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bite) forc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2초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임상양태에 관한 연구 (Clinical Features of the Recurred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고명연;박준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4호
    • /
    • pp.369-377
    • /
    • 1998
  • A patient with TMJ osteoarthritis and anterior open bite was treated with an intermaxillary traction device. Pretreatment examination revelaed a pain in both TMJ during mouth opening, moderate tendernesso f left sternocleidomastoid and right trapezius muscles. Anterior open Bite was aobserved with interincisal distance of 2mm. Tomograms and MRI showe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it reductoin of both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the condyles were flattened and slightly eroded. A pair of full-coverage occlusal appliances was made on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 with pivoting fulcrum on the site of the second moalr. Traction force was gained by the intermaxillary orthodontic elastics which were hooked by orthodontic brackets on the lab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anterior and premolar teeth. After 8 weeks of traction treatment, the joint pain was subsided completely and the anterior open bite was closed to get an edge to edge relationship of anterior teeth.

  • PDF

Assessment of swallowing and masticatory performance in obturator wearers: a clinical study

  • Vero, Nungotso;Mishra, Niraj;Singh, Balendra Pratap;Singh, Kamleshwar;Jurel, Sunit Kumar;Kumar, Vijay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1호
    • /
    • pp.8-14
    • /
    • 2015
  • PURPOSE. To assess function by identifying changes in swallowing and masticatory performance in maxillary obturator prosthesis wearer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of which 20 were obturator wearers, 20 were completely dentulous and 20 had removable partial/complete dentures with similar Eichner's Index. Swallowing ability was evaluated with and without obturator using the "Water Drinking Test"; Masticatory performance was evaluated with the Sieve test; and maximum occlusal force was recorded with the help of a digital bite sensor.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5.0 with a confidence level at 95%. RESULTS. Profile, behavior of drinking and time taken to drink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1) in subjects after wearing obturator. Masticatory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252) in obturator wearer when compared with dentulous or removable partial/complete denture wearer, but significantly (P<.001) high inter group difference in maximum occlusal force existed. Correlation betwee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maximum occlusal force was not significant (P=.124). CONCLUSION. Swallow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wearing obturator but masticatory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having similar occlusal support zone in their dentition.

The influence of various core designs on stress distribution in the veneered zirconia crown: a finite element analysis study

  • Ha, Seung-Ryong;Kim, Sung-Hun;Han, Jung-Suk;Yoo, Seung-Hyun;Jeong, Se-Chul;Lee, Jai-Bong;Yeo, In-S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2호
    • /
    • pp.187-19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rious core designs on stress distribution within zirconia crowns. MATERIALS AND METHOD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representing mandibular molars, comprising a prepared tooth, cement layer, zirconia core, and veneer porcelain were designed by computer software. The shoulder (1 mm in width) variations in core were incremental increases of 1 mm, 2 mm and 3 mm in proximal and lingual height, and buccal height respectively. To simulate masticatory force, loads of 280 N were applied from three directions (vertical, at a $45^{\circ}$ angle, and horizontal). To simulate maximum bite force, a load of 700 N was applied vertically to the crowns. Maximum principal stress (MPS) was determined for each model, loading condition, and position. RESULTS. In the maximum bite force simulation test, the MPSs on all crowns observed around the shoulder region and loading points. The compressive stresses were located in the shoulder region of the veneer-zirconia interface and at the occlusal region. In the test simulating masticatory force, the MPS was concentrated around the loading points, and the compressive stresses were located at the 3 mm height lingual shoulder region, when the load was applied horizontally. MPS increased in the shoulder region as the shoulder height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reinforced shoulder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success of the zirconia restoration, and veneer fracture due to occlusal loading can be prevented by proper core design, such as shoulder.

소아청소년에서 제1대구치의 기성금속관 수복 후 교합 변화 (Changes of Occlusion following the Placement of Preformed Metal Crown to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지웅;이난영;지명관;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5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심한 우식 또는 저광화에 이환된 제1대구치에 기성금속관을 수복한 후 교합 변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제1대구치가 교합 평면까지 도달하여 교합되는 환자 중 기준에 부합하는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의 제1대 구치에 기성금속관으로 수복치료를 진행하였다. 치료 전, 치료 직후, 4주 후, 8주 후 검진마다 T-Scan III을 사용하여 최대교두감합위에서 교합력 분포를 측정하였고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로 수직피개를 측정하였으며 정중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8주 후 검진에서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부분 치료 전과 비교해서 치료 직후 악궁에서 수복한 쪽과 수복하지 않은 쪽 사이의 교합력 분포가 역전되었으며 수직피개는 감소했다. 하지만 4주 후에 좌, 우측 교합력이 평형을 이루었고 수복한 제1대구치와 수복하지 않은 제1대구치의 교합력 분포는 비슷한 값을 가졌다. 또한 변화한 수직피개, 정중선은 치료 전 상태로 회복되었고 치료 후 유의할만한 턱관절 및 저작 불편감은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성금속관 수복 후 한 달 뒤에 자발적인 교합 평형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큐레이(Q-ray)와 티스캔(T-scan)을 사용한 치아균열증후군(cracked tooth syndrome)과 교합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racked tooth syndrome and occlusion using Q-ray and T-scan)

  • 안도관;최진우;김유성;표세욱;김희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71-280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큐레이(Q-ray)와 티스캔(T-scan)을 사용하여 치아균열증후군(cracked tooth syndrome)과 교합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9년 3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치과진료센터 치과보철과에 내원한 환자 중 실험대상 포함기준을 만족하며 치아균열증후군으로 진단된 대구치(실험군)를 1개 이상 가지고 있으나 동일 악궁 반대측에는 정상 치아(대조군)를 가진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치아의 사진을 Q-ray pen을 이용해 촬영하여 최대형광소실도(ΔFmax)와 최대적색형광도(ΔRmax)을 측정하였고 T-scan 검사를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 치아의 상대적 교합강도 및 편심위운동시 이개시간을 측정하였다. Mann-Whitney U test를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상대적 교합강도와 이개시간의 차이 및 균열치아의 냉검사와 온검사 결과에 따른 군들 간의 최대형광소실도(ΔFmax)와 최대적색형광도(ΔRmax)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α = .05).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해 최대형광소실도(ΔFmax)와 최대적색형광도(ΔRmax)와 상대적 교합강도 및 이개시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균열치의 상대적 교합강도 및 이개시간은 정상치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 (P < .05). 균열치 중 냉검사와 온검사 결과에 따른 각 군들 간의 최대형광소실도(ΔFmax)와 최대적색형광도(ΔRmax)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5).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결과, 최대형광소실도(ΔFmax)와 최대적색형광도(ΔRmax)와 상대적 교합강도 및 이개시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P > .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상대적 교합강도와 이개시간 등의 교합 요소는 치아균열증후군의 발병과 연관이 있었다. Q-ray 검사를 통한 최대형광소실도(ΔFmax)와 최대적색형광도(ΔRmax)의 측정은 치아균열증후군의 진단에는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임상증상과 정량적인 관계를 입증하지는 못하였다.

교합력의 방향에 따른 소형견 치과보철물의 압축파절강도 비교 (Comparison of compressive fracture strength of small dog dental prosthesis along the direction of bite force)

  • 박유진;최성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9-137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ompressive fracture strength of the crow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force of the mandibular canine and carnassial of the small dog. Methods: The abutment models of mandibular canine and carnassial were prepared, specimens of zirconia, PMMA and Ni-Cr alloy were produced. The experimental jig was fabricated with Co-Cr alloy and buried in acrylic resin after make tilt to specified angle.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jig and load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ntil the specimen fractured. Results: The compressive fracture strengths of CXZ and CXP specimens were found to be 999.21 ± 31.15 N on average and 731.42 ± 59.13 N on average. And CZZ and CZP specimens were 730.48 ± 70.14 N on average and 377.65 ± 11.87 N on average. CXN and CZN specimens were not fractured. In addition, MZZ and MZP specimens were 746.46 ± 50.75 N and 258.64 ± 31.86 N on average. The MZN specimens were not fractured. Conclusion: Zirconia has compressive fracture strength that can be applied to small dog's canine and Carnassial prosthetics, while PMMA has inadequate strength to small dog's carnassial prosthesis.

이악물기 시 발생되는 치아변형에 대한 구강보호장치의 역할 (Effect of Mouthguard on Tooth Distortion During Clenching)

  • 이윤;최대균;권긍록;이성복;노관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4호
    • /
    • pp.405-417
    • /
    • 2010
  • 그 동안 많은 연구와 실험에서 운동 중 외상에 대한 마우스가드의 악골, 치아 및 구강조직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치아 및 구강조직의 장애는 강한 외상 외에도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이악물기와 같은 장애로도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는 주로 구치부의 병적인 교모, 치조골 흡수, 치아 상실 및 교합의 붕괴로 나타난다. 마우스가드의 장착이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생각되나 그 효과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악물기에 의해 치아에 발생되는 뒤틀림을 마우스가드가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 하였다. 7명의 건강한 성인의 치료경험이 없는 하악 제1대구치를 피검치로 선정하고 이축(bi-axial)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치아 협면에 접착 하였다. load cell에 의해 측정된 최대 교합력을 기준으로 최초 치아 접촉, 중간 강도의 교합력, 최대 강도의 교합력으로 이악물기 강도를 3단계로 구분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세 단계의 이악물기 강도에서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을 측정하고, 마우스가드 장착 후에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과 후 각각 세단계의 이악물기 단계 사이의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후에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 (Wilcoxon signed rank test) 9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분석 하였다. 마우스가드 장착 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마우스 장착 후에도 치아에 발생하는 스트레인은 이악물기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모든 피검자에서 이 악물기 강도에 상관없이 마우스가드 장착으로 스트레인이 감소하였다. 치아의 최초 접촉 시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최대 이악물기 강도에서는 치아에 발생되는 스트레인이 50-90% 감소하였다. 마우스가드는 이 악물기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의 뒤틀림을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마우스가드는 운동 중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발생되는 이 악물기에 의한 치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two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s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 Jeong, Min-Young;Lim, Young-Jun;Kim, Myung-Joo;Kwon, Ho-Beo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49-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Accura to that of the T-scan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subjects were selected. Their maxillary dental casts were scanned with a model scanner. The Stereolithography files of the casts were positioned to align with the occlusal plane. Occlusal surfaces of every tooth were divided into three to six anatomic regions. T-scan and Accura recordings were made during two masticatory cycles. The T-scan and Accura images were captured at the maximum bite force and overlapped to the cast. Photographs of interocclusal records were used as the reference during overlap. The occlusal contacts were counted to compare the T-scan and Accura. McNemar's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corresponding P-values were calculated from a chi-square distribution with one degree of freedom. The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Accura were calculated relative to the T-scan values as a control. RESULTS.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5) were found between the T-scan and Accura methods. The accuracy of Accura was 75.8%, sensitivity was 82.1%, specificity was 60.1%, PPV was 82.9%, and NPV was 60.1%. CONCLUSION. Accura could be another possible option as a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at maximum intercuspation.

영구자석을 이용한 고양이 구치부 intrusion에 관한 초기 조직학적 연구 (AN INITIAL HISTOLOGIC STUDY ON MOLAR INTRUSION OF CAT WITH THE USAGE OF PERMANENT MAGNET)

  • 김승철;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9-179
    • /
    • 1990
  • Utilizing the repelling force of permanent magnet of find out weather it shows the findings of molar intrusion histologically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the resin bite plane. As for the experimental animals, 10 cats of completion of permanent dentition with mean weight of 2.2kg which have flat occlusal plane of molar areas were used. I raised the cats under the condition of their being attached with manufactured appliance by direct bonding system and of their wearing vertical chin strap anesthetized for 12-14 hours per day through 5 days. Then, observing the root apex areas with light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group with resin bite plane, osteoblasts and osteoclasts could not find out but could find out periodontal ligment fiber obliquely angulated in the apical and lingual direction. 2. In the group with the permanent magnet, not only the obliquely angulated periodontal ligament fiber but also the osteoclasts at the apical areas were observed.

  • PDF

심한 우식을 동반한 골격성 전치부 개방 교합 환자의 전악 수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skeletal anterior open bite with severely decayed dentition: A case report)

  • 김성아;노관태;배아란;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9-87
    • /
    • 2017
  • 전치부 개방 교합은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진단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 계획과 적절한 유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교정과 악교정 수술을 통해 안정적인 교합을 얻고, 기능과 심미를 회복한다. 하지만 전체 치열에서 심한 우식증이 있는 경우 광범위한 수복이 필요하게 되므로, 보철 수복을 통해서도 교합을 재형성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심한 우식을 동반한 골격성 전치부 개방 교합 환자에서 안모 분석 및 진단 납형으로부터 가장 효과적인 치료로 전악 보철 수복을 선택하였다. 교합력을 균등하게 분산하고 심미적인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였고, 악간 관계 평가, 혀 등 연조직의 적응, 입술과의 조화를 관찰하고 수정하였다. 충분한 기간 동안 사용한 임시 수복물을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고, 치료 종결 후 3개월 간 주기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