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ategies to lower technologist occupational exposur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form in PET scan procedure

PET 검사실 종사자의 업무 행위 별 방사선피폭 조사에 따른 피폭선량 저감화를 위한 연구

  • Received : 2015.04.03
  • Accepted : 2015.04.30
  • Published : 2015.05.16

Abstract

Purpose For nuclear medicine technologists, it is difficult to stay away from or to separate from radiation sources comparing with workers who are using radiation generating devices. Nuclear medicine technologists work is recognized as an optimized way when they are familiar with work practic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radiation exposure of technologists working in PET and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fter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lower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We divided into four working types by QC for PET, injection, scan and etc. in PET scan procedure. In QC of PET, we compared the radiation exposure controlling next to $^{68}Ge$ cylinder phantom directly to controlling the table in console room remotely. In injection, we compared the radiation exposure guiding patient in waiting room before injection to after injection. In scan procedure of PET, we compared the radiation exposure moving the table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next to the patient to moving the table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in the far distance. PERSONAL ELECTRONIC DOSEMETER (PED), Tracerco$^{TM}$ was used for measuring exposed radiation doses. Results The average doses of exposed radiation were $0.27{\pm}0.04{\mu}Sv$ when controlling the table directly and $0.13{\pm}0.14{\mu}Sv$ when controlling the table remotely while performing QC. The average doses of exposed radiation were $0.97{\pm}0.36{\mu}Sv$ when guiding patient after injection and $0.62{\pm}0.17{\mu}Sv$ when guiding patient before injection. The average doses of exposed radiation were $1.33{\pm}0.54{\mu}Sv$ when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next to the patient and $0.94{\pm}0.50{\mu}Sv$ when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in far distance while acquiring image.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how much radiation doses technologists are exposed on average at each step of PET procedure while working in PET center and how we can reduc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fter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lower exposure. And if we make effort to seek any other methods to reduce technologist occupational radiation, we can minimize and optimize exposed radiation doses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how much radiation doses technologists are exposed on average at each step of PET procedure while working in PET center and how we can reduc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fter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lower exposure. And if we make effort to seek any other methods to reduce technologist occupational radiation, we can minimize and optimize exposed radiation doses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핵의학과 방사선 작업 종사자는 진단 방사선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업무처럼 방사선원으로부터 완전히 격리 된 공간에서 근무하거나, 선원과의 거리를 멀게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종사자는 시행하고 있는 업무 행위에 대해 익숙해지고 오랫동안 업무를 하게 되면, 본인이 시행하고 있는 업무가 최적화 된 방법이라고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환자 검사 및 정도 관리 행위마다 얼마만큼의 방사선피폭을 받는 지를 측정해보고, 개선 해야 할 업무 방법에 대해 모색하여 실제로 개선 하였을 경우 피폭 선량의 차이는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PET 검사실에서 시행 되는 업무 형태를 행위 별로 장비 정도 관리, 주사, 영상획득, 기타 사항으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 하였다. 장비 정도 관리 업무 에서는 $^{68}Ge$ cylinder phantom을 이용한 일 별(Daily) 정도 관리 중 테이블을 직접 조종 하는 방법과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주사 업무에서는 주사 전 안내와 주사 후 안내 두 가지 방법으로, 영상획득 업무에서는 환자 바로 옆에 있는 테이블 조종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누어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행위 별 누적 피폭 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간 별 피폭 누적치(${\mu}Sv$) 측정이 가능한 Tracerco 사의 'PERSONAL ELECTRONIC DOSEMETER (PED)'를 사용하였다.$^{68}Ge$ cylinder phantom을 이용한 일 별정도 관리(Daily QC) 업무에서 테이블을 직접 조종 하는 경우에는 1회당 평균 $0.27{\pm}0.04{\mu}Sv$를,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평균 $0.13{\pm}0.14{\mu}Sv$의 피폭을 받았다. 주사 업무에서는 주사 후 안내 시 한 명당 평균 $0.97{\pm}0.36{\mu}Sv$를, 주사 전 안내 시에는 $0.62{\pm}0.17{\mu}Sv$의 피폭을 받았다. 또한 영상획득 업무에서는 환자 바로 옆 테이블 조종 버튼 사용 시 한 명당 평균 $1.33{\pm}0.54{\mu}Sv$를, 멀리 떨어진 곳의 버튼 사용 시$0.94{\pm}0.50{\mu}Sv$의 피폭을 받았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실험을 통해 PET 검사의 업무 행위 별로 1회 시행 시 어느 정도의 피폭을 받는지를 평균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행위 별로 업무 방식을 나누어 비교하여 얼마만큼의 피폭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확인 하였다. 같은 업무라 하더라도 개인 성향이나 습관에 따라 업무 방식이 다를 수 있고, 피폭을 최소화 하기 위한 업무 방법이 어떤 것인지 인식하고 있음에도 그렇게 실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실험에서 비교한 업무 방법 이외에 더 추가적으로 피폭을 저감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더 모색한다면 PET 업무뿐 만 아니라 핵의학 검사에 있어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