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temperature

검색결과 2,389건 처리시간 0.035초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분리된 리파아제 생산 박테리아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haracterization of Lipase Production Bacteria Isolated from Pond Effluent Sedimentary Layer)

  • 김만철;장태원;;장익수;여인규;정준범;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8-62
    • /
    • 2009
  • 제주 연안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으로부터 미생물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총 200여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하여 olive oil이 함유된 평판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를 LI-68, LI-80로 각각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LI-68, LI-80의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Janibacter anophelis와 99%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Janibacter sp. LI-68, Janibacter sp. LI-8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 Janibacter sp. LI-68과 Janibacter sp. LI-80의 증식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를 확인하고 증식온도에 따른 지방분해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배양 온도를 $20^{\circ}C$에서 $40^{\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배양하여 균체의 증식과 분비되는 지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주 Janibacter sp. LI-68는 $30^{\circ}C$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나타냈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는 다른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반면 Janibacter sp. LI-80 균주는 $30^{\circ}C$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 반비례하여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빙어의 난발생과정과 자어의 형태발달 (Eggs Development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Ice Fish, Hypomesus transpacificus nipponensis McAllister)

  • 한경호;이승주;김용억;명정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7-502
    • /
    • 1996
  • 1990년 3월,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에 위치한 오십천과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강에서 채집하여 인공수정한 난을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성장에 따른 형태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빙어의 수정난은 구형의 침성부착난으로 무색 투명하며, 난경은 $0.85\~1.05mm$ (평균 0.97mm, n=50)이다. 2.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16.5^{\circ}C$에서 약 170시간만에 부화한다. 3.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85\~4.25mm$ (평균 4.05 mm, n=10)로, 아직 입과 항문이 열려 있지 않고, 눈에 색소포가 착색되어 있으며, 근절수는 $52\~54$개이다. 4. 부화 $4\~5$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5.20\~5.65mm$ (평균 5.37mm, n=10)로 난황은 거의 흡수되고, 눈의 색소는 더욱 짙어진다. 5. 부화 20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8.20\~8.55\;mm$(평균 8.38mm, n=10)로 척색말단이 $45^{\circ}$ 각도로 위로 굽어진다. 6. 부화 25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9.15\~9.75mm$ (평균 9.63mm, n=10)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각각 융기하기 시작하여 원기가 나타난다.

  • PDF

미거지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Snailfish, Liparis ingens (Gibert et Burke))

  • 김용억;박양성;명정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8-374
    • /
    • 1986
  • 1986년 1월 16일에 강원도 명주군 강동면 정동진리 앞 1 kim 연해에서 삼중자망으로 잡은 미거지 친어(전장: 60cm, 전장: 70m)를 채포 즉시 선상에서 건도법으로 인공수정시켜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에 대해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숙란은 많은 유구를 지니며, 난황이 담황색 또는 담자색인 구형의 침성점착난으로 난경은 $1.55{\sim}1.65mm$(평균, 1.59mm, n=28)이다. 실내사육수온 $7.09{\sim}10.99^{\circ}C$(평균, $8.79^{\circ}C$), 염분농도 $30.62{\sim}33.98\%0$(평균, $32.32\%0$)에서 수정후 747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4.40{\sim}4.85mm$로서 근절수 $12{\sim}13+40=52{\sim}53$이며, 아래턱, 난황등쪽, 배쪽 그리고 가슴지느러미위에 수지상의 흑색소포가 발달하며, 꼬리부분의 배쪽 막지느러미와의 경계상에 일열로 병행하여 흑색소포가 나타나 있다. 부화후 3일째의 자어는 전장 $5.15{\sim}5.25mm$이고, 배쪽 막지느러미위에 갈색소포가 줄지어 나타나며, 이포뒤에 몇개의 흑색소포가 나타난다. 부화후 7일째의 자어는 전장 $5.75{\sim}5.85mm$로서 난황이 상당히 흡수되고 두부가 커지며, 소화관이 발달한다.

  • PDF

중학교 과학 교과서 분별 증류 실험의 비교 분석 및 개선 (A Compara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Fractional Distillation Experiment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류오현;최문영;송주현;권정근;백성혜;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81-49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분별 증류 실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학생들이 분별 증류 실험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실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8종의 과학 교과서를 분별 증류 실험 장치와 액체 혼합물의 종류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서 액체 혼합물을 가열 방법에 따라 직접 가열과 물 중탕 가열로 나누어 교과서 실험과정에 따라 같은 실험을 세 번 실시하였다. 세 번재 단계로서 실험 결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안 실험에서는 알코올 램프로 직접가열 하는 방법과 기름 중탕으로 가열하는 방법, 그리고 가열 맨틀을 사용하여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지달린 둥근 플라스크를 직접 가열하는 실험 결과가 가지 달린 시험관을 물 중탕으로 가열하는 실험 결과보다 이론적인 결과에 근접하였다. 그리고 가지 달린 둥근 플라스크를 직접 가열하는 실험에서 플라스크 윗 부분을 보온해 주는 실험이 보온하지 않은 실험보다 실험 결과가 더 나았다. 대안 실험에서는 액체 혼합물의 증류 온도 증가를 보면서 가열 맨틀의 가열 온도를 올려 준 실험의 결과가 이론적인 결과에 가장 가까웠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가지 달린 시험관을 물 중탕으로 가열하는 분별 증류 실험장치는 탐구실험 수업에 부적절한 것이므로 개선이 요구되며, 중학교 과학실 여건을 고려할 때, 액체 혼합물의 증류 온도 증가를 보면서 가열 맨틀의 가열 온도를 변화시키는 분별 증류 실험이 가장 능률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Estradiol-17β 변동 (Profile of Plasma Estradiol-17β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Pike Eel, Muraenesox cinereus)

  • 김대중;김이청;손맹현;이정의;손상규;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51-1854
    • /
    • 2009
  • 본 연구는 통영 해역에서 채집되어진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생식년주기에 있어서 난소 발달과 생식소중량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변화에 따른 혈중 estradiol- $17{\beta}$ ($E_2$) 농도 변화를 서로 연관시켜 조사하였다. 난소 성숙도는 조직학적 관찰을 기초로 주변인기(11월-2월), 유구기(3월-4월), 초기 난황형성기(4월-5월) 및 후기 난황형성기(6월-10월)로 나 눌 수 있었다. GSI의 계절적 변화는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혈중 $E_2$ 농도는 GSI 변화와 관련이 있어 4월에 증가하여 7월에 년중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10월까지 비교적 높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I와 혈중 $E_2$ 농도 변화는 갯장어 난소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산란기의 암컷 갯장어를 채집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산란기의 개체는 외해의 심해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양념 소갈비의 조리과정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rinated Beef Galbi under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 홍상필;김영호;이남혁;허영욱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8-88
    • /
    • 2013
  • Marinated beef galbi is a traditional Korean dish cooked with soy sauce, pear juice, onion, sesame oil, and sugar.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beef galbi, including flavor and physicochemical aspects, depending on cooking conditions. Therefo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rinated beef galbi prepared through various recipes was evaluated for its effects on pH, texture, aging, proteolysis, heating conditions, cooking time, and flavor compounds (pyrazines, IMPs, or FA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t concentration (0.8~3.03%), pH (4.89~6.22), and solid soluble contents (1.34-6.31 Brix) between recipes in this study. In the Pearson assay for sensory evaluation, overall preference correlated well with texture (a well-known sensory attribute in meat evaluation). Controlling the pH of meat through soaking in lemon solution, alkali water, phosphate, and baking powder solution, improved water holding capacity as much as 9 to 15%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myofibril index (MFI) of marinated meat stored at $4^{\circ}C$ increased 32% with 24 hours of aging and reached 39% at 48 hours of aging, and its fragmentation was observed through microscopy. SDS-PAGE showed hydrolysis of acid-soluble collagen by the pear juice, possibly related to meat tenderness. On the basis of surface temperature, the cooking time was estimated to be 8 minutes with pan heating at $170^{\circ}C$, 6 minutes at $270{\sim}300^{\circ}C$, and 4 minutes with charcoal at $700{\sim}900^{\circ}C$. Different pyrazine compounds, such as 2-methyl-3-phenylpyrrol(2,3-b) pyrazine (the typical product of the browning reaction) was mainly detected, and IMP (one of the main taste compounds in beef) was in higher amounts with the charcoal treatment, potentially related to its flavor preference among treatments. Our results demonstrate an effective case study and cooking system for beef galbi.

유통되고 있는 삶은 고래고기의 안정성 연구 (A Study on Lipids Oxidation Boiled Whale Meat’s in Process of Circulation Market)

  • 최민경;김경옥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1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in process of circulation market boiled whale meat's rancidity. oxidative rancidity is oil or fat food depend on oxygen in air oxidative change in quality. boiled whale meat faty come to oxidative rancidity food stability and hygiene reasons for people health poisonous point out, however it is not indication study of support. Accordingly confirm lead into circulation process boiled whale meat's rancidity examination and microorganism examination boiled whale meat's stability whether or not.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ximate percentage of boiled whale meat(pectoral, pelvic, fin, flank) of moisture and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from samples shown to be : moisture was pectoral 16.4%, pelvic 36.2%, fin 46.2%, flank 19.2%, crude lipid was pectoral 54.1%, pelvic 42.8%, fin 15.8%, flank 40.6%,crude protein was pectoral 29.4%, pelvic 20.5%, fin 29.5%, flank 28.6%. 2.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were composed of pectoral 27.2%, pelvic 28.9%, fin 33.3%, flank 23.4% of oleic acid and pectoral 12.7%, pelvic 11.1%, fin 11.3%, flank 14.0% of palmitic acid pectoral 10.8%, pelvic 7.9%, fin 7.6%, flank 2.1% of docosahexaenoic acid, pectoral 14.2%, pelvic 7.5%, fin 1.9%, flank 7.2% of eicosenoic acid, pectoral 5.1%, pelvic 5.7%, fin 4.4%, flank 5.7% of myristic acid, 16: 0 11∼14 % of high saturated fatty acid. generally most of 18: 1ω9 of boiled whale meat's each portion, 22:6 7∼12%, 20:5 1∼14% of polyenoic fatty acid. 18:3 showen to be 1% make an expection of pectoral and fin portion the total lipid were most of netural lipid's about 90%, monoenic fatty acid were most of 19∼22% of saturated fatty acid, 77∼80% of monoenic fatty acid level of 47∼56% of 18:1 16:1 was markelly high to those of total lipid. 3. The storage number days variation of oxidation were shown to be by stages process favorably the past days of boiled whale meat's acid value for 5days. pectoral the day 0.1, five days 1.3, pelvic the day 0.1, five days 1.6, fin the day 0.3, five days 0.7, flank the day 0.2, five days 0.4. 4. The sealer and wrapper the storage number days variation of boiled whale meat oxidation for 7days were shown to be a stage of sealing, the temperature of a room, pectoral the day 0.1 seven days 0.6, pelvic the day 0.1, seven days 1.3, fin.

  • PDF

태음조위탕가감방(太陰調胃湯加減方)의 db/db 마우스 간(肝)에 대한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SREBP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eeumjowuitanggagam-bang on the Expression of Adipocytokines and SREBPs in Liver of db/db Mouse)

  • 백종우;정미경;고성규;전찬용;박종형;최유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89-995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eeumjowuitanggagam-bang(TJV) on the mRNA expression of adipocytokines (TNF-${\alpha}$ and IL-6), and SREBPs.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 a normal group of db/+ mice, a control group of db/db mice, a group (db/db mice) treated with TJV 200 mg/kg, and a group (db/db mouse) treated with TJV 500 mg/kg. They were treated orally with TJV and measured their body weight every other day during 9 weeks. After that, we measured the mRNA expression of adipocytokines (TNF-${\alpha}$ and IL-6) and SREBPs (SREBE-1a and SREBP-1c) in liver, and blood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too. In addition, liver samples were fixed in 4% PFA for 2 hours and stored in $-70^{\circ}C$. Liver tissues were embedded in Optical cutting temperature(OCT) compound and 30 ${\mu}m$ sections were cut. Tissue sections were stained Oil-Red-O to visualize neutral lipids. Nuclei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solution. In result, the TJV reduced the mRNA expressions of TNF-${\alpha}$ and IL-6 and SREBPs in liver and stained liver tissue less red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olestreol and triglyceride blood concentration and body weight among groups. The TJV has inhibitory effect on the mRNA expression of adipocytokines and SREBPs.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TJV is related to inhibiting lipogenesis in the liver

하우스 엽채류를 위한 관비재배용 유기액비 개발 (Development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for leaf Vegetable under Greenhouse)

  • 주선종;손상목;김진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3-99
    • /
    • 2001
  •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엽채류 전용 유기액비를 개발하기 위하여 액비자재와 물을 1:4로 혼합 하여 45일간 혐기발효 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비원료중 어분과 골분은 질소, 인산 및 칼리등 양분함량이 현저히 많았다. 추출액비의 무기태 질소는 골분과 어분이 많고 인산, 칼리, 석회 및 고토성분은 계분, 대두박 및 쌀겨에서 많았다. 2. 유기액비의 부숙 안정화 과정중 암모니아가스는 2ppm이하로 발생되었으며 탈취제 처리로 안정화된 액비내 세균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기액비의 속성 부숙 안정화를 위한 부숙촉진제인 설탕과 미생물제 처리간 온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황화수소 발생량은 농산부산액비 1,761ppm에 비하여 농산부산액비+설탕+미생물제 처리는 914ppm으로 48%감소하였다. EC는 농산부산 유기액비에 설탕 첨가로 현저히 높았고, 제조후 35일 경과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결구상추 및 배추의 생체 수량은 계분50+골분30+쌀겨20%조합에서 가장 높았다. 배추의 수량은 관행농법 10,875kg/10a에 비하여 농산부산 유기액비는 13,656kg/10a로 26% 증수하였으며 가식부의 질산염 함량은 관행농법 2,426ppm에 비하여 농산부산 유기액비는 2, 150ppm으로 11.4%감소하였다.

  • PDF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 (Formation and Stability of Nanoemulsion Containing CoQ10 by Mechanical Emulsification)

  • 유인상
    • 공업화학
    • /
    • 제23권5호
    • /
    • pp.467-4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레시틴, 에탄올, 오일, Arlacel 60 (sorbitan monostearate)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최근 화장품과 식품의 원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피부의 노화방지용 항산화물질인 코엔자임 Q10 (CoQ10)를 기능성 원료로 함유하는 나노 에멀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에멀젼 제조방법으로는 반전유화법(phase inversion emulsion method)과 초음파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에탄올과 레시틴의 영향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안정성과 그 밖의 각종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입자의 크기, 제타전위, 에멀젼의 형태와 같은 물리적 특성들을 측정해 보았다. 최소크기의 나노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한 CoQ10의 최적 배합농도는 0.8% 정도였고, 계면활성제로서 Arlacel 60 농도에 따른 입자크기의 영향을 보면 3% 정도에서 100 nm 크기의 에멀젼 입자들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사용한 최적의 계면활성제 농도범위(2% 이상)에서는 7일 정도가 지난 시점까지 Ostwald ripening 에 따른 입자의 크기 변화가 없었다. 장시간의 경과에 따른 실험을 보면 에멀젼들은 실온에서 270일이 지난 상태에서도 115 nm로 10% 정도만의 크기 변화를 보여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에멀젼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타전위 측정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자크기의 변화는 응집(flocculation)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