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mushroom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6초

표고 봉지재배에 있어서 영양원에 따른 재배적 특성 비교 (Comparison in Cultural Characteristics on Different Nutritions in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 장명준;이윤혜;이한범;류준걸;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5-109
    • /
    • 2011
  • 표고 봉지재배시 적정한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참나무톱밥과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T5의 pH는 4.7로서 T1(대조구)과 대등하였다. 균사 생장량은 T5에서 배양 35일경에 모두 생장하였으며, 대조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배양특성은 T5가 배양일수 87일로 T1(대조)과 대등하였으며, T1, T2 및 T5의 갈변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우수하였고, 배양율도 100%이었다. 혼합배지에 따른 재배기간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 생육기간, 재배일수 모두 T5처리구가 T1(대조)과 대등하였다. 혼합배지에 따른 수확주기별 수량 및 상품화율은 T5에서 수량이 348g/kg으로 T1(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생물학적 효율은 34%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

천마 및 표고버섯 첨가 전통간장의 숙성기간별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t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with Gastrodia elata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권혁진;김화선;최윤희;최지호;최혜선;송진;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1-238
    • /
    • 2014
  • 재래식 간장에 표고버섯 및 천마를 첨가하여 일정기간 숙성시킨 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간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염도가 낮았다. pH의 변화는 숙성이 될 수록 감소하였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 실험군이 높은 값을 보였는데 표고버섯이나 천마로부터 유래된 당의 영향으로 인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Protease 활성은 실험구가 6~8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항산화 활성에서는 천마간장이 총 폴레페놀 함량 90.23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404.44 mg/m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자 공여능 측정에서 버섯 간장이 72.71%를 나타냈다.

황기 및 표고버섯 첨가 간장의 숙성 기간별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r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김화선;임지민;권혁진;유지연;박필상;최윤희;최지호;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7-474
    • /
    • 2013
  • 본 연구는 전통간장에 표고버섯 및 황기를 첨가하여 3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이화학실험, 항산화실험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장 식염변화에서 TK을 제외한 실험군 모두 염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기간별 뚜렷한 식염 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H 변화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의 pH가 다소 감소하였는데, 이는 첨가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총산도 변화에서 TK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MK과 AMK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의 변화에서는 TK에 비해 AK 및 AMK의 함량이 높았다. AK의 환원당이 TK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지만, MK의 환원당 변화는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에서는 AK가 0.50~0.98%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MK는 1.15~0.67%로 감소하였고 AMK도 0.78~0.64%로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 변화에서 AK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15일 이후 증가하였으며 25일에 52.24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역시 1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5일에 210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TK를 제외한 모든 간장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AK가 향, 짠맛, 구수한맛, 단맛, 쓴맛, 신맛, 전체기호도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서, 표고버섯과 황기 첨가 간장이 일반 전통 간장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고 기호도가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황기 간장이 기능성 간장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훈증방제 처리한 참나무시들음병 감염목의 사상균 조사 (Investigation of Fungi in Pesticide Fumigated Oak Wilt-Diseased Logs)

  • 서동연;손승렬;김성환;서상태;김경희;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8-291
    • /
    • 2012
  • 한국에서 발병하는 참나무시들음병은 암브로시아 곤충인 Platypus koryoensis.에 의해 전반되는 Raffaelea quercus-mongolicae 균류에 의해 발생한다. 이 병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참나무시들음병 감염목을 벌채 후 비닐막을 씌워 훈증하고 벌채장소에 3년 이상 방치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훈증처리된 감염목에 존재하는 균류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천안 태조산 지역 두 곳에서 훈증처리된 감염목을 채집하고 진균을 분리하여 99개 균주를 얻었다. 분리 균주를 형태적 특성과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유전자와 ITS rDNA region 염기서열에 의거한 분자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Hypocrea, Trichoderma, Penicillium 속에 속하는 종들이 확인되었다. 이중 Trichoderma 속에 속하는 종이 주요 균류이었다. 조사결과 병원균인 R. quercus-mongolicae와 매개충인 P. koryoensis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훈증 처리한 참나무시들음병 감염목이 3년 이상 되면 더 이상의 피해를 유발할 위험요소가 없다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한다.

경기도지역 송이버섯 분포 및 식생환경조사 (Survey on distribution and vegetation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in Kyonggi province, Korea)

  • 하태문;김영호;지정현;;김희동;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75-183
    • /
    • 2004
  • 송이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기지역의 과거 송이발생지와 발생가능지역을 중심으로 '99~'00년간 송이 발생현황 및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내 송이발생 지역은 조사지역 19개 지역중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등 16개 지역이었고 년간 발생량은 총470~600kg정도였으며,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북내면 도전리와 포천군 영중면 금주리 등 일부지역은 현재까지 양호한 식생환경조건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지속적인 적송림의 유지관리가 요구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식생변화 등으로 송이발생량이 대폭 감소하였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2. 도내 조사지역의 송이버섯은 9월 12~15일에 발생되기 시작하여 9월말에 최성기, 10월 7~9일경 마무리 되었고 송이발생전후의 기온과 지온은 9월 5~7일경에 송이자실체 발생을 위해 자극을 받기 시작하는 온도인 $19^{\circ}C$ 이하로 낮아졌고, 그 후 약 5~7일 이후에 송이자실체가 발생되었으며, 송이발생기간동안 기온은 $12{\sim}18^{\circ}C$, 지온은 $14{\sim}18^{\circ}C$를 유지하였다. 3. 송이 발생지점의 적송밀도는 $100m^2$당 5.1~27.1그루, 수령은 15~50년생, 수고는 4~11m이었고, 활엽수 및 관목의 밀도가 43~80%로 높아 간벌과 적송의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유기물층의 깊이는 여주, 포천지역은 3.5~4.5cm, 양평, 가평, 광주는 7.2~7.7cm였으며 울폐도는 50~75%범위였다. 5. 토성은 조사지역 모두 사질토였고 토양pH는 4.3~5.1, 유기물함량은 3.91~8.28 범위였다.

  • PDF

표고시설재배의 실태조사.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urrent Protected Cultivation of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sing) in Korea)

  • 정동호;문보흠;손정익;이병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3-65
    • /
    • 1998
  • 최근, 생표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주년적인 생산과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시설재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1996년도에 있어 표고 골목은 8,433천㎥이었는데, 이 가운데 노지재배가 92%, 시설재배가 8%를 각각 차지하고 있으나 생산량에서는 노지재배가 90% 그리고 시설재배가 1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표고의 시설재배를 통하여 생산량은 약 20%, 생산액은 약 50% 각각 증가하여 소득 면에서도 기여하고 있다. (중략)

  • PDF

고품질 표고(동고,화고)의 시설재배를 위한 기상환경 분석 (Meterological Analysis for Protected Cultivation of High-Quality Oak Mushroom(DongGo,WhaGo))

  • 최원석;손정익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67-70
    • /
    • 1999
  • 시설내의 고품질 표고생산을 위하여 동고와 화고의 생육환경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설재배를 위한 생육환경 구명을 위하여 기상환경을 분석한 결과, 290종균의 발생 범위의 하한치부터 진폭이 시작되어 후기로 갈수록 최고 발생 적온으로 상승하였다. 습도는 화고의 경우, 생육초기는 적정 생육습도가 유효하며, 후기로 갈수록 습도의 일교차가 증가하여 화고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동고 및 화고 발생기간의 기상환경을 분석한 것으로, 추후 시설 내에서의 고품질 표고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 PDF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Stationary Far Infrared Dryer)

  • 한충수;조성찬;강태환;김창복;김민호;이해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111
    • /
    • 2003
  • 농산물을 건조하는 이유는 생산 후 유통과정과 저장 중에 품질의 변화와 손상을 방지하고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농가 및 일반 농산물 가공 공장에서는 화석연료나 전기를 이용한 열풍건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표고버섯은 농가의 고소득 특용작물로 단백질, 당, 무기질 및 각종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을 고루 갖춘 식품으로서 최근에는 항산화, 항균 및 항암 효과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고, 매년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등 1999). (중략)

  • PDF

환경조절에 의한 톱밥재배 표고의 품질 향상 (Improvement of Quality of Oak Mushroom by Environment Control in Sawdust Culture)

  • 손정익;박경섭;이범선;윤남규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7-100
    • /
    • 2002
  • 표고버섯은 약리 효과 면에서 Lentinan에 의한 항암 효과와 Eritadenine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 등이 있기 때문에(이, 2000), 세계적으로 표고의 생산과 소비량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Royse, 2002). 국내 대부분의 표고 생산은 많은 원목과 노동력이 요구되지만 어느 정도의 품질이 보장되는 원목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톱밥재배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품질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중략)

  • PDF

표고시설재배의 실태조사 및 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otected Cultivation of Oak Mushroom)

  • 이병일;손정익;김목원;홍순길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21-224
    • /
    • 1999
  • 표고(Lentinus edodes (Berk.) Sing.)는 송이과 Tricholomataceae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재배 버섯이다. 표고의 수요와 생산량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1985년 표고 생산량은 880톤, 87년 1,080톤, 89년 1,530톤, 91년 1,761톤, 92년의 표고의 재배면적은 397,340평이고, 생산량은 2,253톤이며 금액으로 375억에 이르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