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W emulsio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2초

Preparation of Resveratrol-loaded Poly($\varepsilon$-caprolactone) Nanoparticles by Oil-in-water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 Kim, Bum-Keun;Lee, Jun-Soo;Oh, Ju-Kyoung;Park, Dong-Jun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57-161
    • /
    • 2009
  • Resveratrol-loaded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oil in water (O/W)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morphology of the nanoparticles was evaluated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AFM), in which well-shaped and rigid nanoparticles were prepared. The mean particle size of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only dichloromethane (DCM) ($523.5{\pm}36.7\;nm$) was larger than that prepared with a mixture of DCM and either ethanol (EtOH) ($494.5{\pm}29.2\;nm$) or acetone ($493.5{\pm}6.9\;nm$).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nanoparticles prepared only with DCM as dispersed phase ($78.3{\pm}7.7%$) was the highest of those prepared with solvent mixtures. An increase in the molecular weight of PCL led to an increase in encapsulation efficiency (from $78.3{\pm}7.7$ to $91.4{\pm}3.2%$). Pluronic F-127 produced the smallest mean size ($523.5{\pm}36.7\;nm$) with the narrowest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se results show that dispersed phase, molecular weight of wall materials, emulsion stabilizer could be important factors to affect the properties of nanoparticles.

Applications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m10356

  • Park, Hee-Jung;Kim, Hyong-Ju;Lee, Chang-Moon;Kim, Jin;Lee, Hong-Kum;Yim, Joung-Han;Lee, Ki-You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566-569
    • /
    • 2005
  • tyrosinase 저해 활성 실험 결과 1.2%(w/v) 이상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저해를 나타내 색소침착에 대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ACE 저해 활성 실험에서 1.5% 농도에서 60% 가량의 저해활성을 보여 혈관 변형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V 흡수능에서는 UV-B, UV-C의 영역에서 흡수 경향을 나타내며 자외선 차단제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bead 형성능을 가지고 있어 약물전달체로서 이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 PDF

갈랑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W/O형 에멀젼에서 항산화 효과의 보존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Alpinia galanga L. rhizome extracts and preservation of antioxidant effects in W/O type emulsion)

  • 윤선영;김봉환;장영아;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24-435
    • /
    • 2023
  • 본 연구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갈랑가 뿌리 70% 에탄올 추출물(AG.E) 100 ㎍/mL 농도에서 81.8%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AG.E 50 ㎍/mL의 낮은 농도에서 L-Ascorbic acid (AA)와 유사한 99.8%로 확인되었다.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둘 모두에서 AG.E는 50 ㎍/mL의 낮은 농도부터 epigallocatechin (EGCG)보다 더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0 ㎍/mL 농도에서 EGCG 대비 3배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CCD-986sk 세포내에서 AG.E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UVB로 자극한 다양한 실험에서도 우수한 항노화 효과가 얻어졌다. RT-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 분석 실험에서 COL1A mRNA 발현량은 AG.E 20 ㎍/mL 저농도에서 무첨가 대비 2.90배 증가시키는 결과가 얻어져 항노화관련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제형에 소재의 적용 시 생리활성의 경시적 보전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AG.E 및 AA등을 안정한 W/O type emulsion에 첨가하여 25 ℃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1일차, 30일차, 60일차에 DPPH와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경시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은수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막유화 다중 에멀젼을 이용한 생분해성 폴리카프로락톤(PCL)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CL Microcapsules Using Multiple Emulsions by Membrane Emulsification)

  • 지연주;염경호
    • 멤브레인
    • /
    • 제27권6호
    • /
    • pp.511-518
    • /
    • 2017
  • 막유화(membrane emulsification, ME)는 SPG 막과 같이 균일한 크기의 세공을 갖는 막을 사용하여 좁은 입도분포의 에멀젼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막유화법으로 형성시킨 다중 에멀젼을 사용하여 폴리카프로락톤(PCL)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를 연구하였다. 먼저 초음파 유화기로 $W_1/O$ 단일 에멀젼을 제조한 후, premix 막유화를 적용하여 $W_1/O/W_2$ 다중 에멀젼을 형성시킨 후 용매 증발을 통해 모델 약물인 BSA가 담지된 PCL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연속상에 대한 분산상의 비율(D/C ratio), PCL 농도, 유화제 농도, 모델 약물의 농도, 막간 압력차 등 막유화 변수가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입경과 입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Premix-ME를 적용하여 평균 입경 $5{\sim}6{\mu}m$의 균일한 크기를 갖는 모델 약물 BSA의 함침량이 약 26%인 다중 코어형 PCL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수 있었다.

IMO 협약 개정에 따른 Bilge Separator 개발에 관한 연구 I - 에멀젼 분리에 관한 연구 - (Study of development of Bilge Separator for new IMO Regulation I - Demulsification -)

  • 임재동;박상호;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9
    • /
    • 2005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게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Block Copolymer를 유화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한 W1/O/W2-Type 다중에멀젼의 방출거동 및 안정성 (Stabilization and Release Behavior of W1/O/W2-Type Multiple Emulsions Using Various Block Copolymer Emulsifier and Stabilizer)

  • 허정림;김철훈
    • 공업화학
    • /
    • 제8권4호
    • /
    • pp.560-567
    • /
    • 1997
  • 안정한 $W_1/O/W_2$ 다중에멀젼을 얻기 위한 새로운 시도가 연구 되었다; 오일상에 분산된 친유성 유화제와 PCL-PEO-PCL triblock copolymer 사이의 계면상호 작용이 연구되었다. $W_1/O/W_2$ 다중에멀젼은 2단계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친유성 유화제로서 Arlacel P-135와 친수성 유화제로서 Synperonic PE/F 127을 사용하였으며, Eutanol-G를 오일상으로 사용하였다. 다중에멀젼의 내부수상에 시약 방출물질로서 NaCl을 첨가하였으며, 이의 방출속도가 연구되었다. 다중에멀젼의 안정성은 분리도 측정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오일상에 PCL-PEO-PCL triblock copolymer를 용해하여 실험한 결과 2k-4k-2k와 6k-4k-6k의 조성 갖는 copolymer로 제조한 다중에멀젼에서 NaCl의 방출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copolymer와 유화제가 안정성 증대와 방출 속도를 조절하는 효과적인 계면 복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2k-4k-2k의 조성 갖는 PCL-PEO-PCL triblock copolymer 1.2wt%의 함량으로 제조한 다중에멀젼에서 NaCl의 확산계수는 $2.64{\times}10^{-15}gcm^2/s$이고, 6k-4k-6k에서는 $3.23{\times}10^{-16}gcm^2/s$값을 얻었다. NaCl의 초기 농도의 증가에 따라 NaCl 방출이 감소하였고, Higuchi의 방출 모델식을 개정하여 적용한 결과, 고분자 matrix에 분산된 시약의 방출모델과 유사한 kinetic모델이 다중에멀젼에서 NaCl의 방출에 적당함이 발견되었다.

  • PDF

Phosphate ester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다중층 라멜라 베시클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 Lamellar Vesicle Using Phosphate Ester Surfactant)

  • 김영호;이상길;정은지;이동원;표형배;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0-289
    • /
    • 2013
  •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보습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베시클들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 활성물질의 흡수, 투과 및 보습의 유지와 관련하여 리포좀, 액정 및 다중층 라멜라 에멀젼 같은 많은 제조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질과 유사한 cetearyl alcohol/ceteth-20 phosphate/dicetyl phosphate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전단세기 및 pH 변화에 따른 다중층 라멜라 베시클을 개발하였으며 편광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로서 낮은 전단세기 및 pH에서는 라멜라 베시클 입자의 형태가 불균일하게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42^{\circ}C$에서 2개월 간의 라멜라 베시클 내의 레티놀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낮은 pH에서 레티놀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이 라멜라 베시클은 일반 O/W 에멀젼에 비해 피부 수분손실량이 14%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O/W 썬 크림과 내수성 in vitro SPF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UVB와 UVA 영역 모두에서 자외선을 잘 차단하여 유사한 내수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전이물질을 함유한 폴리우레아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와 섬유복합소재에의 적용 (Preparation of Polyurea Microcapsules Containing Phase Change Material and their Application on Fiber Composites)

  • 김혜인;김현진;최해욱;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4
    • /
    • 2007
  • In this study, for textile use, the octadecane of phase change materials(PCM) was encapsulated in several micro-diameter shell which prevents leakage of the material during its liquid phase. Microencapsulated PCM(PM) was prepared with the different weight ratio of core material to wall material and by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s using polyurea as shell material. Phase stability for O/W emulsion of PCM and PVA aq. (PE) was evaluated by Turbiscan Lab. The capsule formation win identified using FT-IR. Physical properties of microcapsules including diameter, particle distribution,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Thermal transport properties of suede treated with PM(SPM) were determined by KES-F7 system.

에틸렌디글리콜과 숙신산 에스테르의 제조와 유화 특성 (Preparation and Emulsifying characteristics of Diethylene glycol succinate Derivative)

  • 이재덕;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39
    • /
    • 2009
  • A reaction device raising a generation yield by efficiently removing water generated in an esterified reaction between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succinic acid with mixture of an azeotropic point was newly developed as a new product in development of more stabilized emulsifier with a semi-solid phase(cream) in an emulsified phase of interfacial activity. The bis-(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succinate(hereinafter, called as BDGS) with a high yield of more than 95% was obtained. As this has a property containing amphoteric emulsified functions such as W/O type or O/W type, etc., and has a meri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any emulsified phase, there is no need using other emulsified surfactant. therefore, as this has excellent skin wetability in the cosmetics industry, a product having a wider range in quality compatibility or cost saving, etc. as a humectant has been developed.

(2,3-Dibromopropyl)Phenyl Octadecanoyl Phosphate 합성과 유연난연제로서의 응용 (Synthesis of (2, 3-Dibromopropyl)Phenyl Octadecanoyl Phospate and Its Application as Softening Flame Retardant)

  • 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70-677
    • /
    • 1992
  • 2, 3-Dibromopropyl alcohol과 chlorophenyl phosphate로 부터 (2, 3-dibromopropyl)phenyl phosphate[DPP]를 합성하고, 또한 DPP에 n-octadecyl chloride를 가하여 (2,3-dibromopropyl)phenyl octadecyl phosphate[DPOP]를 합성하였다. DPP와 DPOP에 각각 유화제를 블렌딩시켜 난연제 DPPF와 DPOPF를 제조하였는데, 모두 o/w(oil in water)유화형 난연제였다. 이 2종류의 난연제를 각종 합성직물에 처리하여 난연성과 인열강도를 측정한 결과 DPPF는 난연성만이, 그리고 DPOPF는 난연성과 유연성 모두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