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방사선종사자 피폭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adiation Work Field Classification System in Republic of Korea)

  • 박수희;한지영;김용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67-275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방사선종사자들의 피폭 기록은 관심의 대상이며 피폭이 일어나는 분야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유관부처에 따라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종사자들의 피폭을 11개 업종으로 나누어 기록을 수집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체계는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를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분류 체계와는 정합성이 부족하다. 국내의 종사자 피폭 분류 체계는 명확한 분류 기준이 없고 업종 특성 등을 반영해주지 못하고 있다. 유엔방사선영향과학위원회의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국내의 분류 체계를 핵주기 분야, 의료분야, 산업분야, 그 외 분야(교육/연구, 군사/공공)의 5개 대분류 체계와 그에 따른 세 분류 및 직군 분류를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였다.

2002년 국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직업군별 피폭선량 (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in Korea: 2002)

  • 정제호;권정완;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175-183
    • /
    • 2005
  • 2002년 기준으로 국내 52733명의 방사선 작업종사자에 대해 5개 대분류와 28개의 세분류 카테고리로 나눈 직업군별 연간 피폭선량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진단용 X선 분야(치과용 포함) 종사자의 선량 통계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공하였으며 기타 종사자의 선량자료는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가 제공하였다. 직업군에 따른 선량준위별, 연령별 성별 종사자수와 연간 평균선량을 분석한 결과 거의 80% 정도의 종사자들이 연간 1.2mSv 이하로 피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 종사자의 총 집단선량은 66.4man-Sv로 나타났고 평균 선량은 1.26mSv였다. 직업군별로는 체내 핵의학 분야와 비 파괴검사 분야 종사자가 다른 분야에 비해 평균선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진단용 X선 분야 종사자에게서 연간 20mSv 이상 피폭자 수가 상당하여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기의 원자력발전소 작업종사자 중에는 20mSv를 초과하는 종사자가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30대 종사자 수가 가장 많았고 20대 종사자의 선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이 전체 작업종사자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피폭선량은 남성의 반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 발전소 방사선 관리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An Optimization Study on the Radiation Management in Nuclear Power Plants)

  • 송종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71-82
    • /
    • 1993
  • 원자력 발전소 작업과의 피폭량은 발전소의 안전 운영에 관한 척도일 뿐 아니라, 일반 대중이 원자력 발전의 안전을 평가하는 기본 요소이다. 또한, 최근 ICRP 60에 의한 개인 피폭선량 한도의 하향조정 권고는 지속적인 피폭저감에의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피폭저감에 관한 대안선정시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 기법을 제시하고 실제로 원전 운영자예 의해 제안된 대안들을 검토하는데 이 기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분석과정에서 기본분석이외에 가변 경제변수를 고려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계산 결과의 불확실성을 보완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비용-이득 분석에서는 '증기 발생기 Nozzle Dam 및 Torquing Machine'이 총 이득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다속성 효용 분석의 경우 'Co-No Seal 조임장치'가 가장 높은 효용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최적화 기법의 적용시에는 두 가지이상의 정량적 기법을 보완적으로 사용하고, 정성적 인자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피폭정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upational exposure on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 장종화;이혜남;임청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17-725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quality of lif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bles related occupational exposure on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Methods :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iled to dental hygienists from April 4 to May 15, 2010. The subjects were 256(56.9%), who were worked in dental hospital and clinic with mean age of $29.59{\pm}7.30$.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WHOQOL-BREF. It consists of 26 items, each with 5-point likert scale. Self control of occupational exposure was measured using the 3-item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7.0 program. Results : Regarding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was a mean of 90.73 out of a maximum 130 points. The level of self control occupational exposure a mean of 3.20 out of a maximum 5 points. Self control of occupational exposure, frequency of panorama radiography, work experience of radiograp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s, occupational exposur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n dental hygieni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various factors related occupational exposure in dental hygienists.

Radiation Dose Distribution of a Surgeon and Medical Staff during Orthopedic Balloon Kyphoplasty in Japan

  • Ono, Koji;Kumasawa, Takafumi;Shimatani, Keiichi;Kanou, Masatoshi;Yamaguchi, Ichiro;Kunugita, Naok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86-92
    • /
    • 2022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adiation dose distribution of balloon kyphoplasty (BKP) among surgeons and medical staff, and this is the first research to observe such exposure in Japa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an orthopedic surgeon (n = 1) and surgical staff (n = 9) who intervened in BKP surgery performed at the National Hospital Organization Disaster Medical Center (Tokyo, Japan) between March 2019 and October 2019. Only disposable protective gloves (0.022 mmPb equivalent thickness or less) and trunk protectors were used, and no protective glasses or thyroid drapes were used. Results and Discussion: The surgery time per vertebral body was 36.2 minutes, and the fluoroscopic time was 6.8 minutes. The average exposure dose per vertebral body was 1.46 mSv for the finger (70 ㎛ dose equivalent), 0.24 mSv for the lens of the eye (3 mm dose equivalent), 0.11 mSv for the neck (10 mm dose equivalent), and 0.03 mSv for the chest (10 mm dose equivalent) under the protective suit.The estimated cumulative radiation exposure dose of 23 cases of BKP was calculated to be 50.37 mSv for the fingers, 8.27 mSv for the lens, 3.91 mSv for the neck, and 1.15 mSv for the chest.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e exposure dose of orthopedic surgeons, implement measures for exposure reduction, and verify the safety of daily use of radiation during surgery and examination.

PET 검사실 종사자의 업무 행위 별 방사선피폭 조사에 따른 피폭선량 저감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to lower technologist occupational exposur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form in PET scan procedure)

  • 고현수;김호성;남궁창경;윤순상;송재혁;류재광;정우영;장정찬
    • 핵의학기술
    • /
    • 제19권1호
    • /
    • pp.17-29
    • /
    • 2015
  • 핵의학과 방사선 작업 종사자는 진단 방사선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업무처럼 방사선원으로부터 완전히 격리 된 공간에서 근무하거나, 선원과의 거리를 멀게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종사자는 시행하고 있는 업무 행위에 대해 익숙해지고 오랫동안 업무를 하게 되면, 본인이 시행하고 있는 업무가 최적화 된 방법이라고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환자 검사 및 정도 관리 행위마다 얼마만큼의 방사선피폭을 받는 지를 측정해보고, 개선 해야 할 업무 방법에 대해 모색하여 실제로 개선 하였을 경우 피폭 선량의 차이는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PET 검사실에서 시행 되는 업무 형태를 행위 별로 장비 정도 관리, 주사, 영상획득, 기타 사항으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 하였다. 장비 정도 관리 업무 에서는 $^{68}Ge$ cylinder phantom을 이용한 일 별(Daily) 정도 관리 중 테이블을 직접 조종 하는 방법과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주사 업무에서는 주사 전 안내와 주사 후 안내 두 가지 방법으로, 영상획득 업무에서는 환자 바로 옆에 있는 테이블 조종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누어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행위 별 누적 피폭 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간 별 피폭 누적치(${\mu}Sv$) 측정이 가능한 Tracerco 사의 'PERSONAL ELECTRONIC DOSEMETER (PED)'를 사용하였다.$^{68}Ge$ cylinder phantom을 이용한 일 별정도 관리(Daily QC) 업무에서 테이블을 직접 조종 하는 경우에는 1회당 평균 $0.27{\pm}0.04{\mu}Sv$를,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평균 $0.13{\pm}0.14{\mu}Sv$의 피폭을 받았다. 주사 업무에서는 주사 후 안내 시 한 명당 평균 $0.97{\pm}0.36{\mu}Sv$를, 주사 전 안내 시에는 $0.62{\pm}0.17{\mu}Sv$의 피폭을 받았다. 또한 영상획득 업무에서는 환자 바로 옆 테이블 조종 버튼 사용 시 한 명당 평균 $1.33{\pm}0.54{\mu}Sv$를, 멀리 떨어진 곳의 버튼 사용 시$0.94{\pm}0.50{\mu}Sv$의 피폭을 받았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실험을 통해 PET 검사의 업무 행위 별로 1회 시행 시 어느 정도의 피폭을 받는지를 평균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행위 별로 업무 방식을 나누어 비교하여 얼마만큼의 피폭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확인 하였다. 같은 업무라 하더라도 개인 성향이나 습관에 따라 업무 방식이 다를 수 있고, 피폭을 최소화 하기 위한 업무 방법이 어떤 것인지 인식하고 있음에도 그렇게 실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실험에서 비교한 업무 방법 이외에 더 추가적으로 피폭을 저감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더 모색한다면 PET 업무뿐 만 아니라 핵의학 검사에 있어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Optimal Monitoring Intervals and MDA Requirements for Routine Individual Monitoring of Occupational Intakes Based on the ICRP OIR

  • Ha, Wi-Ho;Kwon, Tae-Eun;Jin, Young 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88-94
    • /
    • 2020
  • Background: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has recently published report series on the occupational intakes of radionuclides (OIR) for internal dosimetry of radiation workers. In this study, the optimized monitoring program including the monitoring interval and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 (MDA) of major radionuclides was suggested to perform the routine individual monitoring of internal exposure based on the ICRP OIR. Materials and Methods: The derived recording levels and the critical monitoring quantities were reviewed from international standards or guidelines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and the European Radiation Dosimetry Group (EURADOS). The OIR data viewer provided by ICRP was used to evaluate the monitoring intervals and the MDA, which are derived from the reference bioassay functions and the dose coefficients. Results and Discussion: The optimal monitoring intervals were determined taking account of two requirement conditions on the potential intake underestimation and the MDA values. The MDA requirement values of the selected radionuclid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committed effective dose from 0.1 mSv to 5 mSv. The optimized routine individual monitoring program was suggested including the optimal monitoring intervals and the MDA requirements. The optimal MDA valu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committed effective dose of 0.1 mSv. However, the MDA can be adjusted considering the practical operation of the routine individual monitoring program in the nuclear facilities. Conclusion: The monitoring intervals and the MDA as crucial factors for the routine monitoring were described to suggest the optimized routine individual monitoring program of the occupational intakes. Further study on the alpha/beta-emitting radionuclides as well as short lived gamma-emitting nuclid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C 대학병원의 개인선량계 판독과 영향 (Reading and Influence of Personal Dose Meter in University Hospital C)

  • 이주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57-363
    • /
    • 2022
  • 본 연구 목적은 방사선관계종사자와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직종별 방사선 피폭선량을 분석하여 폐 부작용 유발확률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즉, 피폭관리 실태를 점검함으로써 방사선종사자들의 직업상 피폭에 대한 안전 점검 의식을 향상시키고 방사선안전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사선관계종사자와 방사선작업종사자 각각 3개의 직종별 (방사선사, 의사, 간호사)로 분류하였다. 피폭선량으로 인한 폐의 부작용 유발확률을 산출하기 위하여 ICRP103에 근거한 명목위험계수(Nominal risk factor)를 활용하였다. 방사선관계종사자의 1년간 심부선량은 방사선사 1.63 ± 2.84 mSv, 의사는 0.12 ± 0.22 mSv, 간호사는 0.59 ± 1.08 mSv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폐의 부작용 유발 확률은 방사선사는 100,000당 1.1명, 의사는 10.082명, 간호사는 0.4명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종사자의 1년간 심부선량은 방사선사 2.44 ± 3.30 mSv, 의사의 경우 0.19 ± 0.26 mSv, 간호사의 경우 0.12 ± 0.00 mSv이었다. 이 선량으로 인하여, 폐의 부작용 유발 확률은 방사선사는 100,000당 1.2명, 의사는 0.096명, 간호사는 0.06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피폭선량의 직종별 폐에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을 연구하여 향후 확률적 영향과 관련하여 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하여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원자력발전소가동(原子力發電所稼動)에 대한 ALARA (ALARA for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 Knapp Peter James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29-35
    • /
    • 1979
  • Comparison of the risk of death due to radiation exposure with the same risk due to occupational hazards in other safe industries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the ALARA principle. The outlined responsibilities and listed examples presented here can serve as a basis for expanding and developing the concepts necessary for its successful application.

  • PDF

Protective Measures From Solar Ultraviolet Radiation for Beach Lifeguards in Tuscany (Italy): Shade and Clothing Strategies

  • Daniele Grifoni;Giulio Betti;Andrea Bogi;Lucia Bramanti;Alessandra Chiarugi;Bernardo Gozzini;Marco Morabito;Francesco Picciolo;Francesco Sabatini;Lucia Milig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4호
    • /
    • pp.421-428
    • /
    • 2022
  • Background: The exposure to solar ultraviolet radiation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generally underestimated by outdoor workers and employers. Several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occupational solar exposure increased eye and skin diseases with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lives and productivity of affected worke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of some measures recently undertaken for the protection of lifeguards in a coastal area of Tuscany. Methods: Different shading structures (gazebos and beach umbrella) were tested during a sunny summer's day on a sandy beach by means of two radiometers; the UV protection offered by some T-shirts used by lifeguards was also tested in the laboratory with a spectrophotometer. Results: The analysed shading structures strongly reduced the ultraviolet radiation by up to 90%, however a not always negligible diffuse radiation is also present in the shade, requiring further protective measures (T-shirt, sunglasses, sunscreen, etc.); the tested T-shirts showed a very good-excellent protection according to the Australian/New Zealand standard. Conclusion: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how the adoption and dissemination of good practices, including those tested, could be particularly effective as a primary prevention for lifeguards who are subjected to very high levels of radiation for long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