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 threshold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HS-SPME-GC/MS를 이용한 낙동강 수계 하천수 중 조류기원성 냄새물질 분석 (Determination of geosmin and 2-MIB in Nakdong River using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and GC-MS)

  • 이인정;이경락;임태효;박정자;천세억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326-332
    • /
    • 2013
  • Geosmin과 2-methyl isoborneol (2-MIB)는 먹는물에서 불쾌한 맛과 냄새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이며, 남조류의 대사산물로 흙 냄새나 곰팡이 냄새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물질의 최소감지 농도는 수 ng/L 수준으로, 먹는물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미량까지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시료 중의 geosmin과 2-MIB를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MPE) 법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방법검출한계는 geosmin과 2-MIB에 대하여 각각 1.072 ng/L, 1.021 ng/L 값을 구할 수 있었으며, 정확도와 정밀도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최근 낙동강에서는 남조류에 의한 수화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어, 낙동강을 상수원수로 하는 먹는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geosmin과 2-MIB의 농도를 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남조류가 번성한 시기에 낙동강 원수에 대하여 geosmin과 2-MIB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 4~24 ng/L, 6~16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청정급수를 위한 쾌적수질기준 설정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Tasty and Healthy Drinking Water Supply)

  • 금영환;문량조;유재근
    • 환경위생공학
    • /
    • 제10권1호
    • /
    • pp.106-125
    • /
    • 1995
  • Recently, in accordance with elevation of life style and economics, the public demand becam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drinking water quality. Without an adequate supply of safe water, healthy and comfortable life could not exis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s and the basic informations to enable supply of clean, tasty and healthy drinking water acceptable for various demands. We analyzed the quality of tap water, mineral water, purified tap water using home tap water purifier. And we researched on the sense of the public complaint over the tap water. We proposed several items relating to the comfortableness of water quality and the target value. Also we presented a case of water supply system for purity and the points at problem The items and target value are as follows 1. turbidity : not more than 1 degree 2. dry residue : $30~200{\;}mg/{\ell}$ 3. hardness : $10~100mg/{\ell}$ 4. free carbon dioxide : not more than $20mg/{\ell}$ 5. $KMnO_{4}$ consumption not more than $3mg/{\ell}$ 6. odor threshold not abnormal 7. residual chlorine : not more than $0.4mg/{\ell}$ 8. water temperature' not more than $20^{\circ}C$ 9. manganese : not more than $0.01mg/{\ell}$ 10. iron : not more than $0.02mg/{\ell}$ 11. aluminum : not more than $0.1mg/{\ell}$

  • PDF

울산 산업단지인근 해변지역에서의 저 농도 황화수소 측정 (Measurement of Low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in the Coastal Area Near the Ulsan Industrial Complex)

  • 유미선;양성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555-1562
    • /
    • 2016
  •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in ambient air have been measured from January 2014 to June 2016 in a coastal area near the Ul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he measurement sites were 1 km, 2.6 km, 5.6 km, and 20 km away from a kraft pulp mill, which is located at the most southern edge of the complex. Concentrations above 0.4 ppb were monitored every 5 min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he day was determined. From a total of 775 measurement days,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 20 ppb were recorded on 36 and 38 days at the measurement site closest to the mill and the residential area 2.6 km away from the mill, respectively. At the site farthest from the mill, the concentrations were always 20 ppb lower than the malodor regulation for the residential area but sometimes higher than the odor recognition threshold for hydrogen sulfide. Although several emission sources of hydrogen sulfide have been published in the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of Korea, the kraft pulp mill is considered to be the biggest contributor of atmospheric hydrogen sulfide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Ulsan.

고상(固相) 미세 추출법에 의한 축산 관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성 가스 화합물의 정량적 평가 (Quantification of Odorants from Animal Husbandry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 김재혁;최홍림;권소영;임홍래;;;박철휘;김현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4
    • /
    • 2006
  •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와 이를 저감하려는 연구들이 국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축산 관리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악취 기인 화합물 및 이들의 발생 메커니즘이 규명되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악취 화합물의 분석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상(固想) 미세추출법(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대상 화합물을 흡착하고, GC/MSD 혹은 GC/FID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화합물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 악취 화합물은 trimethylamine(TMA), carbon disulfide($CS_2$), dimethyl sulfide(DMS), dimethyl disulfide(DMDS), acetic acid(AA), propionic arid(PA) 그리고 n-butyric acid(BA)이다. SPME-GC 검정곡선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TMA의 결정계수($R^2$)는 0.984(0.056-1.437), $CS_2$는 0.996(0.039-0.999), DMS는 0.994(0.029-0.756), DMDS는 0.995(0.024-0.623), AA는 0.992(0.068-1.314), PA는 0.955(0.047-0.940), 그리고 BA는 0.976(0.036-0.712)이었다. 분석 검출한계는 AA, PA, BA, TMA, DMS, $CS_2$, DMDS에 대하여 각각 5.67, 6.39, 5.78, 25.2, 0.098, 0.363, 0.099 ppbv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사, 돈사 및 우사에서 발생하는 악취화합물을 정량 분석하였다. 계사 내부에서 DMDS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이 검출이 되었는데, 문헌에서 보고된 human odor threshold를 초과하였다.

부산지역 페인트제조시설의 VOC/HAPs 배출특성 및 흡착능 평가 (VOC/HAPs Emission Characteristics & Adsorption Evaluation for Paint Products in Busan Area)

  • 송복주;이승민;조갑제;조정구;유평종;김기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6-325
    • /
    • 2012
  • 페인트제조시설에서 다량 발생하는 VOC/HAPs은 물질별 독성, 발암성 등의 특징으로 미량으로도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하절기 오존 생성과 악취 민원의 원인물질로 작용하고 있어 이들 시설에 대한 배출특성과 제어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소재한 페인트제조시설 4개소를 선정하여 VOC/HAPs 주 배출공정 및 주요 오염물질을 도출하고 적절한 제어방안을 제시 하였으며, 천연소재인 Kapok fiber의 흡착 시험을 통하여 상용 흡착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발생되는 VOC/HAPs의 60% 이상이 방지시설로 유입되지 않고 공장내부로 자연 휘발되어 외기로 확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주요 물질로는 Toluene, Ethylbenzene, Xylene이 70% 이상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요 악취 원인물질은 A, B, C사는 Toluene, D사는 m/p-Xylene으로 나타났으며, 악취방지시설인 활성탄 흡착시설의 평균 제거효율은 66.2%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오염물질의 외부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앙제어식 환기장치의 설치 등 다양한 제어방안과 함께 실제 운영시설의 규모를 고려한 흡착시설의 규격, 흡착제량, 교체주기 등을 산출 제시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출된 원인물질을 표준시료로 활용하여 유통 활성탄과 천연소재인 Kapok fiber의 Toluene 흡착시험을 실시한 결과, 활성탄의 제거율은 대부분 99%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Kapok fiber는 Space Velocity의 차이에 따라 91.9%, 66.7%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어 Kapok fiber의 흡착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렴한 소재 가격, 친환경성 등을 감안한다면 기초 흡착제로서의 적용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향후 상용화에 필요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스파탐의 단맛에 온도, pH, 소금, quinine이 미치는 영향 (Organoleptic Sweetness of Aspartame as Affected by Temperature, pH, Salt and Quinine)

  • 정남용;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168
    • /
    • 1996
  • 아스파탐(Aspartame, APM)의 단맛과 최소감미량에 미치는 온도와 pH 및 첨가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당쥬스나 음료의 적당한 단맛으로 선정된 0.02% 아스파탐 용액에 온도($4^{\circ}$, $20^{\circ}$, $40^{\circ}$, $60^{\circ}$$80^{\circ}C$)와 pH(3.0, 4.5, 6.0및 7.5)의 변화 및 소금(0.5, 1.0, 1.5 및 2.0%), quinine(0.001, 0.003 및 0.005%)을 첨가하였을 때 $20^{\circ}$와 pH 3.0-4.5에서 단맛의 강도가 증가하였고, 0.5% 소금 첨가구에서의 단맛은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게 평가되었으며 quinine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단맛을 감소시켰다. 또한 아스파탐의 최소감미량도 $20^{\circ}$와 산성범위의 pH(3-4.5), 소금 0/5% 첨가구에서 그 값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식품에 아스파탐을 첨가하면 홍삼차의 경우 쓴맛의 감소와 인삼향의 증가가 있었고, 콩우유의 경우는 고소한 냄새의 증가 및 콩비린맛, 냄새 등 불쾌한 맛과 냄새를 다소 억제시킴이 밝혀졌으며, 오렌지, 사과, 딸기 등 과실 쥬스에 첨가하였을 경우 과실의 향미가 현저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음식물의 악취 황화합물 발생특성 조사: 계란, 우유, 고기통조림, 딸기에 대한 사례 연구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Sulfur Gases from Food Types: A Case Study on Boiled Egg, Milk, Canned Meat, and Strawberry)

  • 김보원;안정현;김기현;조상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15-624
    • /
    • 2013
  • In this study, the emission pattern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were investigated using four different types of food samples (boiled egg, milk, canned meat and strawberry) between fresh and decaying stages. To this end, the concentrations of RSCs were measured at storage days of 0, 1, 3, 6, and 9 under room temperature. Four sulfur compounds ($H_2S$, $CH_3SH$, DMS and DMDS) were selected as target compounds along with two reference compounds ($CS_2$ and $SO_2$). Their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using GC-PFPD equipped with thermal desorption (TD) system. The boiled egg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_2S$ (3,655 ppb) at D-1, while $CH_3SH$ reached its maximum value of 64.4~78.5 ppb after 3 days. In milk samples, concentration of $CH_3SH$, DMS, and DMDS went up to 487, 16.3, and 578 ppb, respectively with the progress of decay (D-9). In case of canned meat, concentration of $H_2S$ and $CH_3SH$ peaked in the beginning (D-0) such as 345 and 66.6 ppb. In case of strawberry, $CH_3SH$ and DMDS showed the maximum concentrations 135 and 50.5 ppb at D-1, respectively. The olfactometry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by air dilution sensory (ADS) test showed similar patterns when sum of odor intensity (SOI) was derived via conversion of odorant concentra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time of strong RSC emissions is distinguished for each food type between fresh (e.g., strawberries) and decaying conditions (e.g., milk).

삶은 달걀의 부패에 따른 부위별 냄새물질의 발생특성 연구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Gases with the Decay of Albumin and Yolk of Boiled Egg)

  • 김보원;김기현;김용현;안정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5-109
    • /
    • 2014
  •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of odorants released from albumin (EA) and yolk (EY) portions of boiled egg samples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storage time. Th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storage days of 0, 1, 3, 6, and 9 under room temperature. As such, odorants produced during both fresh and decay conditions were measured through time. A total of 19 compounds were selected as the main target odorants along with 12 reference compounds. GC-MS (for VOC) and GC-PFPD system (for sulfur gases) equipped with thermal desorption (TD) system were employed for odorant analysis in this work. The initial concentrations measured from the chamber system were converted into flux terms ($ng{\cdot}g^{-1}{\cdot}min^{-1}$). The EA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_2S$ (234 $ng{\cdot}g^{-1}{\cdot}min^{-1}$) at EA-0, and the concentrations of AT (Acetone) was also seen clearly in the range of 11.7 (EA-0) to 58.6 $ng{\cdot}g^{-1}{\cdot}min^{-1}$ (EA-9). The EY showed similar patterns. EtAl (Ethyl alcohol) increased 9.47 (EA-1) to 96.7 $ng{\cdot}g^{-1}{\cdot}min^{-1}$ (EA-9) in EA samples. Ketone, alcohol, sulfur groups generally exhibited high concentrations compared to other odorants. These data were also compared in relation to olfactometry related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by air dilution sensory (ADS) test and sum of odor intensity (SOI).

Effect of aerobically treated manure on odorous material emissions from a swine finishing barn equipped with a continuous pit recirculation system

  • Choi, Yongjun;Ha, Duck-Min;Lee, Sangrak;Kim, Doo-Hw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308-31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reduction of various odorous materials from a swine farm equipped with a continuous pit recirculation system (CPRS) with aerobically treated liquid manure. Methods: The CPRS is used in swine farms in South Korea, primarily to improve air quality in pig houses. In this study, CPRS consists of a manure aerobic treatment system and a fit recirculation system; the solid fraction is separated and composted, whereas the aerobically treated liquid fraction (290.0%±21.0% per day of total stored swine slurry) is continuously returned to the pit. Four confinement pig barns in three piggery farms were used; two were equipped with CPRS and the other two operated a slurry pit under the slatted floor. Results: All chemical contents of slurry pit manure in the control were greater than those of slurry pit manure in the CRPS treatment (p<0.05).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 contents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The biological oxygen demand of the slurry pit treat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ammonia nitrogen contents of the slurry pit treatment were great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p<0.05). Odor intensity of the CPRS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indoor, exhaust, and outside sampling points (p<0.05). The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of the CPRS treatment in the pig bar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All measured odorous material contents of the CPR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he CPRS application in pig farms is considered a good option as it continuously reduces the organic load of animal manure and lowers the average odorant concentration below the threshold of detecting odorous materials.

염처리 음식물의 냄새성분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 스팸을 중심으로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from salted food materials using Spam)

  • 이민희;김기현;김용현;조상희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47-4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염처리 음식물의 냄새성분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스팸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휘발성화학물질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9 일 동안 5 회에 걸쳐 시료를 채취 후 GC/MS 시스템과 GC/PFPD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 환원황, 알데하이드, 케톤류의 냄새성분들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기에 해당하는 E-0, E-1일은 hydrogen sulfide의 농도가 각각 1465 ${\mu}g/m^3$ (60.0%), 455 ${\mu}g/m^3$ (2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OAV (악취활성값) 또한 E-0 일은 19.4 (78.3%), E-1 일은 6.02 (4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패기에 해당하는 E-3, E-6, E-9일에는 ketone류의 acetone이 각각 451 (43.2%), 369 (64.2%), 1150 ${\mu}g/m^3$ (70.2%)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2,3-butanedione이 각각 17.6 (1.68%), 16.1 (2.80%), 179 ${\mu}g/m^3$ (10.9%)로 나타났다. 이들 성분의 실질적인 냄새 기여도를 OAV로 비교하면, acetone은 0.001 (0.01%)이하로 미미한 수준이지만, 2,3-butanedione은 1.14-11.6 (14.5-76.2%)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신선기에는 환원황 그룹, 신선기와 부패기의 중간 시점에는 알데하이드 그룹, 부패기에는 케톤 그룹 성분들이 가장 중요한 냄새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