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n Quality of Sleep in College Students

  • Kim, Deokj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47-5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s of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n quality of sleep in college students.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Sep. 1 to Sep. 30, 2021.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at C College situated in C region. For analysis, 103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used. As study instruments,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orporating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scales for quality of life, quality of sleep,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were applied.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sleep latency of study participants had lower scores than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different quality of sleep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women had more sleep disturbances as they didn't have any part-time job.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quality of life, physical health and total score (quality of life) had correlations with daytime dysfunction. With regard to influential factors on quality of sleep, rest & sleep as a domain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work affected quality of sleep. Students' quality of sleep will be improved if they keep regular habits of living, have rest appropriately for alleviating their stress, and do their jobs with interest and successfully according to a proced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care for the health of would-be experts in charge of national health care.

대학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강도와 사회참여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Strength and Social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김태준;박윤주;이슬기;이윤희;지시연;전병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
    • /
    • 2016
  • 목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강도와 사회참여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사회참여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강원도 소재의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재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SNS 강도는 핸드폰에 저장되어 있는 SNS 친구 수와 카카오톡 평균연락횟수로 측정되었다. 사회참여 측정도구는 Godelief 등(2009)에 의해 수정된 Maastricht Social Participation Profile(MSPP)를 사용하였다. MSPP는 공식적 사회참여(약속활동), 비공식적 사회참여(친구 및 지인과의 접촉, 가족과의 접촉)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SNS 친구 수와 약속활동 항목, 카카오톡 평균연락횟수와 친구 및 지인과의 접촉 항목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대학생들의 SNS 강도와 사회참여는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SNS 강도와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상호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 유지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가족 간의 관계 유지에는 영향을 끼치는 다른 변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에 대한 인식도 조사 (Investigating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Accredit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 성라윤;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44
    • /
    • 2023
  • 목적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감각발달재활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99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4일부터 2022년 11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추가 문항은 빈도분석,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와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 문항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는 4.50±2.40점,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는 4.22±2.55점으로 나타났다.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는 학년, 아동 관련 실습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는 학제, 학년, 관련학과 인정여부, 아동관련 실습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지역사회에서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의향 및 감각발달 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을 받을 의향은 높으나 관련 인식도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성 있는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양성을 위해 학교에서는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과 관련된 교육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전공관련 자원봉사가 자존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Volunteering on Self-esteem and Self-efficiency in University Students)

  • 박소연;김진경;이택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76-384
    • /
    • 2011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전공 관련 자원봉사가 자존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원봉사는 2009년 7월 27일부터 8월 21일까지 서울 경기 지방에 위치한 치매관련 노인 요양 시설에서 20일(160시간)간 실시되었다. 참가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자원봉사에 참가하기 전과 후에 자존감, 자기효능감, 자원봉사와 진로의식 및 행동관련 설문을 자가기입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다고 응답하였고, 대상자들의 자존감과 자기효능감도 각각 $29.43{\pm}2.51$점, $30.45{\pm}3.41$점에서 $31.66{\pm}2.63$$33.26{\pm}3.93$점으로 향상되었다(p<.00). 또 대상자들은 자원봉사 후에 전공에 대해 편안함을 느끼고 준비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공 관련 자원봉사가 대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소속감과 이해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용미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7-173
    • /
    • 2019
  •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능력은 더 증대되며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분석결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임상실습 내용, 임상실습 후 만족감,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지도방법, 임상실습 시간, 임상실습 평가, 임상실습 중 자신의 내적 갈등 순이었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만족도의 차이는 전공 만족도와 실습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임상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연구의 내용이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 홍승표;유연환;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의 우울 관련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Related Factors Depression of Korea University Student)

  • 전병진;송보경;고경민;김지윤;박상은;유이슬;이두리;최영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5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을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우울에 대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게재된 국내논문을 연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의 원문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558개 논문이 수집되었다. 주요 검색용어(Key words)는 '대학생, 우울, 우울요인' 있고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Down & Black(1998)에 의해 개발된 연구의 근거기반수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문헌들을 메타분석 하였다. 결과 : 최종 분석에 사용된 47편의 연구들을 5개의 요인군(자아존중감, 자살사고, 긍정적사고, 스트레스,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으로 나누었다. 각 요인군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 출판편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5개의 요인 중 자아존중감은 이질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효과크기는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가 큰 효과 크기가 있었고, 긍정적사고와 스트레스는 중간 효과크기이며,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은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한국 대학생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자살에 대한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특성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al Empathy and Personality on Cultural Competence among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안나;이수휘;전현정;채명훈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7-46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 특성이 그들의 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수행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155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문화적 공감태도(SEE), 성격요인(BFI), 문화적 역량(CCAI)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문화적 공감태도, 성격요인, 문화적 역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은 문화적 역량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공감태도(β=.357), 성격요인 중 개방성(β=.253)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전공 교육과 직업가치 인식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Education and Occupational Value Perception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 고은아;유원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05-31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전공 교육 만족도와 물리치료사의 직업가치 인식을 알아보고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설문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물리치료학과 진학 동기, 전공 교육 만족도, 물리치료사의 직업가치 인식, 물리치료사란 직업의 사회적 가치 인식 등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다. 설문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통계분석은 spss ver 28.0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상관계수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전공 교육 만족도는 각 유의확률 .368, .6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본인이 생각하는 직업가치 인식은 유의확률 .03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에 따른 유의확률은 .46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사회적 직업 인식은 각 유의확률 .483, .07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공 교육 만족도에 따른 물리치료사의 직업가치 인식 수준을 상관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 .483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물리치료학과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과 물리치료사에 대한 직업 가치인식 수준이 높은 것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학과 전공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 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학과선택 시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 정경아;조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43-155
    • /
    • 2015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학과선택 시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및 진로 정체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카이제곱 겁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과선택 시기에 따라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과 선택 시기가 빠른 경우(고등학교 재학 중)에 그렇지 않은 경우(대입원서 접수 전, 대입원서 접수기간)보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진학 후 효율적인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를 위해서는 작업치료학과의 특징이 융합된 진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