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socializ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사서의 직업사회화 경험 - 현상학적 연구 - (Librarians' Experience of Occupational Socialization: A Phenomenological Study)

  • 김갑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27-370
    • /
    • 2008
  • 본 연구는 사서의 직업사회화에 관한 총체적인 행위이론을 도출하기 위한 일차적인 연구로서 사서직의 직업사회화 경험의 의미와 경험의 구조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학부에서 문헌정보학(도서관학)을 전공하고, 현재 서울과 경기도의 공공, 대학, 학교, 전문도서관에서 5년 이상의 정규직경험을 가지고 있는 16명의 현직 사서 및 사서교사들이며, 개별적으로 2회의 개방적 및 반구조적인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현상학적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체험한 사서직의 직업 사회화경험은 1) '업무 심화와 업무능력 화장을 통해 성장함', 2) '조지문화에 순응함', 3) '이용자와 더불어 성숙함', 4) '양면적 직업의식을 가짐', 5) '사서로서의 자기실현을 추구함'의 5개의 주제범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서의 직업사회화의 총체적 의미는 사서가 상호작용적 조정과정을 농해 공유하는 이상적인 사서 상을 구체화시키고 실현해 나가는 과정으로, 현실에 적합한 전문성을 갖춘 사서 되기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역경지수가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versity quotient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 김영선;이정화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8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183 for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Daegu to surve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them. The adversity index of the study subjects averaged 58.60±9.16 points out of a total score of 100, with the highest individual initiative of 16.58±3.09 points, and a low of 13.86±3.66 points for continuity of the situa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veraged 123.40±12.82 points out of 190, with the highes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30.37±3.71 points, and the lowest occupational identity of 10.34±1.94. The adversity index of the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aduate school or higher (F=3.112, p=0.047), the lower the intensity of their work (F=2.860, p=0.060), and the more often the degree of turnover (F=5.196, p<0.006). I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ge (F=9.290, p<0.001), educational background (F=8.655, p<0.001), and higher position (F=5.425, p=0.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working in hospitals (F=4.534, p=0.012). The higher the position (F=5.425, p=0.005), the higher the work experience (F=5.320, p=0.002), the lower the turnover (F=22.935, p<0.001), and the highrer the intensity of the work(F=7.02, p<0.001). The study subject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dverse event index (r=0.395, p<0.000).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degree of turnover (β=0.300, p<0.0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is variable was 41.6%, with significant effects on individual initiative (β=0.255, p<0.000) and personal control (β=0.180, p<0.009) among the adverse events index.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a high adverse event index of dental hygienist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Dental hygienists' adversity index is average, meaning they live a smooth life in smooth conditions, however, when major adversity arise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s highly necessary. In addition,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dental hygienists, as well as experienced dental hygienists, a customized program should be administered to raise the adverse index of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a human management tool through regular confirmation of the program.

의사집단의 전문직 사회화 과정과 사회적 지위 만족도, 경제적 보상 만족도 그리고 주관적 계층인식과의 관련성 (Job Satisfacti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Associated Factor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 Korean Physicians)

  • 윤형곤;황인경;문영배;이희영;윤석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1호
    • /
    • pp.30-38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propertie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social status satisfaction, economic reward satisfaction,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Methods : Medical knowledge and skill, autonomy, and professional value factors were used as essential propertie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The authors us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collected nationwide data between July and August 2003, with 211 responses used for final analysis. Results : 'Age' and 'trust and respec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status satisfaction, and 'occup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Income' and 'trust and respect' were positively related to economic reward satisfaction, and 'practicing for oneself', and 'a sense of duty and attendance' were negatively related. 'Practicing for oneself', 'not believing explanations', and 'a sense of duty and attenda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come', 'knowledge system', 'medical mistakes', 'treating like goods', 'meaning and joy', and 'trust and respec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Conclusions : The core property variable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had a different relationship with social status satisfaction, economic reward satisfaction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 particular, many core property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would help promote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조직사회화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dental hygien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김영선;조명숙;이정화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18
    • /
    • 2021
  • Background: Based on the individualistic approach of experienced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find effective measur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Methods: Dental hygienists currently working in the Daegu area were evaluated. Nine questions related to duties, twenty-seven questions related to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irty-eight question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eliability was professional self-concept (Cronbach's α = 0.859)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Cronbach's α = 0.840). Results: Of the total 135 points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mean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62.67±8.45 points. In the sub-area, flexibility was the highest at 19.28±2.46 points, and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at 9.69±1.44 points. Of 190 point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veraged at 123.40±12.82 points. In the subarea,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the highest at 30.37±3.71 points, and occupational identity was the lowest at 10.34±1.94. Higher age (F=30.89, p<0.000), marital status (F=10.22, p<0.002), graduate or higher educational qualification (F=9.16, p<0.000),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position (F=20.62, p<0.000) and work experience (F=22.66, p<0.0000), when there was no intention to turnover (F=8.05, p<0.000).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higher in participants with higher age (F=7.89, p<0.000), educational qualification (F=8.02, p<0.000), and position (F=5.12, p<0.007); higher work experience in general hospital (F=4.50, p<0.012); no intention to turnover (F=7.450, p<0.000); and no intention to turnover (F=24.46, p<0.000).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r=0.721, p<0.000); job performance and skills (r=0.615, p<0.000)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r=0.610, p<0.000)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urnover intention (β=0.213, p<0.000)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Leadership (β=0.168, p<0.05) and satisfaction (β=0.483, p<0.000)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is variable was 62.7%. Conclusion: To ensure successful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through regular verification, which can result in improved quality of dental care services.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Play in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작업만족도, 감각처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4~7세의 감각조절장애 아동 5명으로, 실험기간은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감각통합치료는 주 2회(매50분), 총 48회기를 실시하였다. 놀이, 사회성,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감각처리를 측정하기 위해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RKPPS), 사회성숙도 검사,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apanese Sensory Inventory Revised(JSI-2)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RKPPS, 사회성숙도, COPM, JSI-2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감각통합치료 전과 후의 RKPPS(Z=-2.023, p=.043), 사회성숙도(Z=-2.023, p=.043), 작업수행도(Z=-2.023, p=.043) 및 만족도(Z=-2.032, p=.042), 그리고 JSI-2 중 촉각계(Z=-2.032, p=.042)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촉각계 처리와 같은 작업수행요소뿐 아니라 놀이, 사회성과 같은 작업수행영역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감각통합 평가 및 중재 시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놀이에 대해 고려해보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 변인을 제한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전문직 취업모의 역할긴장에 대한 대처행동 및 관련변수 연구 (Role Strain Coping Behaviors and Associated Variables among Non-professional Working Mothers)

  • 조은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55-7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ping behaviors of non-professional working mothers and find out the individual and situational factors which affect the degree of coping behaviors. For this research, the working mothers in non-professional job with children under age 18 answered the structured questionair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ping behaviors was rather high in multiple role management strategies, strengthening family system and positive thinking, but rather low in housework socialization and role reduction/standard adjustment. Second, the effect of associated variab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coping behaviors. So we conclude that, the coping behaviors of the non-professional working moth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in some aspects, althought they have much similarities. The different aspects were 1) The relationship of family income and the degree of housework socialization was more evident. 2) The work-related variables did not affect the coping process significantly because of the conservative sex-role attitued of them. Second, non-professional working mothers should use coping behaviors such as housework socialization, role reduction/standard adjustment more for the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role strain. Third, the attitude of occupational and parental rol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using the role strain coping behaviors. And such an unconscious use of the coping behavior won't be helpful in the feeling of control over environment including role strain and active coping of working mothers.

  • PDF

영어 초임교사의 교직 사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Novice English Teachers at the First Years)

  • 장경숙;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11-421
    • /
    • 2020
  • 타 교과교육 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초임교사에 대한 연구는 교직 사회화 과정이 교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 초임교사들이 직장에서 적응해 가는 과정에 관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직 사회화 변인으로 구성된 설문 조사를 통해 영어 초임교사의 사회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초임교사의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6가지 요인 즉, 학생과의 관계, 교수학습, 동료 관계, 학교 관리자의 지원,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기대 등을 추출하였다. 설문지는 이 6개 요인과 이들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 44개로 구성되었다. 99명의 중등 영어 초임 교사가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각 요소들에 대한 응답 분석에 따르면 영어 초임교사의 사회화 과정에서 교사들은 양성기관에서 습득한 지식과 현직 간 격차를 경험하며, 동료 교사들의 지원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으며 교직에 대한 사회적 기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입문기 연수, 멘토링 같은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전대미문의 코로나 감염증(COIVD-19) 위기 속에서 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해 교직에 입문하는 초임교사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 사회화에 대한 후속 연구, 교사 교육 정책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중·노년기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일본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Parental, Occupational Role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nd Old Aged Japanese Married Men and Women)

  • 장수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8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1) 자녀의 독립과 은퇴에 직면하는 중·노년기에 부모 및 직업역할의 비중축소를 통한 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2)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역할 재구조화는 부모 및 직업역할에 대한 집착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일본의 기혼남녀 378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회수율 48.3%). 그 결과, 부모 및 직업역할에 집착할수록 그 역할에 대한 상실불안감이 증대되어 심리적 안녕감이 저하되는 경로가 여성에게서 확인되었다. 역할집착의 개인차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자율성이 높고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며 사회적 지지망이 협소할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여성의 경우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고 사회적 지지망이 좁을수록 부모역할에 집착하였으며, 성역할태도가 비전통적일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노년기의 역할 재구조화의 중요성 및 성별 사회화 과정에 따른 역할 재구조화의 성차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 PDF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 김은영;박윤이;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7
    • /
    • 2009
  •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호비서의 직업사회화 과정 분석 (A Study of Occupation Socialization Process of Security and Secretary Service)

  • 김선아;김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95-305
    • /
    • 2010
  • 이 연구는 경호비서의 직업사회화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사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3년 이상의 경력의 경호비서를 연구대상자로 설정하였다. Spradley(1980)의 문화기술적분석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기는 현장에 경호비서로 나가기 직전까지의 준비단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준비기는 경호비서가 되기 위한 준비, 경호비서 준비 내용의 중요성, 대학 교과목의 유용성, 필요한 교과목, 자격증이 포함된다. 둘째, 적응기는 경호비서가 대학 교육을 마친 후 현장에서 전문가로 성장해가는 과정이며 경호와 비서의 비중, 업무의 체계성과 직업 정체성, 경호비서에게 필요한 능력, 노력해야 할 요소, 직업만족, 정보원, 직업의 전문성, 직업의 장래성이 포함된다. 셋째, 갈등기는 경호비서직에 회의를 느끼며 갈등과 방황을 하는 시기이며 직장 내 갈등, 어려운 점,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업무량 만족, 직무스트레스, 경호비서에 대한 타인의 인식, 이직준비 경험, 보완 사항이 포함된다. 넷째, 성숙기는 경호비서가 관리자로서 성장하는 시기로 경호비서의 역할 및 역량 변화, 업무처리의 자율성, 타자(他者)의 능력인정, 업무수행능력 평가방법, 급여, 사회적 위상과 자부심,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