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performance

검색결과 780건 처리시간 0.029초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한 제조업 보건관리자의 자격별 직무분석 (Job Analysis with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the Qualification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Working in Manufacturing Work-sites)

  • 윤정아;김순례;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0
    • /
    • 2013
  • Purpose: To provide the data of health manag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sites health management with qualification based job analysis of health managers (Occupational Health Nursing, Industrial Hygienist, Environmental Engineer).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on 132 health managers using IPA and SPSS/WIN. Results: The overall average of importance of health management job was 8.0 (10 being the maximum score). Nurs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level of importance per areas and health management jobs. The overall average of performance of health management job was 6.7 (10 being the maximum score). Nurses had higher score in the area of health management. IPA matrix distributions per health management job area showed the correlations in qualification backgrounds and all of 3 main areas. Conclusion: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health management jobs based on the qualification backgrounds of health managers. To improve the health of workers,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must be provided. And to provide this,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additional education to health managers with an institutional complementary plan.

물리·작업치료사의 근거중심치료 인식도 차이 (A comparison in the evidence-based practice(EBP) awareness of physical therapists versus occupational therapists)

  • 고형정;양경옥;오명화;김정자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009-101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awarenes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EBP) in 100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A questionnaire on awarenes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EBP,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BP, and the performance ability of EBP.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ttitude toward EBP,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BP, and the performance ability of EBP of the subjects. Data analysis was made by IBM SPSS Statistics Ver. 20. The EBP awareness was examined by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For the attitude toward EB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of 'Therapists should judge whether they apply study results to individual patient. For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B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For the performance ability of EB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about the ability to understand patient's desire for treatment and treatment preference and the item about the ability to determine appropriate treatment process in cooperation with patients. Conclusions. Both two groups showed very low results in the attitude toward EBP,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BP, and the performance ability of EB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EBP education in undergraduate programs and the clinical field.

작업치료실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The Status of Infection for Infectious Diseases and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Occupational Therapy - Focusing on Busan)

  • 정남해;배원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49
    • /
    • 2016
  • 목적 :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실의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 6월 한 달 동안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 감염예방 관리 및 감염관리 인식도의 네 파트로 구성된 설문지를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실 23 곳, 작업치료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34.8%의 의료기관에서 작업치료사들이 옴, 결핵, C-diffficile, MRSA, HFM 등의 감염성 질환을 경험하였다.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감염예방 관리 항목에서 수행도가 높으나, '15초 이상 손 씻기'와 '장갑 착용 전 후에 손 씻기', '치료 시 마스크 착용'과 '사용한 마스크 즉각 버리기', '화장실 이용 시 시트 클리너 사용하기' 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그 외 '피, 침, 고름 및 분비물로 오염된 세탁물을 일반 세탁물과 분리 세탁하기'항목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는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염관리 교육은 중요하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감염교육은 대부분 근무처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염예방 관리 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치료사 개인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차후,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관리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y Daily Living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A Single Subject Design)

  • 문광태;박혜연;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99-117
    • /
    • 2020
  •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 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 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 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 박지훈;이은정;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활동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요소와 더불어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은 대전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 시간에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중재는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총 25회를 제공하였다. 감각통합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고, 작업수행요소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SS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BOTMP)를 사용하였으며, 작업수행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을 적용한 결과 대상아동들은 작업수행요소인 단축감각력(SSP), BOTM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의 수치상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SFA)의 점수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대상의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rprising Incentive: An Instrument for Promoting Safety Performance of Construction Employees

  • Ghasemi, Fakhradin;Mohammadfam, Iraj;Soltanian, Ali Reza;Mahmoudi, Shahram;Zarei, Esmaei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3호
    • /
    • pp.227-232
    • /
    • 2015
  • Background: In comparison with other industries, the construction industry still has a higher rate of fatal injuries, and thus, there is a need to apply new and innovative approaches for preventing accidents and promoting safe conditions at construction sites. Methods: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a new incentive system-the surprising incentive system-was assessed. One yea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new incentive system, behavioral changes of employees with respect to seven types of activities were observ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incentive system and the safety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The new incentive system had a greater positive impact in the first 6 months since its implementation. In the long term, however, safety performance experienced a gradual redu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ll activiti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important indicators of the safety conditions at workplace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and simple-to-apply tool for assessing frontline employees' safety performance. Shortening the intervals between incentives is more effective in promoting safety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the surprising incentive would improve the employees' safety performance just in the short term because the surprising value of the incentives dwindle over time. For this reason and to maintain the surprising value of the incentive system, the amount and types of incentives need to be evaluated and modified annually or biannually.

보건관리자의 ADDIE 모형 활용정도와 셀프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Planning Model(ADDIE) Utilization and Self-Leadership on Work Performance among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 김영임;정혜선;이다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4-403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planning model (ADDIE) and self-leadership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OHM) on work performance.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180 OHM with over six months of experience, who attended continuing education b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2019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Program Ver. 23.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 performance of OHM, the model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0%. Self-leadership (${\beta}=.45$, p=.001),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planning model (${\beta}=.20$, p<.005), and position (${\beta}=.16$, p=.024) wer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n work performance. Conclusions: To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OHM, a customized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hat promotes the utilization ability of the educational planning model and a strategy of benchmarking high performers in the light of their positions. The improvement of the work performance of OHM will eventual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duction of industrial disaster and occupational diseases.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 기능에 미치는 효과 -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을 이용하여 - (Using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On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to the Daily-Life Task Performance of a Child with a Cerebral Palsy)

  • 권분정;박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59
    • /
    • 2003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case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First we have taken a child with a cerebral palsy and given him/her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Then, we intended to look into whether the child performed his daily-life tasks and how satisfactory the parents were with the treatment. Methods : We have chosen a child with a cerebral palsy and tested his sensory integration functions. Applying the 30 minutes-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twenty times to the child, we compared the result of the treatment using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We counseled the parents of the chil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 We have rated the problems with the degrees of importance referring to the parents. Important problems include controlling eliminations, having meals, moving by self, interacting with peer groups, and performing delicate hand-movements. The score of the in the performance is 1.2 and the score of the degree in the satisfaction is 1.4 compared with the total score. Conclusion : We have concluded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has the effective result to the daily-life task performances of a child with a cerebral palsy, a kind of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and satisfies the child's parents after this case study.

  • PDF

건강관리 중요도 인식이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ealth Management Importance Awareness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Basic Fitness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손성민;전병진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31-51
    • /
    • 2018
  • 본 연구는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이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거주 지적장애인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07월 01일부터 09월 30일까지 총 12주 동안 주 2회 탄성밴드를 활용한 부위별 근력운동을 실시하였다.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평가로 프로그램 참여 전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 도구를 활용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에 따라 중요도(매우높음) 집단과 중요도(보통)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전, 후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건강관리 중요도에 따른 중요도(매우높음), 중요도(보통) 집단의 수행도, 만족도, 근력, 유연성의 집단내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참여 전, 후 증가하였으며, 집단간 분석결과 수행도, 만족도의 사후분석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분석결과 근력, 유연성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에 있어서 중요도 인식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건강관리활동의 참여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적응기술, 일상생활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cusing on Adaptation and Daily Living Skills)

  • 김은지;곽보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75-86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준비도의 적응기술 영역과 일상생활 기술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의 만 5세 8개월 남아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2번, 4주 동안 총 8회기 진행되었다.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를 실시하였으며 목표 활동은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였다. 사전-사후 검사와 후속 평가를 통하여 대상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수행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COPM의 결과는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향상을 보였다. 처리기술은 수업 준비하기에서 7개,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8개의 향상을 나타냈다. 작업 수행 관찰결과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사후 검사와 후속 평가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작업치료는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적응기술과 일상생활기술을 향상시키며 학교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