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gomer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3초

Selective Dimerization and Cyclotrimerization of Phenylacetylene with Rhodium and Iridium Complexes

  • Chin, Chong-Shik;Won, Gyong-Shik;Song, Joo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11호
    • /
    • pp.961-966
    • /
    • 1994
  • Oligomerization of phenylacetylene is catalyzed by $Rh(ClO_4)(CO)(PPh_3)_2$ (Rh-1), $[Rh(CO)(PPh_3)_3]ClO_4$ (Rh-2), $[Rh(COD)L_2]ClO_4 (L_2=(PPh_3)_2$, Rh-3; $(PPh_3)(PhCN)$, Rh-4; $(PhCN)_2$, Rh-5), $[Rh(C_3H_5)(Cl)(CO)(SbPh_3)_2]ClO_4$ (Rh-6), $[Ir(COD)L_2]ClO_4 (L_2=(PPh_3)_2$, $Ir-1; (PPh_3)(PhCN)$, $Ir-2; (PhCN)_2$, Ir-3; (AsPh_3)(PhCN)$, $Ir-4; Ph_2PCH_2CH_2PPh_2$, Ir-5; COD, Ir-6 and 2,2'-dipyridyl, Ir-7), $Ir(ClO_4)(CO)(PPh_3)_2$, $Ir-8, [Ir(PhCN)(CO)(PPh_3)_2]ClO_4$, Ir-9 to produce dimerization products, 1,3-diphenylbut-1-yn-3-ene, 1, (E)-1,4-diphenylbut-1-yn-3-ene, 2 and (Z)-1,4-diphenylbut-1-yn-3-ene, 3, and cyclotrimerization products, 1,3,5-triphenylbenzene, 4 and 1,2,4-triphenylbenzene, 5. Product distribution of the oligomers varies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nature of catalysts, reaction temperature, counter anions and excess ligand present in the reaction mixtures. Increasing reaction temperature in general increases the yield of the cyclotrimerization products. Exclusive production of dimer 1 and trimer 4 can be obtained with Ir-1 at 0 $^{\circ}$C and with Ir-2 in the presence of excess PhCN (or $CH_3CN$) at 50 $^{\circ}$C, respectively. Dimer 2 (up to 81%) and trimer 5 (up to 98%) are selectively produced with Rh-1 at 50 and 100 $^{\circ}$C respectively. Production of 3 is selectively increased up to 85% by using $PF_6$- salt of $[Ir(COD)(PPh_3)_2]$+ at 25 $^{\circ}$C. Addition of $CH_3I$ to Rh-1 produces $CH_3PPh_3^+I-$ and increases the rate of oligomerization(disappearance of phenylacetylene). Among the metal compound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r-1 catalyzes most rapidly the oligomerization where the catalytically active species seems to contain lr(PPh3)2 moiety. The stoichiometric reaction of phenylacetylene wth Ir-9 at 25 $^{\circ}$C quantitatively produces hydridophenyl-ethynyl iridium(III) complex, $[lr(H)(C{\equiv}CPh)(PhCN)(CO)(PPh_3)_2]ClO_4$ (Ir-11), which seems to be an intermediate for the oligomerization.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xo-β-1,3-Galactanase from Penicillium oxalicum sp. 68

  • Zhou, Tong;Hu, Yanbo;Yan, Xuecui;Cui, Jing;Wang, Yibing;Luo, Feng;Yuan, Ye;Yu, Zhenxiang;Zhou, Yif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1064-1071
    • /
    • 2022
  • Arabinogalactans have diverse biological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pharmaceutical agents. Most arabinogalactans are composed of β-(1→3)-galactan, so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identify β-1,3-galactanases that can selectively degrade them. In this study, a novel exo-β-1,3-galactanase, named PoGal3, was screened from Penicillium oxalicum sp. 68, and hetero-expressed in P. pastoris GS115 as a soluble protein. PoGal3 belongs to glycoside hydrolase family 43 (GH43) and has a 1,356-bp gene length that encodes 451 amino acids residues. To study the enzymatic properties and substrate selectivity of PoGal3, β-1,3-galactan (AG-P-I) from larch wood arabinogalactan (LWAG) was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HPLC and NMR. Using AG-P-I as substrate, purified PoGal3 exhibited an optimal pH of 5.0 and temperature of 40℃. We also discovered that Zn2+ had the strongest promoting effect on enzyme activity, increasing it by 28.6%. Substrate specificity suggests that PoGal3 functions as an exo-β-1,3-galactanase, with its greatest catalytic activity observed on AG-P-I. Hydrolytic products of AG-P-I are mainly composed of galactose and β-1,6-galactobiose. In addition, PoGal3 can catalyze hydrolysis of LWAG to produce galacto-oligomers. PoGal3 is the first enzyme identified as an exo-β-1,3-galactanase that can be used in building glycan blocks of crucial glycoconjugates to assess their biological functions.

Vibrio sp. PKA 1003의 알긴산 분해 조효소 생산 최적 조건과 조효소의 특성 (The Optimal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Alginate-degrading Enzyme from Vibrio sp. PKA 1003)

  • 김현지;김꽃봉우리;김동현;선우찬;정슬아;정다현;정희예;임성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34-44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응용가능한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소적 분해를 이용하여 제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해조류로부터 알긴산 분해 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탐색하고, 분리하여 알긴산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최적 생육 조건 및 그 조효소액의 알긴산 분해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갈조류인 지충이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Vibrio sp. V140으로 동정되었으며 PKA 1003으로 명명하였다. Vibrio sp. PKA 1003균주의 최적 생육 특성을 알아본 결과, pH 7, 3% NaCl, $25^{\circ}C$ 및 48시간이었으며, 6% 알긴산과 1:1 배양 시 분해 효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Vibrio sp. PKA 1003 균주가 생산하는 조효소의 알긴산 분해 최적 조건은 pH 9, $30^{\circ}C$, 6% 알긴산 및 63시간으로 나타났으며, 배양 시간에 따라 TLC를 실시한 결과, 배양 12시간부터 서서히 분해되어 2개의 spot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효소액에 의해 알긴산이 여러 가지 단당 또는 올리고당으로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효소액에 trypsin을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trypsin 처리구 및 조효소액 처리구의 환원당 생성량이 각각 70.91 및 $538.62{\mu}g/mL$로써 알긴산 분해 활성이 효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Vibrio sp. PKA 1003의 최적 생육 조건 및 알긴산 분해 최적 조건에서 알긴산 분해 효소 및 알긴산 올리고당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망간산화물과 버네사이트에 의한 1-Naphthol의 제거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movals of 1-Naphthol by Natural Manganese Oxides and Birnessite)

  • 이두희;한윤이;강기훈;신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78-28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망간원석을 포함한 4종의 천연망간산화물($NMO_1\;NMO_4$)을 대상으로 물질특성(결정상, 표면형태)과 1-naphthol (1-NP)에 대한 제거반응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버네사이트에서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천연망간산화물은 출처에 따라 버네사이트(${\delta}-MnO_2$)외에도 크립토멜란(${\alpha}-MnO_2$), 연망간석(${\beta}-MnO_2$) 등의 다양한 표면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표면 특성으로 인해 제거효율(제거율, 반응속도) 및 제거반응(흡착 또는 산화-변환제거)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NMO_1$(전해망간산화물)은 버네사이트에 비교해서도 우수한 1-NP의 산화-변환 제거효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망간산화물에 의한 1-NP의 제거는 모두 유사-일차속도 식을 따랐으며, 각 망간산화물의 비표면적으로 표준화하여 얻은 속도상수($k_{surf},\;L/m^2$ min) 값은 $NMO_1(3.31{\times}10^{-3})$>${\delta}-MnO_2(1.48{\times}10^{-3}){\fallingdotseq}NMO_3(1.46{\times}10^{-3})$>$NMO_2(0.83{\times}10^{-3})$>$NMO_4(0.67{\times}10^{-3})$의 순이었다. 또한, 반응후 침전층에 대한 용매추출실험을 통해 평가한 1-NP의 산화-변환 반응효율은 $NMO_1{\fallingdotseq}{\delta}-MnO_2$>$NMO_3$>$NMO_4{\gg}NMO_2$의 순이었으며, 반응산물은 반응여액(상등액)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램, UV-vis. 흡광도비($A_{2/4}$, $A_{2/6}$) 분석을 통해 버네사이트에서와 같이 1-napthol의 산화-결합 반응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 사용한 천연망간산화물($NMO_2$ 제외)은 1-NP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반응효율은 망간산화물의 출처에 따른 표면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lpha$-아미노이소부틸산-알라닌 올리고 펩티드의 $3_{10}$/$\alpha$ 나선 전이에 관한 모형 (A Model for the $3_{10}$/$\alpha$ Helix Transitions of $\alpha$-Aminoisobutyric Acid-Alanine Oligopeptide)

  • 김영구;박형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710-718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alpha}$-aminoisobutyric acid (Aib)와 alanine (Ala)이 교대로 결합된 올리고펩티드(Buo-(Ala-Aib)$_n$-oMe:여기서 Buo는 t-butoxy를 oMe는 methoxy를 의미한다)의 구조적인 전이현상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통계 열역학적인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Poly $\alpha-aminoisobutyric$ acid는 $3_{10}$ 나선 구조를 가지며 polyalanine은 $\alpha$ 나선구조를 가진다. 올리고펩티드(Buo-(Ala-Aib)$_n$-oMe)의 사슬 길이를 N = 4(N = 2n)에서부터 증가시킬 때, $3_{10}$ 나선구조에서 $\alpha$ 나선구조로의 전이는 사슬길이가 N = 8일 때 일어난다. 올리고 펩티드는 수용액에서 코일 구조로만 있으나, 유기용매(예를 들면, $CD_3$CN)에서는 여러가지 구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코일구조만으로 된 것, 코일과 $3_{10}$ 나선구조로 된 것, 코일과 $\alpha$ 나선구조로 된 것을 zipper 모형을 사용하여 전이현상을 설명하였다. Zimm-Bragg변수인 $\alpha$$\xi$는 실험적인 값에 의거하였다. 각각 그 값은 $\sigma_T$ = 0.00011이고, ${\sigma}_T$ = 0.0060이며, $\xi_A$ = 10.1, $\xi_T$ = 3.90이 된다(첨자 A와 T는 각각 $\alpha$ 나선, $3_{10}$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슬 전체길이를 N이라 하면 $\alpha$ 나선내에서의 나선내 수소 결합수는 N-2, N-3, N-4, ${\cdots}$, 3, 2, 1등이 있을 수 있으며, $3_{10}$ 나선에서는 N-1, N-2, N-3, N-4, ${\cdots}$, 3, 2, 1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xi_A$$\xi_T$가 1보다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긴 나선으로 된 사슬로 존재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많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