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INATION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1초

남해특별관리해역인 마산만에서 동계 및 하계에 출현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양상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Communities during Winter and Summer in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서진영;이창훈;류태권;성찬경;한기명;현상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381-395
    • /
    • 2005
  •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Masan Bay were investigated during summer and winter, 2004. A total of 104 species were sampled with mean density of $448ind./m^2$ and biomass of $77.1g/m^2$ in winter. In summer, a total of 107 species occurred with $485ind./m^2$ and a biomass of $94.5g/m^2$.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winter were Paraprionospio pinnata (24.2%) among polychaetous worms and Theora fragilis (14.1%) among molluscs, but they were replaced in summer by Prionospio chirrifera (20.4%) and Lumbrineris longifolia (14.5%). The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benthic communities between the two seasons was due to the hypoxia in the bottom layer of the inner bay during summer, which defaunated the macrofauna of the sediments. In the winter when DO concentration increased to normoxia, the pelagic larvae of benthic fauna settled in the soft sediments, but there was a spatial gradient in values of total biomass, density, and H' and benthic pollution index (BPI): higher values were found toward the mouth of the bay. The multivariate analyses like the cluster analysis and MDS ordination showed that Masan Bay could be divided into two or four stational groups in winter and summer whether the hypoxia occurred or not. Group I consisted of sites at the inner bay and central area and Group II, sites at the bay mouth. In summer the inner bay area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the shallow impoverished area and the deeper abiotic one.

눈측백의 군집구조와 분포특성 (The Character of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for Thuja koraiensis Nakai, South Korea)

  • 변준기;천광일;이동혁;허태임;이준우;김지동;박병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3-105
    • /
    • 2020
  • 본 연구는 눈측백 자생지의 식생과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눈측백은 해발고도 1,000~1,588 m에 자생하고 있으며, 경사는 10~30°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6개 지역 내 22개 방형구에서 150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확인되었다. 눈측백자생지의 흉고단면적은 가리왕산지역이 49.98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악산지역이 3.46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에 의해 2개의 군집(분비나무-주목군집, 사스래나무-눈측백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RPP 검정 결과 군집은 유의성 있게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종 분석은 분비나무-주목군집에서만 나타났으며, 유의한 종으로는 분비나무, 주목, 귀룽나무, 좀나도히초미, 만년석송, 애기괭이밥 등 총 8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DECORANA와 TWINSPAN을 이용한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군락 유형 분석 (DECORANA and TWINSPAN Aided Analysi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Formation)

  • 김종현;박지민;정경수;이종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8
    • /
    • 2005
  • 모감주나무군락지인 안면도 승언리, 대구 내곡동, 포항시 유강리, 양학리, 발산리, 대동배리,모포리, 서촌리를 대상으로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과 군락유형을 분석하였다. 2002년 4월부터 2003년 9월까지 모감주나무군락의 자연식생을 Braun-Blanquet의 방법에 의해 8개 지소에 68개의 방형구를 설치, 식생 자료를 수집하여 종조성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전 조사지 역에서 는 총 201종이 출현하였으며 식피율은 교목층 $30\~100\%$, 관목층 $0\~90\%$, 초본층 $20\~100\%$였다. 주름조개풀, 칡, 떡갈나무, 사위질빵, 쥐똥나무, 찔레, 쑥, 환삼덩굴, 아까시나무가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류법과 서열법을 통해 군락을 분석하기 위해 TWINSPAN과 DECORANA를 사용하였으며 TWINSPAN을 이용하여 68개의 방형구에 대한 군락 분석을 수행한 결과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 었으며 DECORANA를 이용하여 서열 분석을 한 결과 68개의 방형구는 I축의 값을 기준으로 3개의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제주도 저지대 묵밭 식물군락의 2차 천이 (Early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 in Cheju Island)

  • 유영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4호
    • /
    • pp.209-214
    • /
    • 2003
  • 제주도의 저지대 묵밭에서 일어나는 2차 천이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생의 높이, 생육형,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지수, 식피율, 우점도지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내륙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전체적인 식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제주도 묵밭의 식생천이의 특징은 내륙에 비하여 종수가 적고, 식생의 높이가 낮고, 초본층이 우점하는 기간이 길고, 종다양성지수의 변화 유형이 다르고, 천이후기종의 출현이 매우 늦었다. 우점종에 의한 식생천이 계열은 주름잎(0.5∼l년)→큰망초(2년)→쑥(4년)→쑥-낭아초(5년)→찔레꽃-참억새(8년)→참억새(12년)→다년생초본→관목(15년)→예덕나무(20년)→까마귀쪽나무 또는 후박나무(20년 이후)로 추정되었다. 유집분석(Cluster analysis), Twinspan에 의한 분류와 주성분분석(PCA)에 의한 배열의 결과 묵밭은 초기묵밭(0.5∼l년차), 중기묵밭(2∼8년차)와 후기묵밭(8∼20년차)의 세 집단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구분되었다.

산불이 난 산림에서의 개미군집: 회복과정과 복원방법 (Ant Assemblages in a Burned Forest in South Korea: Recovery Process and Restoration Method)

  • 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27-333
    • /
    • 2015
  • 산불 후에 일어나는 개미군집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난 산림에서 자연적으로 식생복원이 이루어진 곳, 인위적으로 조림한 곳, 산불이 나지 않은 곳의 3개 조사지에서 2005년부터 8년간 함정트랩으로 개미를 조사하였다. 모두 24종이 채집되었고 스미스개미(Nylanderia flavipes)가 가장 풍부하였다. 산림을 선호하는 개미종(예, 일본장다리개미, 민냄새개미, 노랑잘록개미)들은 산불이 나지 않은 조사지와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되는 조사지에서 많이 발생한 반면, 개활지를 선호하는 종(예, 곰개미, 일본왕개미, 주름개미)들은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에서 많이 나타났다. 다변량분석 결과는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이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된 곳 보다 개미군집이 산불 후에 더 많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 복원된 조사지에서는 개미군집이 산불이 난 5-6년후에 산불 이전으로 회복되는 데 비해, 인공복원된 조사지에서는 회복에 약 25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hayang-chon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현서;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3-449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 장수대에서 한계령에 이르는 자양천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62개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62개 조사구는 DCA 분석을 통하여 6개 군집(소나무-황철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까치박달군집, 까치박달-낙엽활엽수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까치박달군집, 가치박달-낙엽활엾군집은 해발고 755m 이상에 분포하였고, 나머지 군집은 그 아래에 위치하였다. 해발고 755m 이상의 군집은 신갈나무에서 까치박달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거나. 까치박달과 낙엽활엽수가 서로 경쟁하고 있었다. 해발고 500~560m 지역은 소나무군집이었으나, 장기적으로 낙엽활엽수군집으로 촌이가 진행될 것이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l Park)

  • 송호경;장규관;오동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2-468
    • /
    • 1998
  •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설악산 한계령 지역과 백담사 부근에서 2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CC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갈나무림은 신갈나무-피나무 군집, 신갈나무-젓나무 군집,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과 신갈나무-졸참나무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군집들과 환경요인들과의 관계로 보면 신갈나무-ㅠㅣ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젓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중간이며,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다.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은 해발고, C.E.C., 전질소 등이다.

  • PDF

서울 도시생태계 현황과 회복대책(I) - 산림지역 식물군집구조 - (Restoration and Status of Urban Ecosystem in Seoul -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Forest Area -)

  • 이경재;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3-127
    • /
    • 1996
  • 서울시 도시생태계 중 산림지역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이의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4개지역 56개 조사구(1개 조사구당: 4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56개 조사구는 DCA에 의하여 소나무군집, 아까시나무군집, 리기다소나무군집, 현사시나무군집, 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6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경향은 소나무,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현사시나무, 리기다소나무$\$\longrightarrow$ $ 신갈나무, 졸참나무로 추론되며 극상수종인 서어나무로의 천이경향은 환경오염영향 등의 원인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1.1381~1.2694이었고 토양산도는 전지역이 pH 3.18~4.76으로 산성토양이었다.

  • PDF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Jilmoi Wetlands to the Donghae Observatory, Baekdudaegan Mountains

  • Choi, Jin-Woo;Kim, Kyung-Won;Yeum, Jung-Hun;Hwang, Won-Seok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0-26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sectin stretching between the Jilmoi wetlands and the Donghae Observatory and to set the criteria for the basic data for a management plan including restoration afterwards. 12 plots($10m{\times}40m$, $20m{\times}20m$) were set up to analyse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ordination by DCA, importance percentage and property,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reast height, growth increments of major woody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l analyzed. Veget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which are community I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I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community III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The P. densiflora community declined when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an understory layer in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 competed with T. amurensis on both canopy and understory layers in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 P. densiflora declined and it was assumed to succeed to F. rhynchophylla or T. amurensis through Q. mongolica based on the importance percentage and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the breast height of small and middle sized trees. The age of P. densiflora was between 47 to 51 years old and Q. mongolica was 61years old. T. amurensis was 61 years old and the growth of Q. mongolica slowed a little. As the result of Shannon's index of species diversity, community I ranged from 0.9578 to 1.1862, community II ranged from 0.7904 to 1.2286 and community III ranged from 0.8701 to 1.032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cation were low compared to uncultivated mountain soil and it were analysed to be inappropriate for tree growth.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ree Species Regeneration in Different Forest Stands Growing on a Limestone Hill in Phrae Province, Northern Thailand

  • Asanok, Lamthai;Marod, Dokra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237-252
    • /
    • 2016
  • Improved knowledg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natural regeneration of tree species in limestone forest is urgently required for species conservation. We examin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ree species characteristics that are important for colonization in diverse forest stands growing on a limestone hill in northern Thailand. Our analysis estimated the relative influence of forest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regeneration traits of tree species. We established sixty-four $100-m^2$ plots in four forest stands on the limestone hill. We determin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canopy trees, regenerating seedlings, and saplings in relation to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ree species abundance were assessed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and we used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to examine data on seedling/sapling abundances. The CCA ordination indicated that the abundance of tree species within the mixed deciduous forest was closely related to soil depth. The abundances of tree species growing within the sink-hole and hill-slope stand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extent of rocky outcropping; light and soil moisture positively influenced the abundance of tree species in the hill-cliff stand. Physical factors had a greater effect on tree regeneration than did factors related to forest structure. Tree species, such as Ficus macleilandii, Dracaena cochinchinensis, and Phyllanthus mirabilis within the hill-cliff or sink-hole stand, colonized well on large rocky outcroppings that were well illuminated and had soft soils. These species regenerated well under conditions prevailing on the limestone hill. The colonization of several species in other stands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se sites. We found that natural regeneration of tree species on the limestone hill was difficult because of the prevailing combination of physical and biological factors.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was species dependent, and the magnitude of effects varied across forest st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