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F analysis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9초

Brevibacterium ammoniagenes의 DNA Polymerase I 유사 유전자의 분석 (Analysis of a Putative DNA Polymerase I gene in Brevibacterium ammoniagenes.)

  • 오영필;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5-110
    • /
    • 2002
  • The sequence of 3,221 nucleotides immediately adjacent to rpsA gene encoding 30S ribosomal protein S1 of Brevibacterium ammoniagenes was determined. A putative open reading frame (ORF) of 2,670 nucleotides for a polypeptide of 889 amino acid residues and a TAG stop codon was found, which is located at a distance of 723 nucleotides upstream from rpsA gene with same translational directio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ORF was found to be highly homologous to the DNA polymerase I of Streptomyces griseus (75.48%), Rhodococcus sp. ATCC 15963 (56.69%), Mycobacterium tuberculosis (55.46%) and Mycobacterium leprae (53.99%). It was suggested that the predicted product of the ORF is a DNA polymerase I with three functional domains. Two domains of 5 → 3 exonuclease and DNA polymerase are highly conserved with other DNA polymerase I, but 3 → 5 exonuclease domain is less conserved.

Sequence analysis of ORF4 gene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Korean isolate CNV-1

  • Park, Jee-yong;Lim, Bae-keun;Kim, Hyun-soo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4-300
    • /
    • 1999
  • In this study PRRSV was isolated from serum of an infected pig and designated as CNV-1, ORF4 gene was sequenced, and the nucleotide sequenc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neutralizing domain was compared with other PRRSV Strains. ORF4 gene of the Korean isolate PRRSV CNV-1 was shown to be 537bp in length, which is the same as US strain ISU55 but 21bp longer than another US strain MN1b, and 15bp shorter than European strain LV. The homologies of the nucleotide sequences between the Korean isolate CNV-1 and the US strains ISU55, MN1b and European strain LV were 91.8%, 88.1%, 67.6%, respectively, and the homologies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were 94.4%, 84.4%, 68.5%, respectively. The neutralizing domain of the CNV-1 was shown to be 36 amino acids in length which is the same as ISU55, MN1b, but 4 amino acids shorter than that of the neutralizing domain reported in LV. The homologies of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neutralizing domain between the Korean isolate CNV-1 and the US strains ISU55, MN1b and European strain LV were 92.5%, 85%, 57.5%, respectively.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ORF4 gene of the Korean isolate PRRSV CNV-1 shown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NV-1 is genetically closer to the US strains. Also the wide variation of the neutralizing domain between the CNV-1 and LV suggests that there is substantial immunogenic variation between the two strains.

  • PDF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sigH 유전자의 분리 및 기능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gH from Corynebacterium glutamicum)

  • 김태현;김형준;박준성;김연희;이흥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9-104
    • /
    • 2005
  • 유전자 lacZYA가 aces 유전자의 프로모터 하단에 연계된 $(P_{aceB}-lacZYA)$ 리포터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Escherichia coli를 이용하여 glyoxylate bypass를 매개하는 유전자중하나인 aceB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클론들을 색판독에 의해 분리하였다. 이 중 한 개의 클론을 선택하여 분석할 결과 이 클론을 함유한 E. coli는 리포터 플라스미드에서 발현되는 $\beta-galactosidase$의 활성 이 약 $40\%$ 감소하였고 이는 클론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이 aceB프로로터에 작용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열분석결과 ORF1과 ORF2의 두 개의 인접한 ORF가 발견되었고 이중 ORF2가 reporter plasmid의 $\beta-galactosidase$의 활성 감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ORF1은 206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3,218 Dalton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유사성 분석결과 ECF-type에 해당되는 RNA polymerase의 sigma factor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보여 sigH로 명명하였다. 유전자 sigH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 gene disrup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sigH 유전자가 기능을 하지 못하는 돌연변이 균을 제작하였으며 이 균주는 야생형에 비해 성장속도가 저하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변이균은 oxidative stress를유발하는 pumbagin둥에 대해서도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유사성 분석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sigH유전자가 세포성장과정 중 처하게 되는 각종 stress중 특히 oxidative stress에 대한 대응과 관련되어 발현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상관관계는 공간적인 범위가 10$\times$10km 이하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간범위가 그 이상이 될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으로 인해 통계적인 상관성이 현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및 국가 단위의 환경변화모델에서 모델의 공간적인 구성범위가 일정한 수준을 넘으면, 그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지표피복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times$10km의 공간적인 범위는 농업생산이 위주가 되는 사바나 지역에서는 주로 개별 마을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적인 범위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사바나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표피복변화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보다 정확하게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마을단위에서 나타나는 지표피복변화과정이 최소의 모델단위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됨으로서 습성강하물 침착량이 총량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값은 $SO_4^{2-}\;2.118g/m^2/season,\;NO_3^-\;1.509g/m^2/season,\;Cl^-\;2.185g/m^2/season,\;NH_4\;^+\;1.096g/m^2/season$로. 나타났다. 계절별 잎의 평균 pH의 변화는 봄 pH $5.9\pm0.5$, 여름 pH $5.5\pm0.4$, 가을 pH $5.1\pm0.3$을 나타내었고, 엽중 수용성 황함량의 계절별 평균값은 봄 $0.012\pm0.004\%$, 여름 $0.012\pm0.002\%$, 가을 $0.020\pm0.007\%$ 수준을 보이고 있다. 수피 내 함유되어

Characterization of the Replication Region of the Enterococcus faecalis Plasmid p703/5

  • Song, Joon-Seok;Park, Jin-Hwan;Kim, Chan-Wha;Kim, Young-Woo;Lim, Wang-Jin;Kim, Ick-Young;Chang, Hyo-Ih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91-97
    • /
    • 1999
  • In this work, a 1.9-kb region of enterococcal plasmid p703/5 was isolated and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region was performed. One major open reading frame (ORF) was identified encoding a polypeptide of 28 kDa. Database comparisons suggested that the protein showed some homology with other bacterial RepA proteins. Upstream of the ORF, a potential dnaA box, AT-rich region and 22-bp tandemly repeated sequences (DNA iterons), a feature typical for many replication ori sites, were recognized. Deletion analysis using Exonuclease III and several restriction enzymes indicated that the three elements and the gene product from the ORF were essential for replication and that the minimum unit of DNA required for replication resided on the 1.2-kb AvaII subfragment. Thus, this gene product was referred to as RepA.

  • PDF

한국에서 분리한 미국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체 분석 (Complete Genome Analysis of Hyphantria cunea Nucleopolyhedrovirus Isolated in Korea)

  • 최재방;김현수;우수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5-412
    • /
    • 2023
  • 광식성 난방제 해충인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의 친환경 방제를 위한 바이러스 살충제의 소재 활용을 위해서 국내에서 분리된 미국흰불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H. cunea nucleopolyhedrovirus W1: HycuNPV-W1)의 다각체 형태 및 전장 유전체 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HycuNPV-W1의 다각체는 1.5-2.2 um 크기의 사면체에 가까운 부정형으로 확인되었다. 전장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HycuNPV와 비교할 때 1,606 bp 더 짧은 131,353 bp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G+C 함량은 45%였으며 상동반복영역은 6개로 기존에 보고된 HycuNPV와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ORF 분석에서는 HycuNPV-W1은 기존의 HycuNPV와 비교할 때 3개의 ORF가 더 적은 145개를 가졌으나, HycuNPV-W1에만 존재하는 2개의 ORF가 확인되었다. 이들 ORF의 기능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체의 vista 분석 결과에서는 HycuNPV-W1과 기존 HycuNPV의 전체 염기서열 유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석한 HycuNPV-W1의 전장 유전체는 기존의 HycuNPV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자적인 특성을 가진 서로 다른 분리주로 국내 고유자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subtilis dgk (diacylglycerol kinase) 유전자의 생리적 자극에 의한 유도발현 (Expression Patterns of Bacillus subtilis Diacylglycerol Kinase Gene Induced by Physiological Stimuli)

  • Lee, Mi-Young;Suh, Seok-Jong;Lee, Jin-Hyung;Song, Bang-Ho;Kim, Jong-C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0
    • /
    • 2002
  • Diacylglycerol Kinase (DGK)는 E. coli 및 진핵세포에서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며, 또한 미생물에서 생리적 자극에 따라 다른 발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Bacillus subtilis에서 이 유전자에 대한 환경에서의 자극 신호들, 즉 pH 변화, 삼투압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에 따른 발현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미 동정된 dgk locus의 KpnI-HindIII의 0.45 kb의 DNA fragment를 probe로 하여 Dot blot, Northern blot analysis를 통해 발현량을 조사해 본 결과 dgk 유전자는 pH변화, 삼투압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발현되는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낮은 pH, 고 삼투압, 및 저온에서 dgk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rthern hybridization에서 약 2.5kb의 mRNA가 관찰되었다. dgk gene의 ORF size는 약 0.4 kb로 관찰된 transcript size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Streptococcus mutans의 dgk gene과 마찬가지로 B. subtilis의 dgk 유전자도 polycistronic mRNA로 발현되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염색체상의 dgk gene에서 상류의 ORF2까지의 크기가 약 2.5 kb로 관찰된 mRNA size와 동일하였다. dgk gene 상류의 ORF2영역의 0.6 kb의 DNA fragment를 probe로 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수행한 결과, 2.5 kb의 mRNA가 관찰되었으며 발현되는 형태도 dgk probe를 이용한 결과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dgk gene은 상류부위의 ORF2 gene과 operon을 형성하여 polycistronic mRNA로 전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Isolation and Linkage Mapping of Coding Sequences from Chicken Cosmids by Exon Trapping

  • Mannen, H.;Dote, Y.;Uratsuji, H.;Yoshizawa, K.;Okamoto, S.;Tsuji,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09-312
    • /
    • 2004
  • We performed exon trapping in order to locate functional genes on chicken chromosomes (GGA) and to identify functional gene sequences from chicken cosmids. Sequence analysis of 100 clones revealed 17 putative exons, five of which were identified with known sequences in a gene database search: thymopoietin beta (TMPO), U5 snRNP-specific 40 kDa protein (HPRP8BP), dihydropyridine receptor alpha 1 subunit (CACNL1A3), cystein string protein (CPS) and C15orf4. We attempted to map the genes to chicken chromosomes by using FISH and linkage analysis. The chromosomal localizations were GGA1 (TMPO), GGA10 (C15orf4), GGA23 (HPRP8BP) and GGA28 (CPS) by FISH and linkage analysis, while that of CACNL1A3 was predicted to be on a microchromosome by FISH but not by linkage analysis. Comparative mapping analyses between chickens and humans for the genes revealed both known and new synteny. The syntenic conservation between GGA1 and human chromosome (HSA) 12q23 (TMPO) and between GGA10 and HSA15q25 (C15orf4), were consistent with a recent publication, while two new syntenies were observed between GGA28 and HSA20q13.3 in CPS and between GGA23 and HSA1p34-35 in HPRP8BP. The information of presently mapped genes can contribute as anchor markers based on functional genes and the construction of a comparative map.

Complete genome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bovine papillomavirus type 15 in Southern Xinjiang dairy cow

  • Hu, Jianjun;Zhang, Wanqi;Chauhan, Surinder Singh;Shi, Changqing;Song, Yumeng;Zhao, Yubing;Wang, Zhehong;Cheng, Long;Zhang, Yingy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6호
    • /
    • pp.73.1-73.10
    • /
    • 2020
  • Background: Bovine papilloma is a neoplastic disease caused by bovine papillomaviruses (BPVs), which were recently divided into 5 genera and at least 24 genotypes. Objectives: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PV type 15 (BPV Aks-02), a novel putative BPV type from skin samples from infected cows in Southern Xinjiang China, was determined by collecting warty lesions, followed by DNA extraction and amplicon sequencing. Methods: DNA was analyzed initially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the degenerate primers FAP59 and FAP64. The complete genome sequences of the BPV Aks-02 were amplified by PCR using the amplification primers and sequencing primers. Sequence analysis and phylogenetic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bio-informatic software. Results: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L1 open reading frame (ORF) of BPV Aks-02 was 75% identity to the L1 ORF of BPV-9 reference strain from GenBank. The complete genome consisted of 7,189 base pairs (G + C content of 42.50%) that encoded 5 early (E8, E7, E1, E2, and E4) and 2 late (L1 and L2) genes. The E7 protein contained a consensus CX2CX29CX2C zinc-binding domain and a LxCxE motif. Among the different members of this group, the percentages of the complete genome and ORFs (including 5 early and 2 late ORFs) sequence identity of BPV Aks-02 were closer to the genus Xipapillomavirus 1 of the Xipapillomavirus genus. Phylogenetic analysis and sequence similarities based on the L1 ORF of BPV Aks-02 revealed the same cluster.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BPV type (BPV Aks-02) clustered with members of the Xipapillomavirus genus as BPV 15 and were closely related to Xipapillomavirus 1.

저온성균 Sporosarcina psychrophilia로부터 Aspartate Transcarbamyl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 (Molecular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pyrB Gene Encoding Aspartate Transcarbamylase from Psychrophilic Sporosarcina psychrophilia)

  • 성혜리;안원근;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12-319
    • /
    • 2002
  • 저온성 균인 Sporosarcina psychrophilia의 염색체 DNA를 추출하여 Sau3AI으로 부분 절단하고 pUC19 vector에 ligation 시킨 후, Escherichia coli pyrB mutant 균주에 형질전환하여 uracil이 없는 AB배지에서 생존하는 균주를 선택한 후, 그 plasmid를 분리하여 pSMI과 pSM2라고 명명하였다. 두 plasmid의 염기배열을 결정한 결과 pSM2 insert DNA는 pSMl insert DNA 부분을 포함하는 2,606 nucleotide 단편이었다.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을 때 이것은 1개의 완전한 open reading frame(ORF)과 2개의 부분 ORFs를 포함하고 있었다. 두 번째 위치한 완전한 ORF는 Bacillus caldolyticus aspartate transcarbamylase(pyrB)와 아미노산 서열 수준에서 59% 상동성을 보였고, 첫 번째와 세 번째 위치한 부분적 ORFs는 각각 Bacillus속의 uracil permease(pyrP)와 dihydoorotase(pyrC)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그리고 pyrB와 pyrP사이에 intergenic 부분에는 잠재적인 terminator, antiterminator, anti-antiterminator 구조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 psychrophilia pyrimidine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들은 다른 Bacillus속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유전자군을 형성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S. psychrophilia pyrB 유전자의 생성물을 과다발현 시키고 정제해서 그 단백질을 SDS-PAGE로 확인한 결과 27 kDa 부근에서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제한 단백질도 ATCase 효소활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국에서의 고초균 유전체 연구: Bacillus subtilis 염색체상 180$^{\circ}$-185$^{\circ}$-부위 53 kb DNA 단편의 염기서열 분석 (The Bacillus subtilis Genome Sequencing Project in Korea: Sequence Analysis of the 53 kb DNA Fragment at 180$^{\circ}$-185$^{\circ}$- of B. subtilis 168 Chromosome)

  • 김사열;최수근;정영미;신병식;박승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3
    • /
    • 1998
  • 고초균 유전체 전체 염기서열을 밝히는 연구가 1997년 5월에 종료되어 전체 4,214,810bp의 염기서열이 SubtiList 데이터베이스에 공식적으로 입력되었다. 과제의 진행은 약 8년 동안 국제적인 협력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으며, 유럽의 25개 연구팀, 일본의 7개 연구팀, 두 개의 회사 연구팀 그리고 한국의 본 연구팀이 참여했다. 고초균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을 위한 국제협력과제의 일환으로 본 연구팀은 odhA 유전자(181 $^{\circ}$) 상류지역 53, 289bp 부위의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할당된 부위의 양 끝 부분에 위치한 sspC와 odhA 유전자의 알려진 염기 서열을 시점으로하여, plasmid rescue와 long-range PCR 방법을 써서 염색체 DNA 단편을 획득하였다. 본 연구팀이 염기서열을 밝힌 염색체 DNA 부위에는 이미 보고된 9개 유전자(sspC, cge cluster, orfE5, orfRMl 및 odhA)를 포함하여 모두 65개의 ORF가 들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 부위에서 얻은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인트론으로 여겨지는 한 ORF의 발견인데 세균의 염색체 상에서 인트론이 발견된 예는 흔치 않다. DNA복제 종결 단백질의 결합이 예상되는 염기서열이 세 곳에서 새로이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흥미로운 결과이다. 한편 이 부위 전체의 염기서열 해독을 통하여 기존의 유전자 지도상에 실제와는 매우 다르게 표시되어 온 여러 유전자들의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