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e Productivity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8초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ac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Orientation on Work Commitment)

  • 이상길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167-175
    • /
    • 2018
  •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이상길과 하규수(2017)의 연구를 토대로 직장인과 자영업인의 진취성, 지각된 유용성,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업무몰입은 조직행동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업무몰입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과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었고, 일에 대한 몰입적 태도는 개인의 경쟁력 향상은 물론, 조직성과 향상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회사원, 전문직 및 자영업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178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진취성과 학습지향성이 업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융복합 시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동향분석 및 미래방향 (Trends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 of Business Process Automation,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현영근;이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13-327
    • /
    • 2018
  • 인간의 노동을 기술이 대체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제조영역에서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 FA) 및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SF)를 도입하는 것처럼, 서비스 영역 및 사무업무 영역에서도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도입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RPA 자체는 어디까지나 개념일 뿐 특정한 기술과 솔루션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소프트웨어 로봇이나 인공지능 개념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기술들의 새로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RPA도입 전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간노동(Human Labor) 중심의 업무수행에서 디지털노동(Digital Labor)으로 사람의 노동력 자체를 대체한다는 것에 있다. 이렇듯 노동에 대한 시대적 개념이 변함에 따라, 미래 변화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RPA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산업동향 및 기술동향, 그리고 RPA 미래방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고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Discovery of novel haplotypes from wild populations of Kappaphycus (Gigartinales, Rhodophyta) in the Philippines

  • Roleda, Michael Y.;Aguinaldo, Zae-Zae A.;Crisostomo, Bea A.;Hinaloc, Lourie Ann R.;Projimo, Vicenta Z.;Dumilag, Richard V.;Lluisma, Arturo O.
    • ALGAE
    • /
    • 제36권1호
    • /
    • pp.1-12
    • /
    • 2021
  • As the global demand for the carrageenophyte Kappaphycus is steadily increasing, its overall productivity, carrageenan quality, and disease resistance are gradually declining. In the face of this dilemma, wild Kappaphycus populations are viewed as sources of new cultivars that could potentially enhance production; therefore, assessment of their diversity is crucial. This study highlights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diversity of wild Kappaphycus species obtained from two sites in the Philippines. Nucleotide alignments of available 5' region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5P) and cox2-3 spacer sequences of Kappaphycus confirmed the presence of K. alvarezii in Guiuan, Eastern Samar and K. striatus in Bolinao, Pangasinan. Based on the concatenated sequences of the COI-5P and the cox2-3 spacer, nine novel haplotypes were observed along with other published haplotypes. However,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haplotype and morphology. These newly recognized haplotypes indicate a reservoir of unutilized wild genotypes in the Philippines, which could be taken advantage of in developing new cultivars with superior traits. DNA barcodes generated from this study effectively expand the existing databank of Kappaphycus sequences and can provide insights in elucidating the genetic diversity of Kappaphycus species in the country.

The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During Work From Ho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 Sjahrul Meizar Nasri;Indri Hapsari Susilowati;Bonardo Prayogo Hasiholan;Akbar Nugroho Sitanggang;Ida Ayu Gede Jyotidiwy;Nurrachmat Satria;Magda Sabrina Theofany Simanjunta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66-70
    • /
    • 2023
  • Backgroun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xtend the duration of using gadget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s. A prolonged usage of these gadgets in a static position can lea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while using gadgets during work from ho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online-based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of Indonesia, consisting of lecturers, students, and managerial staff. The minimum number of respondents was 1,080 and was defin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Furthermore, the dependent variable was musculoskeletal symptoms, while the independent were age, gender, job position, duration, activity when using gadgets, and how to hold them. Resul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mobile phones but only 16% had tablets. Furthermore, about 56.7% have used a mobile phone for more than 10 years, while about 89.7% have used a tablet for less than 10 years. A multivariate analysis found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SD symptoms while using a mobile phone, such as age, gender, web browsing activity, work, or college activities. These activities include doing assignments and holding the phone with two hands with two thumbs actively operating. The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SD symptoms when using tablets were gender, academic position, social media activity, and placing the tablet on a table with two actively working index fingers. Conclusion: 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WFH and e-learning policies to reduce MSD symptoms and enhance productivity at work.

김해평야(金海平野)에 분포(分布)된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답)(沓)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Sulfate Soil in Kimhae Plain)

  • 박내정;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26
    • /
    • 1969
  • 김해평야(金海平野)에 분포(分布)된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답(畓))에서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과 고수확지토양(高收穫地土壤)의 표토(表土), 심토(心土), 28점(點)과 수(數) 10년전(年前) 및 10여년전(餘年前)에 개답(開畓)된 2개(個)의 대표적(代表的)인 층위별(層位別) 토양시료(土壤試料)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을 분석조사(分析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성(土性)에 있어서는 저수확지(低收穫地), 고수확지(高收穫地) 토양간(土壤間)에 별차이(別差異)가 없고, 대부분(大部分)이 미사질(微砂質) 식토(埴土) 또는 미사질(微砂質) 식양토(埴壤土)이었다. 2. 토양(土壤)의 pH,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 및 알미늄함량(含量)에 있어서는 그 차이(差異)가 커서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의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에서는 pH가 낮고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적을뿐아니라 알미늄함량(含量)이 많았다. 3.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의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고수확지(高收穫地) 토양(土壤)과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고수확지토양(高收穫地土壤)에서는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나 고토(苦土)는 거의 같은 양(量)이었으나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에서는 석회(石灰)에 비(比)하여 고토함량(苦土含量)이 상당(相當)히 많았다. 4. 가용성(可溶性) 염류(鹽類)는 비교적(比較的) 높고 특(持)히 심토(心土)와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에서 더 높았다.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의 가용성(可溶性) $SO_4{^=}$$Cl^-$ 보다 더 많았다. 5. 유기물(有機物)은 보통답(普通畓)에 비(比)하여 약간 많았으나 질소(窒素)는 비교적(比較的) 적었다. C/N Ratio 는 12정도(程度)이었다. 6. 유황함량(硫黃含量)은 대단(大端)히 높았으며 반면(反面)에 가산화성유황(可酸化性硫黃)은 대단(大端)히 적었다. 전유황(全硫黃)은 대개 심토(心土)와 저수확지토양(低收穫地土壤)에서 높았다. 7. 활성철(活性鐵)과 유효규산은 보통답(普通畓)에 비(比)하여 약간 많았으며 토양간(土壤間)에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역환원성(易還元性) 망간은 보통답(普通畓)에 비(比)하여 적은 편(便)이며 특(持)히 저수확지(低收穫地)에서 대단(大端)히 적었다. 8. 유효인산은 고저수확지토양(高低收穫地土壤) 다같이 대단(大端)히 적었다. 9. 2개(個)의 대표(代表)되는 층위별(層位別) 시료중(試料中) 오래전(前)에 개답(開畓)된 토양(土壤)에서는 유리산(遊離酸), 유황화합물(硫黃化合物), 알미늄, 가용성염류등(可溶性鹽類等)이 근래(近來)에 개답(開畓)된 토양(土壤)에서 보다 적었다. 10. 고수확지토양(高收穫地土壤)에서의 높은 수량(收量)은 보다 많은 토양(土壤)의 용탈(溶脫)과 석회질물질(石灰質物質) 시용(施用)으로 그 토양(土壤)의 산도(酸度)를 중화(中和)한데 기인(基因)된다. 따라서 이들 토양(土壤)의 생산력은 관개배수(灌漑排水)나 석회질물질(石灰質物質)을 시용(施用)함으로서 증가(增加)시킬수 있다.

  • PDF

무인기와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산지초지에서의 애기수영 분포도 제작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umex acetosella L. on Hill Pasture using UAV Monitoring System and Digital Camera)

  • 이효진;이효원;고한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65-369
    • /
    • 2016
  •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애기수영의 분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안 무인기 촬영 항공영상의 이용가능성을 실험하였다. 항공영상은 일반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RGB 영상과 자체 제작한 NIR 카메라로 촬영한 NIR 영상을 이용하여 각각 Red, Green, Blue 벤드와 NIR 밴드를 이용하였고, 밴드조합에 따른 애기수영의 건물비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NIR+R+G+B 밴드의 조합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R^2$, 0.96)를 보였으며, R+G+B 밴드의 조합이 다음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R^2$, 0.91) NIR+R 밴드($R^2$, 0.45)와 NIR+G 밴드 ($R^2$, 0.27)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NIR+R+G+B 밴드조합이 애기수영 분포 파악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R+G+B 밴드 조합의 경우 NIR+R+G+B 밴드의 조합과 비교하여 예측정확도가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근적외선 카메라 없이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 영상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적용성 면에서 장점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조립라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볼트 수량 검출기 개발 (Development of bolt quantity detector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of assembly line)

  • 민병로;김덕기;전유태;정준희;이환;유수호;차산이;이대원;오세부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50-150
    • /
    • 2017
  • 조립라인에서 볼트의 수량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장치는 작업속도의 향상 및 불량발생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현재 조립에 필요한 수량을 작업자의 시각에 의해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조립 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볼트가 제품의 내부에 침투하여 제품의 소음, 성능저하 및 수명단축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편의성 및 조립속도 향상을 위해 볼트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량을 검출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볼트의 특성에 따라 볼트 선별부의 치수를 수정하면 되도록 하였다. 조립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조립라인의 공간 효율 증가를 위하여 볼트 수량 검출기의 가로${\times}$세로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 $220{\times}360{\times}1170mm$로 설계하였다. 받침대는 $60{\times}60$ 프로파일을 이용하였고 다른 구성 부품은 SUS304 재질을 가공하여 조립하였다. 실험은 실험구 마다 100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소수점은 시스템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절사하였다. Test 19-27 구간이 배출부가 가장 적게 구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렬부의 각도가 10, $15^{\circ}$의 경우는 볼트와 배출부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구동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20^{\circ}$이상의 각도에서는 볼트가 배출부에 안착하기 전에 하강하기 때문에 반복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적의 정렬부 각도는 $20^{\circ}$로 나타났다. 볼트의 지름이 3, 5, $7{\phi}$ 일 때 정렬부의 각도에 따른 정렬부의 반복횟수에 대한 결과 값을 한 결과 $20^{\circ}$에서 정렬부의 구동횟수가 가장 적은 것 으로 나타났다. 정렬부의 각도가 큰 경우 구동에 의한 볼트와의 운동에너지의 증가로 반복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균형성과표(BSC)개념을 적응한 학교급식 운영성과 측정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for School Food Service Facilities)

  • 곽동경;장혜자;송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05-919
    • /
    • 2005
  •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chool food service, and as a means of helping its implementation, a balanced score card (BSC) approach developed by Norton and Kaplan was adopted. This study established BSC in seven phases through literature: Phase 1 Defining a school food service and the scope of working activities, Phase 2 Establishing the vision of a school food service, Phase 3 Setting strategic goals, Phase 4 Identifying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Phase 5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Phase 6 Extracting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nd Phase 7 Completing a preliminary BSC. The preliminary BSC was fumed into a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o food service related people working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 Food Service including 16 offices,209 dietitians, 48 school administrators both from self-operated and contract-managed, and 9 experts in areas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They were asked questions about strategies from 4 different perspectives,12 CSFs, 39 KPls, an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m. As a result, among the CSFs based on 4 different perspectives, all factors other than ' zero sum on profit/loss '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turned out to be valid. In terms of KPIs, manufacturing cost percentages, casualty loss count/reduction rates, school foodervice participation rates, and sales goal achievement rates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while student satisfaction index, faculty satisfaction index, leftover ratio, nutrition educational performance count, index of evaluating nutrition education,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handling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and parent satisfaction index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Besides, nutritional requirement sufficient ratio, nutritional management score, food poisoning outbreak count, employee safety accident count, sanitary inspection assessment index, meals per labor hour (productivity index), computerization ratio, operational management index, and purchas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were also found to be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business processes.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and learning, employee turnover ratio/rate of absenteeism,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count, employee satisfaction index, human resourc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annual menu-related customer feedback, food service information index for employees and parents/schools were also found to be vali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dices for measuring overall performance of school lunch food service operations without putting any limitation on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to help correctly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to schools and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 $905\∼919$, 2005)

산업용 디지털 지시계 제어를 위한 자바 시리얼 통신 프로그램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JAVA Serial Communication Program to Control the Industrial Digital Indicator)

  • 김태석;김종수;이중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94-801
    • /
    • 2011
  • 공장의 주요 설비들은 설비의 운전정보를 관리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다양한 디지털 지시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장 자동화를 위해서 다양한 설비들의 운전 정보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원격지 통신을 위해서 이더넷(Ethernet) 인프라를 이용하면 편리하지만, 국내 공장에서 보유한 생산설비의 경우 아직도 많은 설비들이 RS232C나 RS485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RS232C나 RS485틀 사용해서 통신하는 설비의 운전정보를 Ethernet으로 변환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터넷 기반에서 원격지에 있는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자바와 시리얼통신용 RxTx 패키지를 이용한 통신 프로그램 구현 방법을 보인다.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현재 운전되고 있는 설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RS485 통신이 가능한 산업용 디지털 지시계와 열전대를 사용하여 온도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드웨어를 구성하였고, RS485로 입력된 정보를 RS232c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거친 후, 무선 Ethernet으로 변환해주는 변환기를 설치한 후,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현하였다.

적절성 평가지침과 이유목록의 적용 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and Delay Tool)

  • 신영수;김용익;김창엽;김윤;김은경;송윤미;이영성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6-108
    • /
    • 1994
  • Background: An appropriate use of hospital beds can improve productivity of hospital significantly. The authors'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approximately one third of Korean hospital bed days and one sixth of admissions were inappropriately used, when it was measured by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AEP) and Delay Tool modified into Korean situation by the author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the instruments in a new hospital.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measure appropriateness of the instruments used by newly trained nurse reviewers at a new hospital setting. Methods: In order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these instruments, agreement rates of the scores recorded by newly trained nurse reviewers with by skilled nurse reviewer and also compared with the scores recorded by physician's implicit decision were assessed. Agreement rates were derived from concurrent application of AEP and Delay Tool to 52 admissions and 104 patient days from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and general surgery of one university hospital. Overall agreement rate, specific nonacute agreement rate, and kappa statistics were used to indicate level of agreement. Results: Overall agreement rates on appropriateness between newly trained nurse reviewers and skilled nurse reviewer were 100% in admission and 98% in bed days. Overall agreement rates on reason for inappropriateness between newly trained nurse reviewers and skilled nurse reviewer were 96% in admission and 91% in bed days. Overall agreement rates between newly trained nurse reviewers and physician reviewer were 86% in admission and 87% in bed days. Conclusion: Results indicated that AEP and Delay Tool were applicable to a new hospital in detecting inappropriate utilization of beds and reasoning of the inappropriateness. These instruments could contribute to enhance efficiency of hospital use,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level of inappropriate hospital use at national or individual hospital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