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3}P_{J}$)

검색결과 817건 처리시간 0.03초

Transformation of Fuji Apple Plant Harboring the Coat Protein Gene of Cucumber mosaic virus

  • Lee, C.H.;Hyung, N.I.;Lee, G.P.;Choi, J.Y.;Kim, C.S.;Choi, S.H.;Jang, I.O.;Han, D.H.;Ryu, K.H.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62-165
    • /
    • 2003
  • Transformation of Fuji apple (Malus domestica 'Fuji') was performed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harboring a coat protein (CP) gene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A plasmid DNA containing the virus CP and NPT II genes was introduced into the loaves of apple by th e Agrobacterium - mediated transformation procedure. Regenerated transformants of the apple were obtained by kanamycin resistance conferred by the introduced NPT II gene. PCR analysis showed that 3 out of 20 putatively selected R0 plant lines contain the CMV-CP gene. Nine putative transgenic lines out of 20 lin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PCR analysis; 5 regenerants produced a 450 bp DNA band and 3 regenerants showed a 671 bp DNA band for the NPT II and CMV-CP genes, respectively. Southern hybyidiz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the CMV-CP gene into the genome of the appl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generation of useful vius resistance source of transgenic apple for molecular breeding program.

배양액 및 산소농도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Media and Oxygen Concentration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VM/IVE Embryos)

  • 최창용;조상래;최선호;김현종;한만희;강다원;신용원;한재희;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5-160
    • /
    • 2007
  • 본 연구는 돼지 체외수정란 생산효율을 향상시켜 돼지의 품종개량, 형질전환 돼지생산 등과 멸실위험에 처해 있는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미성숙 난포란의 적정 체외성숙 시간을 알아보고, 배양액의 종류 및 체외 배양시의 산소 농도에 따른 체외수정란의 생산 효율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간별 제2감수분열중기(M II)까지 성숙된 비율이 체외성숙 38, 40, 42시간째에 각각 61.1%, 42.9% 및 69.6%를 나타내어 그 비율이 70% 미만으로 낮은 반면, 체외성숙 44, 46, 48시간째에 각각 73.7%, 94.1% 및 100%의 체외성숙률을 나타내어 최소한 44시간 이상의 체외성숙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체외배양액의 종류에 따른 배반포 발달률이 NCSU-23 18.8%, PZM-5 16.3%를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산소분압에 따른 배반포 발달률이 5% 산소분압에서 11.9%, 20%의 산소분압에서 15.8%를 나타내어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3. 체외배양 7일째 발달된 배반포 수정란의 총세포수는 40개 내 외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간은 44시간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로 다른 배양액과 산소농도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Efficacy and safety of vitamin D3 B.O.N intramuscular injection in Korean adults with vitamin D deficiency

  • Choi, Han Seok;Chung, Yoon-Sok;Choi, Yong Jun;Seo, Da Hea;Lim, Sung-Kil
    • Osteoporosis and Sarcopenia
    • /
    • 제2권4호
    • /
    • pp.228-237
    • /
    • 2016
  • Objective: There has been no prospective study that examined intramuscular injection of high-dose vitamin D in Korean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high-dose vitamin $D_3$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in Korean adults with vitamin D deficiency. Method: This study was a 24-week, prospective,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A total of 84 subjects ${\geq}19$ and <65 years of age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vitamin $D_3$ or placebo group in a 2:1 ratio. After randomization, a single injection of plain vitamin $D_3$ 200,000 IU or placebo was intramuscularly administered. If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concentrations were <30 ng/mLon week 12 or thereafter, a repeat injection was administered. Results: After a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of vitamin $D_3$ to adults with vitamin D deficiency, the proportion of subjects with serum 25(OH)D concentrations ${\geq}30ng/mL$ within 12 weeks was 46.4% in the vitamin $D_3$ group and 3.6% in the placebo group (p<0.0001). The proportion of subjects with serum 25(OH)D concentrations ${\geq}30ng/mL$ within 24 weeks was 73.2% in the vitamin $D_3$ group and 3.6% in the placebo group (p<0.0001). Mean change in serum 25(OH)D concentrations at weeks 12 and 24 after vitamin $D_3$ injection was $12.8{\pm}8.1$ and $21.5{\pm}8.1ng/mL$, respectively, in the vitamin $D_3$ group, with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lacebo group. Serum para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vitamin $D_3$ group but no change in the placebo group. Conclusion: Intramuscular injection of vitamin $D_3$ 200,000 IU was superior to placebo in terms of its impact on serum 25(OH)D concentrations, and is considered to be safe and effective in Korean adults with vitamin D deficiency.

유도 환우 방법에 따른 산란계의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Laying Hens in Molting Methods)

  • 홍의철;나재천;김학규;박희두;최양호;강근호;서옥석;최희철;노환국;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1-398
    • /
    • 2009
  • 본 시험은 4가지의 유도환우 방법을 이용한 환우 후의 산란계의 생산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산란율 80% 이상, 평균 체중 $16{\pm}0.3\;kg$의 62주령 White Leghorn 120수를 공시하였다. 4가지 환우 방법은 ; 1) 환우 시험 개시 후 10일째까지 절식, $11{\sim}13$일째 제한 급이, 14일째부터 고에너지 사료 자유 급이 (FW1), 2) 저에너지 사료 자유 급이 (FW2), 3) 환우용 사료를 26일째까지 일일 수당 60 g, 27일째부터 28일째까지 일일 수당 90 g씩 제한 급이(NFW1), 4) 환우용 사료 자유 급이. 처리구는 4종류의 환우 방법에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5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처리구당 2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FW1과 FW2 처리구는 환우 처리 후 $3{\sim}4$일째에 산란이 완전정지하였으며, NFW1과 NFW2 처리구는 $16{\sim}18$일째에 산란의 거의 정지하였다. 산란율의 회복은 NFW2구가 28일, NFW1구가 30일부터 재 산란이 시작되고, 각각 38일과 41일째에 산란이 50%에 이르렀으며, 54일, 62일째에 각각 산란율 80% 이상을 유지하였다. 이것과 비교하여 환우 처리 후, 저에너지 사료 급이구 FW1와 고에너지 사료 급이구 FW2구는 산란율의 회복이 FW1구가 28일, FW2구가 26일부터 재 산란이 시작되고, 각각 47일과 41일째에 산란율이 50%에 이르렀으며, 70일, 64일째에 각각 산란율 80% 이상을 유지하였다. 환우 14일째간의 무게는 27.6과 32.2 g, 난포수란관의 무게는 22.0과 24.9 g으로 환우처리구에서 무게가 크게 감소하였다(P<0.05). 환우 후 계란 품질은 환우 처리구에서 난중, 난각 두께, 난각 강도 및 하우유니트가 개선되었으나(P<0.05), 난황색은 차이가 없었다(P>0.05).

지열 냉방시스템을 이용한 분만돈사의 냉방효과 분석 (Evaluation on Cooling Effects of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 Farrowing House)

  • 최희철;송준익;나재천;김민지;방한태;강환구;박성복;채현석;서옥석;유영선;김태원;박재홍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8
    • /
    • 2010
  • 지열냉방시스템을 분만돈사에 적용하여 냉방효과 및 분만돈과 자돈의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지열냉방돈사와 관행돈사로 2개로 나누였으며, 돈사당 각각 모돈 48두씩를 수용하여 하절기 4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외부기온이 $33.0^{\circ}C$ 이상으로 더운 날에는 냉방을 위한 지하수 순환량이 많이 소요되어 최고기온과 지하수 순환량이 아주 밀접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열냉방 돈사의 온 습도 변화의 경우 최고기온은 관행돈사에 비하여 낮게 유지되고, 최저기온도 많이 떨어지지 않아 일교차가 훨씬 적었다. 미세먼지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PM 10은 지열냉방돈사가 관행돈사에 비하여 최고 61.4% (111.1 vs 42.9) 까지 감소되었다. 그러나 작은 입자의 분진은 오히려 지열 냉방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암모니아가스 배출량의 경우 지열냉방돈사는 관행돈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감소하였다. 총 3회에 걸쳐 측정된 임신돈의 호흡수는 지열냉방돈사에서 유의적으로 (p<0.05) 감소하였고,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호르몬의 경우에 지열냉방돈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유시 체중은 지열 냉방돈사가 관행돈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증가하였으며, 여름철 모돈의 사료 섭취량은 관행돈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따라서 지열냉방시스템은 여름철 분만사의 온 습도를 낮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진,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빛 모돈의 호흡수 감소에 영향을 주어 모돈과 포유자돈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지열 난방시스템을 이용한 분만돈사의 난방효과 분석 (Evaluation on Heating Effects of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 Farrowing House)

  • 최희철;박재홍;송준익;나재천;김민지;방한태;강환구;박성복;채현석;서옥석;유영선;김태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5-215
    • /
    • 2010
  • 지열히트펌프를 이용한 축사용 냉난방시스템을 개발하고 농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330 $m^2$ 규모의 농장에 개발 시스템을 설치하여 돈사에서의 난방 이용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열 난방시 부하량은 24,104 kcal이었으며 농장시험 지열이용 냉난방시스템의 제원은 히트펌프 용량은 10 USRT 였으며, 상부 덕트형 30,000 kcal 홴코일유니트를 사용하였으며 FCU의 풍량은 90 $m^3$/분 이었다. 2. 지열 난방 1주령시 외부 최고기온 $14.2^{\circ}C$, 최저 영하 $9.3^{\circ}C$일때 시험구는 평균 $21.5^{\circ}C$로서 대조구 $19.8^{\circ}C$에 비하여 높았다. 3. 지열 난방 시험돈사의 먼지 농도는 PM10 185.3, PM2.5 40, PM1.0 $23.4{\mu}g/m^3$으로 대조구 PM10 481.4, PM2.5 47, PM1.0 $28.2{\mu}g/m^3$에 비하여 낮았다.4. 지열 난방 시험돈사의 유해가스농도는 $CO_2$ 1,470, $NH_3$ 10.6, $H_2S$ 0.05 ppm으로서 대조구 $CO_2$ 2,025, $NH_3$ 23.3, $H_2S$ 0.69 pp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5. 지열난방시 복당 이유두수는 10.5두로 대조구 10.4두에 비하여 높았으며 이유시체 중도 6.93 kg으로 대조구 6.86 kg에 비하여 컸으며 특히 온도가 낮은 대조구에서 모돈사료 섭취량이 99.6 kg으로 시험구 88.2 kg 보다 유의적으로 (p<0.05) 많았다. 6. 지열 난방시 외부기온과 지하수 순환량에 있어서 외부기온이 낮을 경우 1일간 8.4-12.9톤으로 지하수 순환량이 많았다.

배양액, 섬유아세포, 배양시간, 산소 농도 및 활성화 처리가 돼지 핵이식 배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a, Synchronization of Fibroblast Cells, Culture Time, $\textrm{O}_2$ Concentration and Activation on Developmental Rate of Nuclear Transferred Porcine Oocytes)

  • 전연화;이만휘;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1-199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 태아 섬유아세포유래 공여세포를 미세주입에 의해 주입 후 재 조합한 핵 이식 배에 대한 배양액, 세포주기의 동기화, 배양시간 및 난자의 활성화에 따른 융합율과 체외발생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핵 이식 배를 NCSU-23, TL Hepes 및 TZM-3 배양액으로 1시간 및 8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분할율은 각각 15.6%, 14.0%, 15.0% 및 13.9%, 10.5%, 13.3%로서 배양액 및 시간에 따른 분할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공여핵원용 세포를 0, 8, 15시간 배양했을 때 G2/M기로의 체외발달율은 12.0%, 18.0%, 48.0%였다(p<0.01). 공여핵원용 세포를 12-24시간 배양했을 때 G2/M기로의 체외발달율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공여핵원용 세포를 10% FBS + NCSU-23 배양액으로 1-2, 6-8, 12-14일간 배양 후 핵 이식한 배의 융합율은 각각 60.0%, 73.3%, 62.5%였으며, 분할율은 각각 36.0%, 56.7%, 50.0%였다. 0.5% FBS + NCSU-23, 0.5% + TL-Heaps 및 0.5% + TZM-3 배양액으로 5% $O_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을 때 핵 이식배의 $\geq$2 cell 및 배반포로의 발생율은 각각 12.5$\pm$1.6%, 11.1$\pm$1.8%, 11.7$\pm$1.0%였으며, 10% $O_2$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을 때 핵 이식배의 $\geq$2 cell 및 배반포로의 발생율은 각각 10.5$\pm$1.5%, 9.8$\pm$1.4%, 10.0$\pm$0.8%였다 배양액과 $O_2$ 조건에 따른 유의한 발생율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제단백 Porphyran의 성분 및 유동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Deproteinated Porphyran)

  • 구재근;박병춘;김병기;김현애;유정희;김선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7
    • /
    • 2007
  • The 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deproteinated porphyrans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were investigat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food materials with biological functionality. Deproteinated porphyran was prepared by acid extraction (pH 4.0, $80^{\circ}C$, 4 hr) and successive hydrolysis with 0.5% Alcalase and 0.5% Flavourzyme. The porphyran constituted 10.7% of the dry laver and consisted of 0.6% protein, 14.8% ester sulfate, 3.2% 6-O-methyl galactose, 16.0% 3,6-anhydro-L-galactose, and 67.3% galactose.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apparent viscosity were examined by applying the power law and Arrhenius equations. The porphyran solution showed the typical behavior of a pseudoplastic liquid and the flow behavior index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deproteinated porphyran solution at a 1,000 L/s shear rate also increased from $1.4954{\times}10^{4}\;to\;1.9544{\times}10^{4}\;J/kg$ mol with the concentration.

Thermostability of a marine polyphenolic antioxidant dieckol, derived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cava

  • Kang, Min-Cheol;Kim, Eun-A;Kang, Sung-Myung;Wijesinghe, W.A.J.P.;Yang, Xiudong;Kang, Na-Lae;Jeon, You-Jin
    • ALGAE
    • /
    • 제27권3호
    • /
    • pp.205-213
    • /
    • 2012
  • The thermostability of antioxidant activity of dieckol, a phlorotannin isolated from brown seaweed Ecklonia cava was investigated. The thermostable antioxidant properties of dieckol were evaluated at 30, 60, and $90^{\circ}C$ for 7 day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comparing its performance to that of ascorbic acid.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and apoptotic body form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DCF-DA assay and nuclear staining with Hoechst 33342, propidium iodide and flow cytometry. Dieckol tr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during 7 days showed stable scavenging activities on towards DPPH and hydroxyl radicals. In addition, dieckol showed a stable protective effect against $H_2O_2$-induced apoptotic body formation in Vero cells. On the other han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ctivities of ascorbic acid, used as a positive cont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60^{\circ}C$ and $90^{\circ}C$ from on the 4th day and 3rd day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od grade antioxidant extracts containing dieckol derived from E. cava remain a stable during the temperatures encountered during the processing of food and cosmetics.

Use and Effects of Malaria Control Measures in Pregnancy in Lagos, Nigeria

  • Efunshile, Michael;Amoo, A.O.J.;Akintunde, Grace B.;Ojelekan, Oluwole D.;Konig, Wolfgang;Konig, Brigitt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365-371
    • /
    • 2011
  • In Nigeria, malaria causes up to 11% of maternal mortality. Our main aim was to find out the most common mosquito control measures employed by the pregnant women in Lagos and their effects on malaria infec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over a period of 6 months during which trained interviewers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400 pregnant women. The prevalence of malaria was 8.4%.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malaria and age, level of education, or occupation of the participants. Pregnant women in the age range 26-30 had the mean parasite density ($409.9{\pm}196.80$). Insecticide spray (32.8%), mosquito coil (27.5%), and insecticide-treated nets (ITN) (15.5%) were the major mosquito control measures employed by the participants while the prevalence of infection among them were 2.3%, 6.2%, and 3.2%, respectively (P<0.05). Only 18.3% of the women had taken more than one dose of intermittent preventive treatment (IPT), while another 11.8% had taken a single dose. The infection rate among them was 4.1% and 6.4%, respectively. Malaria prevalence was highest among those who had not received any dose of IPT (10%). This study showed that the use of ITN and IPT among the pregnant women were still unacceptably low. It also showed that the use of insecticide spray which was the most common malaria control measure adopted by the participants was effective despite the fact that it is not a National Malaria Control Policy. We recommend that a sustained integrated mosquito man-agement and public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Nig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