So, in this research, we are measuring those which was increased by the stress. Also we will examine the change of HRV and APG on music. After that,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we will design matching system that is based on the sense for music by using Zigbee.

  • PDF

그리드 컴퓨팅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정보 시스템 (Ontology Based Semantic Information System for Grid Computing)

  • 한병전;김형래;정창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7-103
    • /
    • 2009
  • 그리드 컴퓨팅 환경은 기존의 분산 컴퓨팅 기술의 확장된 개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저비용의 고성능 컴퓨팅 퍼포먼스를 얻기 위하여 그리드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의 부재로, 현재의 그리드는 대규모의 단일한 환경으로서의 그리드가 아닌, 기존의 클러스터 컴퓨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이 구성한 분산 컴퓨팅 환경을 그리드 환경의 한 부분으로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정보를 그리드의 이용자가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정보 서비스를 공개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의 공유와 확장이 용이하며, 플랫폼에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웹 서비스, 온톨로지 기반의 Semantic Information System Framework(WebSIS)을 제안한다. WebSIS를 통하여 온톨로지를 이용하는 정보 시스템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온톨로지의 공유와 재사용, 확장의 특징을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또, 그리드 컴퓨팅 환경이 기존의 분산 컴퓨팅 환경에 비해 복잡해짐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자원의 할당에도 좀 더 많은 고려사항이 존재하게 되었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좀 더 고수준의 정보처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우리는 WebSIS와 함께 WebSIS를 이용하여 그리드 환경을 이용하는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온톨로지 기반의 고수준의 정보처리가 가능한 Resource Information Service를 구현하였고,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공유와 확장을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의 용어 매칭이 아닌 의미 정보를 이용한 검색과 정보 처리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