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performance

검색결과 780건 처리시간 0.021초

장애아동 부모의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이 장애아동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on Parenting Stress)

  • 김덕주;용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87-596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도,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월 10일부터 2017년 2월 17일까지였으며, 설문지 72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서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문항,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 작업수행능력 측정도구, 여가만족을 묻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장애아동이 여자이며, 연령이 8~12세인 학령기인 경우, 장애유형이 발달장애와 지적장애인 경우, 장애등급이 1, 2급인 경우, 치료기관이 병원과 사설치료기관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장애아동 부모의 작업수행능력, 양육스트레스, 여가만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는 작업수행능력 항목 중 작업, 사회적 통합, 경제적 자립과 여가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들은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Research Evidenc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 최정실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1-79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효과를 연구한 연구들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임상에서 치료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MEDLINE/PubMed와 AOTAPress에서 제공되는 연구논문들 중에서 1993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 효과를 살펴 본 10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감각조절장애와 자폐스펙트럼의 진단군이었으며, 중재 효과를 증명하기 위에 선택한 다른 중재유형은 여전히 과거의 체계적 고찰연구와 유사하였다. 중재기간은 대체로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를 10주 이상, 20회기 이상, 적어도 주당 2~3회 정도 실시하였다.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가 대체로 효과적인 편으로 특히 운동수행영역과 행동개선 영역, 학습과 관련한 교육영역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에는 감각처리 영역이나 작업수행영역에 감각통합중재의 효과가 있음을 GAS를 사용하여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노력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가들에게 감각통합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중재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디자인의 최소 틀을 알고 연구계획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될 것이다.

  • PDF

2,4-DNPH와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포름알데히드 분석방법 (Analytical method for analyzing formaldehyde using 2, 4-DNPH and gas chromatography/FID, NPD)

  • 정지연;박승현;이광용;오세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6-146
    • /
    • 2000
  • To develop and evaluate formaldehyde measurement method using 2,4-dinitro-phenylhydrazine (2,4-DNPH) coated sampler and gas chromatography, laboratory test and field test were conduct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imit of detection(LOD) of measurement methods, HPLC-UVD, GC-NPD and GC-FID, is $0.008{\mu}g/m{\ell}$ $0.060{\mu}g/m{\ell}$, $0.472{\mu}g/m{\ell}$ respectively. Coefficiency of measurement methods, HPLC-UVD, GC-NPD and GC-FID, is 0.008, 0.009, 0.020 respectively. Desorption efficiency of sep-pak xposure aldehyde sampler and sorbent sample tube is 1.05(range : 0.99 - 1.12), 1.02(range : 0.99 - 1.06) respectively. Samples of sorbent sample tube and sep-pak xposure aldehyde sampler turned out to be stored at refrigerator, according to storage test results. Measurement methods of HPLC-UVD, GC-NPD, GC-FID, according to results of precision for the combined sampling and analytical procedure, became acceptable to OSHA evaluation standard. Field test using exposure chamber met the NIOSH overall uncertainty recommendation(less than 25%). Overall uncertainty of Sepak-HPLC(UVD), Tube-GC(NPD), Tube-GC(FID) is 11.0% - 17.0%. Consequently gas chromatography(GC-NPD, GC-FID)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PA TO-11) using 2,4-DNPH coated sampler for formaldehyde measurement turned out to be suitable to measure personal formaldehyde exposure at workplaces.

  • PDF

산업안전보건법의 한계와 민간기준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al Limits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Law and Application of Private Standards)

  • 정진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3-112
    • /
    • 2014
  • Objectives: The present system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gives priority to traditional command and control regulations. However, this may give rise to problems such as the delay of standard-setting and shortages of human resourc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bility of private standards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ystems. Materials: After the limit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were examined, an application plan for private norms (EN, as enforced in the EU) an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s (OSHMS) was investigated. Results: The utilization of private norms and OSHMS may address the limit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In particular, OSHMS is known internationally as a measure for achieving improvements in overal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As a resul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and private norms/OSHMS are complementary to one another. Conclusions: Even though the utilization of private standards may give rise to legal questions, such standards as complementary measures to traditional command and control regulations need to be utilized progressively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ystems.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ESI)의 적용- 광주지역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ESI) on Local Community Base Program for Solitary Senior Citizen)

  • 김정미;박웅식;장지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9
    • /
    • 2011
  • 목적 : 광주 지역의 독거노인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프로그램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 ESI)의 유용성 뿐 아니라 작업치료 중재 측정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독거여성으로 치매예방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 참석한 대상자 중 본인이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하다고 인식한 대상자 6명을 모집하여 연구하였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은 이론적인 체계를 제공하였다. ESI로 사전 검사를 하였고, 5주간의 수공예와 원예 작업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했고 사후검사로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참여자의 사회기술 수행에 관련하여 치료사의 작업적 중재의 효과성을 ESI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집단의 사전, 사후의 ESI 로짓(logit)점수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t=-7.362, p=0.001). 결론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일상의 작업을 하는 동안 사회기술 수행과 관련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한 ESI의 유용성을 제시한 첫 번째 연구이다. 앞으로 OTIPM을 기반으로 하여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배경 안에서 작업치료를 계획하고 효율성에서 ESI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생활기능 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odel Focused on Improving Living Functions within the Community Care System)

  • 이춘엽;박영주;박강현;지석연;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2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에서 생활기능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을 개발하고자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8년 6월부터 동년 7월까지 생활기능향상 중심의 작업치료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일본의 생활행위향상 매니지먼트(Management Tool for Daily Life Performance; MTDLP) 뿐만 아니라 스웨덴, 영국, 독일 등의 사례와 국내의 S 노인주간보호센터 및 I 보건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케어 관련 문헌을 조사하였다. 본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집단 회의를 거쳐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 모델을 개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를 위한 평가를 시행하기 위하여 작업을 통한 건강 증진표, 흥미체크리스트, 생활기능향상을 위한 작업 목표, 생활기능 평가지, 일상생활시간 조사서(평일과 주말), 작업치료 종료 시 필요한 생활기능 인계지 등의 평가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작업치료사들이 이미 시행하고 있는 작업치료 중재 중 생활기능향상 프로그램, ICF모델 기반의 활동분석, 라이프 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 인지운동치료 프로그램, The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 호스피스 완화 프로그램, 가정환경수정 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케어 제도 내 작업치료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 방안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작업치료가 클라이언트에게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전문 영역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필요한 한국형 생활기능향상 모델구축에 본 연구가 기초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Systematic Review)

  • 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6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IV, V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Correlations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 강현진;고경혜;박수정;박주연;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1
    • /
    • 200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preschoolers.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 results, which were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 and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test(VMI) performance score. Then, we also compared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s with the VMI performance scores according to sex and age.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fifty normal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four to six years living in Busan. We used two test methods which hav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ne was the 9-Hole Peg Test to evaluate hand dexterity, and the other was the VMI to the evaluate visual-motor skills of these young children. Results : First,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performance scores(r=-.682).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scores according to sex.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p<.001). Conclusion :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eschool service should consider that visual-motor skills need to be compatible with hand dexterity in both evaluation and therapy. In additio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improved according to advances in age, so we must give graded tasks to proper age groups through concrete analysis of activity. By doing this, children can get the better therapeutic effects.

  • PDF

전 학령기 아동의 SIPT 운동감각(kinesthesia) 검사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Kinesthesia Test of SIPT for Preschool Children)

  • 장문영;황기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9
    • /
    • 2004
  • Objective :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orms of normal children when compar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while using the kinesthesia test of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SIPT). Methods : Participants consisted of 90 normal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four to six years. The kinesthesia test of SIPT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ability. Results : 1. Regarding the kinesthesia ability according to age, the average value of kinesthesia performance error decreased as age getting older and that valu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our and five, six age(p<0.05). 2. The kinesthesia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gender, the accuracy of both hands and the dominant hand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Regarding the kinesthesia performance ability of test items, 1R item and 6R item(26.2cm), 5R item and 2L item(20.2cm) passing through the midline of body and having the large movement in distance and angle showed the difficulty to perform in all the children between 4 and 6 age. Conclusion : By providing the norms of the kinesthesia performance ability in normal children of the above results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s treating children, the helpful data to the hand skill development of children, exercise plan and implementation, and the performance therapy of ADL through the proper evaluation and training of kinesthesia is considered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to be provided.

  • PDF

동작관찰 훈련과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An Impa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 구영화;김보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9-28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Method : 30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D hospital located in Busan and treated were randomly allocated to Action-Observation Training Group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 in fifteens. To compa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Korea-modified Barthel index (K-MBI) was carried out. Result : In both group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between two groups after therapy interven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improv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of stroke pati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lication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to clinical occupational therapy will show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