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males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6초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Fall Patients Visit to the Emergency Department: A Comparison by Gender

  • Kim, Jun Kew;Kim, Sun Pyo;Kim, Sun Hyu;Cho, Gyu Chong;Kim, Min Joung;Lee, Ji Sook;Han, Chul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1권3호
    • /
    • pp.117-12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ED) due to falls by separating male and femal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fall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data of the in-depth surveillance study of injured patients visit to the E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from 2011 to 2016 by separating male and female. Results: A total of 361,588 elderly fall patients were analyzed and, among them, 14,429 (37.3%) were males and 24,208 (62.7%) were females. Male and female showed similar frequency of damage happening season. However, they showed falling accident mostly on winter. The time of injury occurrence is mostly from 12:00 to 18:00 with 4,949 (34.3%) male and 8,564 (35.4%) female. Most falls occurred in daily activities, accounting for 7,614 (52.8%) in males and 14,957 (61.8%) in females, respectively. Unintentional damage accounted for the most part and 7,395 (51.2%) of male and 15,343 (63.4%) of female were injured indoors. Head and neck were the most common site of injuring, with 8,392 (58.2%) in males and 7,851 (32.4%) in females. According to ED examination outcomes, most of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hile the majority of the hospitalized patients were admitted to the general patient room. Conclusions: The elderly falls occurred mostly from 12:00 to 18:00, during winter and to elderly women. Also, they happened unintentionally indoors in everyday life, mostly. Proved clinical,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useful indicator at validity research of development of prevent program of falling accident for elderly people.

Arterial stiffness index, physical activity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cross-sectional study in adults aged 40 years and older

  • Eun-A Kim;Yun-Mi Kim;Eun-Kyung Kim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1-96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rterial stiffness index, physical activity,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in middle-aged adults over 40 years when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begins to increas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6 subjects (48 males and 58 females) aged between 40 and 64 years. The arterial stiffness index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nd ankle-brachial index [ABI]) were measured using a blood pressure pulse wave testing device. Physical 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was calculated using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4.4 years. Although the ABI of the subjects was within the normal range, they were divided into tertiles to compare physical activity and food and nutrient intake. In males, the time spent on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MVP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3 (600.6 min/week) than in T1 (304.4 min/week). In females, the time spent in sedentary behavio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3 (294.5 min/week) than in T1 (472.1 min/week).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fish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3 (1.27 frequency/day) than in T1 (0.64 frequency/day) in females.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ω-3 fatty acid intake, adjusted for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BI (r = 0.200 and r = 0.218, respectively). Conclusions: High MVPA (in males), low sedentary behavior (in females), and PUFA and ω-3 fatty acid intake through fish consumption may be associated with low peripheral artery stiffness. Therefore, arteriosclerosis can be prevented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proper dietary therapy.

50대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이 골관절염 유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wing Difficulty on the Prevalence of Osteoarthritis in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 황수현;한삼성;유왕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5-152
    • /
    • 2015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원시자료 중 검진 및 건강 설문조사를 모두 완료한 50세 이상 8,498명의 성인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과의 관련성을 PASW Statistics ver. 18.0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저작불편감 상태에 따른 분포에서 저작불편감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38.8%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비교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에서는 50~64세 34.3%, 65세 이상 46.4%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교육 및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상태인 경우, 우울증 및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저작불편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과의 관계는 저작불편감을 가진 대상자는 저작불편감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골관절염의 유병위험률이 1.44배(95% CI=1.23~1.70)로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별을 층화시켜 분석한 결과, 남성에서 1.36배(95% CI=0.98~1.88)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남성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여성에서 1.47배(95% CI=1.22~1.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여성에서는 저작불편감과 골관절염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50세 이상 성인의 저작불편감 여부가 여성의 골관절염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위생을 통한 구강건강의 문제를 개선시킴으로써 골관절염의 악화를 예방 및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중·고령자 사회참여 변화 유형화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ology and Determinants for Changes i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Middle-aged and Older Population)

  • 이민욱;정규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43-249
    • /
    • 2019
  • 본 연구는 중 고령자의 사회참여 변화를 유형화 하고 각 변화에 대한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2006)부터 6차(2016)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패널조사의 응답자 중 남성 1,327명, 여성 1,520명인 총 2,847명이었다. SPSS 22.0, M-plus 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성장혼합 모형을 실시한 결과, 중 고령자의 사회참여 변화는 '고수준 감소형', '중수준 증가형', '저수준 유지형'으로 유형화 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저수준 유지형보다 고수준 감소형과 중수준 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으며, 도시지역에 거주할수록 저수준 유지형보다 고수준 감소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직업이 없을수록 저수준 유지형보다 중수준 증가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중 고령자 사회참여 촉진에 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고령자의 노인여가복지시설 공간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the Older Adults for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 최예림;오지영;박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81-38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하나인 경로당을 중심으로 고령자의 공간이용행태를 조사하여 공간이용도 및 만족도 개선을 위한 조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로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만 65세 고령자 300명(남성 104명, 여성 196명)을 대상으로 경로당 공간이용행태 및 선호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고령자의 경로당 이용빈도는 월 1-3회가 가장 많았고, 선호 이용빈도는 주 1-3회로 나타났다. 즉, 경로당을 자주 이용하고 싶지만 실제로는 자주 이용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경로당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프로그램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볼 때,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이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두 번째, 경로당 이용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최대 5시간으로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개인적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제공된다면 만족도 및 이용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 경로당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하여 친목의 어려움,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친목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공간구성이 개선되거나 접근성을 제고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Oral cancer incidence based on annu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 Sun, Ju-Rim;Kim, Soung-Min;Seo, Mi-Hyun;Kim, Myung-Jin;Lee, Jong-Ho;Myo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1호
    • /
    • pp.20-28
    • /
    • 2012
  • Int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oral cancer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e classifications of oral and maxillofacial cancer (OMFC) that we used are based on possible locations of OMFC: lip, tongue, mouth, salivary glands, tonsil, oropharynx, nasopharynx, hypopharynx, pharynx unspecified, and nose, sinuses. Results: 1) There were 2,848 OMFC cases, accounting for 1.6% of all cancer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72:1. 2) The estimated crude rates (CRs) were 5.7 overall, 8.4 for males, and 3.1 for females.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s (ASRs) were 4.6 overall, 7.3 for males and 2.3 for females. 3) The incidence of mouth cancer was highest. The mouth and salivary glands were the most frequent sites for cancer among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4) Patients who were 40 years or older accounted for 91% of OMFC case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cases in the 60-69 year-old age group for both sexes. 5) Tongue cancer was the most prevalent OMFC overall. Nasopharyngeal cancer was highest among males, and salivary gland cancer was highest among females. 6) From 2004 to 2008, the relative 5-year survival rate of OMFC patients was 57.5%. There was a trend of increasing survival among OMFC patien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urvival rate for females (69.3%) was much higher than that for males (53.1%). Conclusion: Social and personal efforts sh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s of OMFC patients and Korean national cancer management policy should establish new measures for economic and social management and support.

70세 이상의 고령에서 발생한 기관지 결핵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that Develops in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 김휘종;김현식;마정은;이승준;함현석;조유지;정이영;전경녀;김호철;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5호
    • /
    • pp.412-416
    • /
    • 2007
  • 연구배경: 폐결핵의 발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관지 결핵의 발생률도 고령에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70세 이상의 고령에서 발생한 기관지 결핵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 받은 74명의 환자(남:여=12:62, 평균나이: $64.6{\pm}16.2$세)를 대상으로 70세 이상 환자군과 70세 미만 환자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70세 이상의 환자는 41명(55%), 70세 미만의 환자는 33명(45%)이었다. 2) 양군 모두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이었으며, 호흡곤란의 빈도는 70세 이상 환자군이 70세 미만 환자군보다 높았다(31.7% vs. 12.1%). 3) 기관지내시경 소견상 70세 이상의 환자군이 70세 미만의 환자군보다 건락성 괴사형의 비율은 낮았고(39% vs. 66.7%), 부종 충혈형은 상대적으로 높았다(53.7% vs. 27.2%)(p<0.05). 4) 병변의 위치는 기관 또는 주 기관지를 침범하는 경우가 70세 이상의 환자군이 70세 미만의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9.7% vs. 30.3%). 5) 객담 및 기관지 세척액의 항산균 도말 양성률과 배양 양성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70세 이상의 고령에서도 기관지 결핵은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70세 미만의 기관지 결핵 환자와는 다른 몇 가지 임상양상을 보였다.

노인의 신체활동량 및 좌식행동패턴 : 가속도계와 신체활동일기를 이용하여 (Amount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patterns in older adults: using an accelerometer and a physical activity diary)

  • 고나영;;김은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36-46
    • /
    • 2019
  •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49명을 대상으로 가속도계와 신체활동일기를 함께 사용하여 신체활동량과 좌식행동패턴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고 WHO 신체활동지침의 실천율을 평가하였다. 1. CPM과 METs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AEE는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활동 강도별 1일 평균 소요시간을 살펴보면, 본 연구대상자들은 좌식행동에 소요되는 시간 (남녀 각각 60.6%, 57.6%)이 가장 많았으며 좌식행동 및 중 고강도 활동의 소요시간에서는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강도 활동의 소요시간은 여자가 $364.2{\pm}74.5$분으로 남자 ($313.7{\pm}70.8$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2. 남녀 모두 수면시간을 제외한 좌식행동 (2 ~ 5단계) 중 2단계의 '휴식, 담화 및 TV보기' 활동으로 가장 많은 시간 (남자 26.9%, 여자 22.0%)을 보내고 있었으며, 남자가 $388.0{\pm}134.3$분으로 여자 ($316.1{\pm}65.2$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저강도 활동에 포함되는 활동 중에서는 7단계의 '미용 및 옷 갈아입기' 활동과 9단계의 '음식 준비 및 정리하기' 활동의 소요시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중 고강도 활동에서는 15단계의 '체조, 탁구 및 자전거타기' 활동의 소요시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많게 나타났다. 3. 좌식행동패턴을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좌식행동을 30분과 40분 이상 지속한 횟수에서 남자가 각각 $3.10{\pm}1.34$회, $1.78{\pm}1.09$회로 여자 ($2.34{\pm}1.22$회, $1.32{\pm}1.07$회)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나 시간당 좌식행동의 지속을 끊어주는 횟수는 남자 ($5.74{\pm}0.89$회)가 여자 ($6.44{\pm}0.71$회) 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좌식행동을 30분 이상 지속한 횟수 및 시간 당 좌식행동을 끊어주는 횟수는 2단계의 '휴식, 담화 및 TV보기' 활동의 소요시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주로 저강도 활동을 통해서 좌식행동의 지속이 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주일 동안 중 고강도 활동을 각각 2분과 5분 이상 지속한 시간에서는 남자가 $319.8{\pm}255.2$분과 $247.3{\pm}228.2$분으로 여자 ($193.3{\pm}130.6$분, $137.2{\pm}101.9$분)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의 경우 중 고강도 활동의 짧은 지속시간 (10분 미만)으로 인하여 WHO 신체활동지침의 실천율이 22.4% (남자 30.8%, 여자 13.0%)으로 매우 낮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의 경우 장시간 지속되는 좌식행동 패턴을 줄이기 위하여 노력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앉아서 TV를 시청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함이 지적되었다. 앞으로 노인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하여, 노인의 신체활동량 및 좌식행동 패턴과 건강 관련 지표와의 관련성 분석 평가 연구가 필요하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노인만을 위한 별도의 신체활동지침 마련의 필요성이 제시된 바, 노인에게 적합한 신체활동의 적정 강도 및 적정 유지 시간 등이 반영된 새로운 지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노인의 식품에 대한 개념 연구 (A study on connotative meaning of foods to elderly Korean)

  • 정진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81-289
    • /
    • 199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d quantify components of the connotative meaning of food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food concepts and food frequencies on elderly Korean. It involves adapting a communications research tools, the semantic differential and demonstrating its use with two population groups, urban and rural ag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217 males and females of 70 years of age and older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o assess how they feel and what they know about foods, the instrument which contains concepts of price, taste, goodness of health, interest, usuality, likes and dislikes, appetite, fattening, quality, and nutritive value about foods were developed.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ood concepts and food frequencies. The more affirmative concepts the elderly have, the more food frequencies tend to be. positive concepts are appeared on the meat, fishes, vegetables & fruits, Kimchi and the rice, but negative connotations are appeared on the milk and suga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rban and rural elderly on food concepts.

  • PDF

청주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실태 (Voluntary Activity of the Elderly in Cheongju)

  • 조명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23-2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oluntary activities of the elderly. Two hundred and eight older Cheongju residents were selected,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voluntary activities was relatively small. The main reasons for negative attitudes toward voluntary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health status, economic level, religion,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a cluster analysis, the elderly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mong them, a group with positive attitude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was more likely to include males or those educated, healthy, and afflu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provides problem solutions and self development for elderly peo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