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D 경로분석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ublic Transport Network Connectivity using GIS-based Space Syntax (GIS 기반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 Jun, Chul-Mi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3
    • /
    • pp.25-33
    • /
    • 2007
  • The local governments of major cities in Korea are giving focus on public transportation to reduce congestion and improve accessibility in city areas. In this regards, the proper measurement of accessibility is now a key policy requirement for reorganizing the public transport network. Public transport routing problems, however, are considered to be highly complicated since a multi-mode travel generates different combinations of accessibility. Whil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efforts on measuring transport accessibility are found at zone-levels, an alternative approach at a finer scale such as bus links and stops is presented in this study. We proposes a method to compute the optimal route choice of origin-destination pairs and measure the accessibility of the chosen modes combination based on topological configuration. The genetic algorithm is used for the computation of the journey paths, whereas the space syntax theory is used for the accessibility. This study used node-link data in GIS instead of axial lines which are manually drawn in space syntax. The resulting accessibilities of bus stops are calibrated by O-D survey data and the proposed process is tested on a CBD of Seoul.

  • PDF

Hydrochemistry and noble gas origin of hot spring waters of Icheon and Pocheon area in Korea (이천 및 포천지역 온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및 영족기체 기원)

  • Jeong, Chan-Ho;Koh, Yung-Kwon;Shin, Seon-Ho;Nagao, Keisuke;Kim, Kyu-Han;Kim, Gun-You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4
    • /
    • pp.529-541
    • /
    • 2009
  • Hydrochemical, stable isotopic ($\delta^{18}O$ and dD) and noble gas isotopic analyses of seven hot spring water samples, eleven groundwater samples and six surfac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Icheon and Pocheon area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 interpret the source of noble gases and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the hot spring waters. The hot spring waters show low temperature type ranging from 21.5 to $31.4^{\circ}C$ and the pH value between 6.69 and 9.21. Electrical conductivity of hot spring waters has the range from 310 to $735\;{\mu}S/cm$. Whereas the hot spring water in the Icheon area show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eutral pH, the $Ca-HCO_3$(or $Ca(Na)-HCO_3$) chemical type and a high uranium content, the hot spring water in the Pocheon area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lkaline pH, the $Na-HCO_3$ chemical type and a high fluorine content.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hot spring water in the Icheon area is under the early stage in the geochemical evolution, and that the hot spring water in the Pocheon area has been geochemically evolved. The $\delta^{18}O$ and ${\delta}D$ values of hot spring waters show the range of $-10.1{\sim}-8.69%o$ and from $-72.2{\sim}-60.8%o$,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supply the information of the recharge area of hot spring waters. The $^3He/^4He$ ratios of the hot spring waters range from $0.09\;{\times}\;10^{-6}$ to $0.65\;{\times}\;10^{-6}$ which are plotted above the mixing line between air and crustal components. Whereas the helium gas in the Icheon hot spring water was mainly provided from the atmospheric source mixing with the mantle(or magma) origin, the origin of helium gas in the Pocheon hot spring water shows a dominant crustal source. $^{40}Ar/^{36}Ar$ ratios of hot spring water are in the range of an atmosphere source.

A Study on Scenario to establish Coastal Inundation Prediction Map due to Storm Surge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시나리오 연구)

  • Moon, Seung-Rok;Kang, Tae-Soon;Nam, Soo-Yong;Hwang, J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5
    • /
    • pp.492-501
    • /
    • 2007
  • Coastal disaster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every coastal country. In Korea, coastal disasters such as storm surge, sea level rise and extreme weather have placed many coastal regions in danger of being exposed or damaged during subsequent storms and gradual shoreline retreat. A storm surge is an onshore gush of water associated with a tow pressure weather system, typically in typhoon season.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storm surge height and inundation due to the irregularity of the course and intensity of a typhoon. To provide a new scheme of typhoon damage prediction model, the scenario which changes the central pressure, the maximum wind radius, the track and the proceeding speed by corresponding previous typhoon database, was composed. The virtual typhoon scenario database was constructed with individual scenario simulation and evaluation, in which it extracted the result from the scenario database of information of the hereafter typhoon and information due to climate change. This virtual typhoon scenario database will apply damage prediction information about a typhoon. This study performed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the simulation system with the storm surge/coastal inundation model at Masan coastal areas, and applied method for predicting using the scenario of the storm surge.

An Algorithm for Collision Avoidance of Two-Arm Robot Manipulator Using Redundancy (여유 자유도를 이용한 두 팔 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충돌 회피 알고리즘)

  • 이석원;남윤석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5
    • /
    • pp.1002-1012
    • /
    • 2003
  • An algorithm is suggested for collision avoidance of two-arm robot manipulator using redundancy. End-effectors of each redundant arm should move along each prescribed straight path to complete the given task, while avoiding collision with each other. Self-motion, considered as motion of each axis not to change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end-effector, is utiliz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t each sampling time, self-motion is executed with the view to making farther between the links of each arm. Simulation results for two-arm robot manipulator, which has 9-d.o.f. respectively, are illustrated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A study of neuropeptides related to headaches in children with meningeal irritation signs (수막 자극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두통과 관련된 신경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

  • Seo, Bo Gil;Yoo, Myung Hwan;Shim, Jae Won;Shim, Jung Yeon;Jung, Hye Lim;Park, Moon Soo;Kim, Deok-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5
    • /
    • pp.533-538
    • /
    • 2006
  • Purpose : The headache, one of the symptoms of meningitis, is related to abrupt elevation of intracranial pressure(ICP) or stimulation of intracranial nociceptive structure. However, in cases of mild elevation of ICP or normal findings of cerebrospinal fluid(CSF) analysis, patients sometimes complain of headaches. Therefore, other pathways may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headaches in aseptic meningitis or meningismus.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ubstance P(S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CGRP) in aseptic meningitis or meningismus. Methods : We measured leukocyte count, the concentration of protein and glucose in CSF and ICP of patients with meningeal irritation sign. We also measured SP and CGRP levels by using immunoassa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headache and the value of SP and CGRP. Results : The concentrations of CGRP($18.8{\pm}10.5ng/mL$) in CSF and ICP($14.8{\pm}4.5cmH_2O$) in aseptic meningiti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ose($14.1{\pm}7.4ng/mL$ and $12.0{\pm}5.1cmH_2O$, respectively) of the meningismus group(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septic meningitis group, the concentrations of SP and CGR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ICP group than in the elevated ICP group(P<0.05). Conclusion : Headaches in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or meningismu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elevation of the CSF levels of SP and CGRP.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LS OD matrix estimation with genetic algorithm for Seoul inner-ringroad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OD 추정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내부순환도로를 대상으로))

  • 임용택;김현명;백승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4
    • /
    • pp.117-126
    • /
    • 2000
  • Conventional methods for collecting origin-destination trips have been mainly relied on the surveys of home or roadside interview. However, the methods tend to be costly, labor intensive and time disruptive to the trip makers, thus the methods are not considered suitable for Planning applications such as routing guidance, arteri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sion, as the parts of deployments i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Motivated by the problems, more economic ways to estimate origin-destination trip tables have been studied since the late 1970s. Some of them, which have been estimating O-D table from link traffic counts are generally Entropy maximizing, Maximum likelihood, Generalized least squares(GLS), and Bayesian inference estimation etc. In the Paper, with user equilibrium constraint we formulate GLS problem for estimating O-D trips and develop a solution a1gorithm by using Genetic Algorithm, which has been known as a g1oba1 searching technique.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method, we apply it to Seoul inner ringroad and compare it with gradient method proposed by Spiess(1990). From the resu1ts we fond that the method developed in the Paper is superior to other.

  • PDF

Information Requirements, IS Planning Typology, and IS Planning Effectiveness : An Empirical Study (정보요구, 정보시스템 기획유형, 그리고 정보시스템 기획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문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b
    • /
    • pp.111-136
    • /
    • 1997
  • 정보시스템 기획(IS planning)은 경영환경의 변화로부터 야기되는 조직의 정보요구 를 제대로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구축이나 실행과정에 반영하는 중요한 과업중 의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보요구를 반영한 정보시스템 기획유형에 관한 연구나 정 보시스템 기획의 효과성에 관한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없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 서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 을 위하여 정보시스템 기획에 관한 상황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과업환경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정보요구의 유형에 따라 정보시스템 계획을 어떻게 추진하는 것이 바람 직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정보시스템을 기획 시 정보요구 수준과의 적합성(fitness)에 따라 정보시스템 기획의 효과성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 에서 사용된 Construct와 변수들은 기존의 정보시스템 기획관련 문헌을 이용하였다. 본 연 구를 위하여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우송하였으며, 그 중 187부가 회수되었다. 자료분석의 결과, 정보요구 수준과 정보시스템 기획유형간의 관련성은 긍정적 으로 관련되어 있었으며, 정보요구 수준에 따른 기획의 효과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정보 시스템 기획유형에 따른 기획의 효과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정보요구 수준과 정 보시스템 기획유형간의 적합성에 의한 정보시스템 기획의 효과성에 대한 t-test결과는 적합 한 조직(fit organization)보다는 적합하지 않은 조직(unfit organization)의 성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성 형질전환 계통의 식물체 내에서의 바이러스 증식 및 이동과 관련된 저항성 기작, 여러 가지 PVY 계통에 대한 저항성 유무, 수량, 생육 특성 및 주요 화학 성분 함량 등을 발표하고자 한다.-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T-AS 분획은 mouse내의 특정

  • PDF

Heat Conduc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 High-Power Optical Semiconductor Source Using Graphene Layers (그래핀을 적용한 고출력 반도체 광원의 열특성 분석)

  • Ji, Byeong-Gwan;O, Beom-Ho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6 no.3
    • /
    • pp.168-171
    • /
    • 2015
  • The heat flow characteristics of a high-power optical semiconductor source have been analyzed using a 3D CFD commercial tool, and the thermal resistance values for each of the layers revealed the places for thermal bottlenecks to be improved. As the heat source of a LD (Laser Diode) has a small volume and a narrow surface, the effective thermal cross-sectional area near it is also quite small.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cross-sectional area effectively by using graphene layers on the 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 layers of a LD chip. The effective values of heat resistance for the layers are compared to confirm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graphene layers before and after, which can be considered to expand the thermal cross section of the heat transfer path.

버섯의 항암효과 -영자 균사체 다당류의 항종양 활성-

  • 이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13-14
    • /
    • 1997
  • 영지의 약리효과는 triterpenoid계의 저분자와 polysaccharide인 고분자로 대별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은 항염증작용, 항알러지작용, 간암세포 성장 억제작용, 혈압 강하작용, 혈소판 응집저해작용 등이 있으며, 고분자 물질은 혈압강하작용, 정혈작용, 고지혈증 개선작용, 혈당 강하작용, 면역 증강작용 및 항종양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의 영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자실체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산지, 환경조건, 채집시기 및 실험자들에 따라 약리 효과 등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들에 대한 효과가 영지의 대표적 약리효과라고 언급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약리효과가 우수하고 일관성이 있는 영지 유래 다당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균사체의 대량배양법 및 분리방법이 확립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항암활성 다당류의 개발을 위해 국내 자생 영지를 채집하여 검색 및 계통적 분류를 행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최적 액체배양 조건, 다당류 분리 조건,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약리활성 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약리활성이 우수한 G- lucidum IY009 균주를 선발 하였다. 구조적 특징과 종양 면역 활성과의 관계 규명을 위해, G- lucidum IY009 배양균사체로부터 다당류를 T-AS, U-AS, M-AS, S 및 H로 분획 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다당류 GLG의 수율은 열수 추출 분획이 2.98g/l로 가장 높았으며, U-AS및 T-AS에서 각각 2.32g/l, 2.07g/l이었다. GLG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용성과 비수용성으로 분리한 결과 수용성 분획은 비수용성 분획보다 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T-AS 분획은 mouse내의 특정 혈청단백을 증가시켰으며, 항체 생성능의 증가가 관찰되어 effect T 세포의 활성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S는 생체내 투여시에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증진되었으며, 대식세포 기능 저해제에 의한 대식세포의 기능 저해 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T-AS의 항암 활성은 활성화된 보체 성분 및 당 수용체들이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개입을 시사한다.

  • PDF

유산균의 항암효과

  • 배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15-17
    • /
    • 1997
  • 암 발생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식사습관과 환경오염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음식물, 담배, 술, 대기오염, 스트레스, 자외선이 그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꼽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발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에 대한 Wynder 등의 역학조사에서도 식사습관이 암 발생에 중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다량 섭취가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 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한 곡류와 야채의 섭취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가 늘 섭취하는 음식물 자체는 대장암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 섭취된 음식물이 암을 일으키려면 장내 부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발암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발암물질들이 장관으로 흡수 자극함으로써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장내 미생물들은 장내 발암물질들을 무독화 하거나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 시킴으로써 암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itsuoka는 장내 미생물이 암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Veer 등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이 억제됨을, 국제암연구위원회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핀란드 쿠피오의 거주자들에게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대장암 발생율이 1/4에 불과하고 분변내 유산간균수는 100배 높은 사실을 역학조사에서 밝혔다. 이 외에 유산균과 발효유제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유산균의 항암효과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련 자료들을 요약,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