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nline study

검색결과 8,276건 처리시간 0.036초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운영요소 분석 연구 (Invigorating Makerspace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on Operating Components of Makerspaces)

  • 권혁인;김주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5-118
    • /
    • 2019
  • 자신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제작하는 DIY 운동이 ICT 기술과 만나 새로운 제조의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제조의 혁신은 사람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그것을 만들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통해 메이커(Maker) 문화를 탄생시켰다. 메이커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장비를 제공하고 협업을 도모하는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높아졌다. 메이커가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제조 혁신에 대한 열쇠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내에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의 붐이 일어났다. 그러나 활발히 조성되는 메이커스페이스에 비해 국내의 메이커 문화는 미숙하다. 그로 인해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에도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미숙한 메이커 문화의 원인 중 하나로 부족한 국내의 메이커 관련 연구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요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적은 표본의 수 등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 요소를 도출했다. 이어서 메이커스페이스 관련 정책 입안자 및 연구자, 메이커스페이스 운영관련자, 메이커스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용자, 총 12인을 대상으로 도출된 41개 운영요소의 타당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을 통해 수정된 최종 51개의 운영요소에 대하여 정책 입안자 및 연구자, 운영관련자, 이용자로 구성된 총 50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과 결과 분석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GAP 분석을 실시했다. 설문 결과, 모든 운영요소에 대해 중요도가 만족도를 상회했다. 이를 기반으로 운영자 3인을 대상으로 국내 메이커스페이스의 현황과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심층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했다. 앞서 진행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를 위한 온 오프라인 플랫폼 확충, 민간 후원을 위한 연결, 창업에 편중된 메이커 관련 정책의 변화, 메이커 기본 교육의 확대를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했다.

건설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조직 활성화 모델 (The Organizational Activation Model for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

  • 조진호;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409-418
    • /
    • 2019
  • 건설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건설기업은 지식기반 정보화와 세계화의 가속화에 따른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건설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혁신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설문은 건설프로젝트 참여구성원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이용했다. 최종유효 표본은 254 부며, 실증분석은 구조방정식 모델(Smart-PLS 2.0)을 이용했다. 건설프로젝트 참여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보상시스템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시스템에서 내재적 보상과 외재적 보상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는 개인-직무 적합성과 보상시스템에 대해 매개효과는 발휘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경영자로 하여금 건설프로젝트 참여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유발하기 위해 심리적 주인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인-직무 적합성 및 보상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건설프로젝트 조직 활성화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MicroRNA-186 targets SKP2 to induce p27Kip1-mediated pituitary tumor cell cycle deregulation and modulate cell proliferation

  • He, Zongze;Chen, Longyi;Wang, Qi;Yin, Cheng;Hu, Junting;Hu, Xiao;Fei, Fan;Tang, Ji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3호
    • /
    • pp.171-179
    • /
    • 2019
  • Pituitary tumors are usually benign but can occasionally exhibit hormonal and proliferative behaviors. Dysregulation of the G1/S restriction point largely contributes to the over-proliferation of pituitary tumor cells. F-box protein S-phase kinase-interacting protein-2 (SKP2) reportedly targets a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p27^{Kip1}$, a well-known negative regulator of G1 cell cycle progression. In this study, SKP2 expression was found to be upregulated while $p27^{Kip1}$ expression was determined to be downregulated in rat and human pituitary tumor cells. Furthermore, SKP2 knockdown induced upregulation of $p27^{Kip1}$ and cell growth inhibition in rat and human pituitary tumor cells, while SKP2overexpression elicited opposite effects on $p27^{Kip1}$ expression and cell growth. The expression of microRNA-186 (miR-186) was reported to be reduced in pituitary tumors. Online tools predicted SKP2 to be a direct downstream target of miR-186, which was further confirmed by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s. Moreover, miR-186 could modulate the cell proliferation and $p27^{Kip1}$-mediated cell cycle alternation of rat and human pituitary tumor cells through SKP2. As further confirmation of these findings, miR-186 and $p27^{Kip1}$ expression were downregulated, while SKP2 expression was upregulated in human pituitary tumor tissue samples; thus, SKP2 ex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R-186 and $p27^{Kip1}$ expression. In contrast, miR-186 expression positively associated with $p27^{Kip1}$ expression. Taken together, we discovered a novel mechanism by which miR-186/SKP2 axis modulates pituitary tumor cell proliferation through $p27^{Kip1}$-mediated cell cycle alternation.

Problems of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ies in Public Governance

  • Goshovska, Valentyna;Danylenko, Lydiia;Hachkov, Andrii;Paladiiichuk, Sergii;Dzeha, Volodymy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71-78
    • /
    • 2021
  • The relevance of research provides the necessity to identify the basic problems in the public governance sphere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lations, forasmuch as understanding such interconnections can indicate the consequences of the development and spreading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outline the issues of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ies in public governance sphere. 500 civil servants took part in the survey (Ukraine). A two-stag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practical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irst stage involved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sponses of civil servants on the Mentimeter online platform. In the second stage, the administrator used the SWOT-analysis system. The tendencies in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termined as follows: the institutional support development; creation of analytical portals for ensuring public control; level of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ctivity of civil servants;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projects; changing the philosophy of electronic services development. Considering the threats and risks to the public governance system in the context of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following aspects generated by societal requirements have been identified, namely: creation of the digital bureaucracy system; preservation of information and digital inequality; insufficient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in the field of digital technologies, reducing the publicity of the state and municipal governance system. Weaknesses of modern public governance in the context of IT implementation have been highlighted, namely: "digitization for digitalization"; lack of necessary legal regulation; inefficiency of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issues caused by the imperfection of the interface of reporting interactive forms, frequent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indicators in reporting forms, the desire of higher authoriti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ir introduction); lack of data analysis infrastructure (due to imperfections in the organization of interaction between departments and poor capacity of information resources; lack of analytical databases), lack of necessary digital competencies for civil servants. Based on the results of SWOT-analysis, the strengths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possibility of continuous communication; constant self-learning); weaknesses (age restrictions for civil servants; insufficient acquisition of knowledge); threats (system errors in the provision of services through automation); opportun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IT in the public governance system (broad global trends; facilitation of the document management system).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lies in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eliminating the problems of IT implementation in the public governance sphere outlined by civil servants..

디지털 저작권침해 행위에서 상황행위이론의 적용을 통한 자기통제와 처벌억제의 조절효과: 다운로드와 업로드 행위의 비교 (A Test of Situational Action Theory for Expla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Deterrence in Digital Piracy: Comparing Download with Upload Behavior)

  • 이성식;장하영;임수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9-17
    • /
    • 2021
  • 이 연구는 상황행위이론을 디지털 저작권침해의 다운로드와 업로드 행위에 적용함에 있어 자기통제력과 처벌억제의 통제작용을 살펴보았다. 상황행위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도덕성은 높은데 도덕규칙이 약한 환경일 때는 자기통제력이, 도덕규칙 환경은 높은데 개인의 도덕성이 낮을 때는 처벌억제가 범죄에 통제요인으로 조절효과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재학중인 317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운로드와 업로드 행위로 나누어 각각 상황행위이론의 논의를 상호작용효과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분석결과 다운로드의 경우는 도덕성이 높지만 도덕규칙이 낮은 경우에서 자기통제력이, 그리고 도덕규칙이 높지만 도덕성이 낮을 때 처벌억제가 유의미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상황행위이론을 지지하지 못했고 상호작용효과 결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업로드의 경우는 상황행위이론과는 달리 도덕성은 높지만 도덕규칙이 낮은 경우에서 자기통제력이 업로드를 통제하기보다 오히려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제시했고, 또한 상황행위이론과 반대로 도덕성은 높지만 도덕규칙이 낮은 경우에서 처벌억제가 조절효과를 갖는 것을 제시했다.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education needs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 강경희;박아르마;임효남;황혜정;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95-10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대에 따른 생애주기별 감염병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이다. 2021년 2월 한 달 동안 한국갤럽의 온라인·모바일 조사를 통해 만 19세 이상 성인 328명을 조사하였다. 연구내용은 일반적 특성, 감염 관련 개인위생실천, 감염 관련 지각된 위험성, 감염병에 대한 중요도 및 지식정도,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이다. 조사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Borich 요구도 공식으로 환산하여 중요도와 지식정도를 합산하여 순위를 분석한 결과 1순위(Borich 3.11)는 감염병의 치료 방법, 2순위(Borich 2.15)는 감염병 의심 및 확진 시 처리절차, 3순위(Borich 1.75)는 감염병의 전파경로, 4순위(Borich 1.73)는 감염병의 예방 방법, 5순위(Borich 1.50)는 감염병의 진단 및 검사방법, 6순위(Borich 1.45)는 감염병의 특성, 7순위(Borich1.38)는 감염병의 주요 증상 등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건강, 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mpacts of Relative Advantage of Fast Food Restaurant's O2O Service and Consumer Involvement on Consumer Engagement, and Store Loyalty: Focused on MZ Generationsin Untact Consumption Era

  • LEE, Young-Eun;LEE, Yong-Ki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2호
    • /
    • pp.41-51
    • /
    • 2020
  • Purpose: Fast food franchise companies are trying a variety of innovative service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response to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in the fast food market and rapid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is point of view, franchise companies that have focused on offline store operations are providing O2O (offline to online) service as a core service for customer convenience. This new attempt is a strategy to increase loyalty by applying an interaction method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consumers.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2O service and acceptance, so very little is known about how O2O service affects customer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customer involvement and relative advantages of fast food O2O service on customer brand engagement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and store loyalty for MZ(Millennials - Z) gener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several hypotheses were develop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7 questionnaires in their 16-30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martPLS 3.0 program. Measurement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lso, common method bias was tested using the values of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The hypotheses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 First, involv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Second, relative advantages have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Third, cognitive influences affective engagement. Finally,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affect store loyalty, but affective engage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store loyalty than cognitive engagement. Conclusions: In the process of consumer-brand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store loyalty was influenced by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sequentially.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affective engagement has a relatively stronger on store loyalty than cognitive eng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2O service strategy to maintain long-term loyal customers by inducing cognitive participation with high-involved consumer, as well as affective interaction, in order to obtain new customers and increase customer loyalty.

간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Intention to Drop out)

  • 최정;박영미;하영옥;권유림;송정희;김민경;김다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에 소재한 일개 간호학과 재학생 363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2020년 11월 9일부터 27일까지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중도탈락의도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4.32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3.66점, 학습민첩성은 3.40점, 중도탈락의도는 2.08점이었다. 중도탈락의도는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 전공만족도, 정신적 건강상태, 성적, 학년이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4%였다. 이에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중도탈락의도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중요 변수들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대학과 학과 차원의 인프라를 마련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타당성 연구 (Paper Title of Valid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 Occupational Therapist)

  • 문영주;장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40-2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라쉬분석을 통해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수준 및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작업치료사 정체성에 연구의 기초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작업치료사로 종사하고 있는 88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빈도와 기술통계, Winsteps 3.8.0 항목 및 대상자 적합도, 항목난이도, 평정척도, 분리 신뢰도 등 라쉬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 중 17명(16.3%)가 부적합, 항목은 25항목 중 5개(20%)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항목난이도는 '나는 체계적으로 작업치료 전문 간행물(소식지, 신문 등)을 읽는다' 항목이 가장 높은 난이도이며, '나는 내가 할 일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한다'가 가장 낮은 난이도를 보였다. 평정척도는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리신뢰도는 .86~.95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수준과 특성 파악하고, 항목 및 대상자 적합도, 항목난이도를 라쉬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작업치료사만을 위한 전문직 정체성 측정 도구 개발 및 업무 특성에 맞는 항목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패스트푸드 기업의 인지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Do American Consumers Perceiv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ons and Exhibit Loyalty Inten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putation of Fast Food Restaurants?)

  • 이기원;이영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7-187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customers toward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regarding restaurant healthfulness,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impact of corporate reputation on loyalty intentions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motiv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S. residents who were aware of fast food restaurants' CSR activities. Participants selected one fast food restaurant participating in CSR activities, coded as either traditional (n = 117) or non-traditional (n = 48), and answered questions about the selected restaurant's healthfulness, reputation, CSR motives, and loyalty intentions.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healthfulness and corporate reputation of the two types of fast-food restaurants were compared. A mediation path of corporate reputation - CSR motive - loyalty intention was analyzed. Results: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5.02 ± 1.26) were perceived to be more healthful than traditional ones (3.93 ± 1.72).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compared to 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non-traditional ones had a better overall corporate reputation (P = 0.037),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customers (P = 0.029), better workplaces (P = 0.007), more environmentally and socially responsible (P < 0.001), and offered higher quality products and services (P = 0.042).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restaurant healthfulness and corporate reputation (P < 0.001 for all reputation items). The suggested mediation path was supported with 95% CIs excluding zero, implying that when fast-food restaurants had a better reputation overall, were customer oriented, good employers, strong companies with a good product and service quality,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CSR activities to be sincere and were hence loyal to that restaurant. Conclusions: Overall, participants were more favorable towards non-traditional fast-food restaurants which had a healthier image and better reputation than traditional ones. Therefore, fast food restaurants need to consider offering healthy food and enhance their image, which would maximize the return on their investment in CS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