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ve value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6초

Aspergillus Oryzae를 이용(利用)한 밀기울단백질(蛋白質)의 질적(質的) 향상(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Improving Protein Quality of Wheat Bran by Fermentation with Aspergillus Oryzae)

  • 계승희;김상순;지규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34-241
    • /
    • 1985
  • 사료(飼料) 단백질(蛋白質)의 질(質)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생물(微生物)을 배양(培養)하여 제조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질적(質的)인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밀기울에 Aspergillus oryzae를 배양(培養)한 발효(醱酵)밀기울을 제조하여 그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과 동시에 쥐 사료(飼料)에 첨가한 후 사육하여 성장률(成長率)과 사료효율을 측정하였으며, NPU, PER 및 NPR과 같은 단백질(蛋白質)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이용성(利用成)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발효(醱酵)밀기울의 제조과정 중에 밀기울건물(乾物)의 절대량이 15% 감소되었다. 2) 발효(醱酵)밀기울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원료인 밀기울에 비해 조(粗)단백질, 조(粗)섬유, 조(粗)회분 및 조(粗)지방은 증가하였고 가용성무실소물(可溶性無室素物)은 감소하였으며 amino-nitrogen과 riboflavin의 함량은 각각 3.6배와 12배씩 현저히 증가되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발효(醱酵)밀기울에서 18.6% 증가 하였다. 3) 쥐의 사료(飼料) 섭취량(攝取量)과 체중(體重) 증가량(增加量)에서는 각 군간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료효율은 모든 FWB군이 50% WB군보다 좋았으나 통계적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4) 대체적으로 모든 FWB군은 50% WB군보다 PER, NPR 및 NPU수치가 높은 경향(傾向)이었는데 그 중(中) 50% FWB군의 NPU 수치는 100% Casein 군과는 거의 유사하고 50% WB군에 비해서는 유의(有意)하게 더 높았다(P< 0.05).

  • PDF

PROTEIN SPARING EFFECT AND AMINO ACID DIGESTIBILITIES OF SUPPLEMENTAL LYSINE AND METHIONINE IN WEANLING PIGS

  • Han, I.K.;Heo, K.N.;Shin, I.S.;Lee,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393-402
    • /
    • 1995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ve values of supplemental L-lysine, liquid and powder type, and DL-methionine in weanling pigs. For feeding trial, 165 weanling pigs were treated in 2 controls; 18 and 16% CP, 6 supplementations of lysine alone to 16% CP diets; 0.1, 0.2 and 0.4% of liquid and powder type each, and 3 supplementations of lysine + methionine to 15% CP diets; 0.05 + 0.025, 0.1 + 0.05 and 0.2 + 0.1%. Pigs were fed for 5 week to investigate the protein sparing effect of supplemental amino acid, and the optimal supplemental level. A metabolic trial included the measurements of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energy, phosphorus and amino acids. The liver acinar cell culture was conducted for the protein synthesis activity of the pigs fed each experimental diet. Supplementation of both type of L-lysine in 16% CP diet showed improved dail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hich were compatible with those of pigs fed 18% CP diet. Groups fed liquid lysine did not differ from those fed powder type in growth performance. Supplementation of lysine and methionine to 15% CP diet did not improve growth performance of pigs to the extent that 18% CP diet was fed. In nutrient digestibility, 16% CP control diet showed significantly (p < 0.05) lower crude protein digestibility than any other treatments. Digestibilities of 16% CP diets with lysine supplementation were equal to that of 18% CP control, while digestibilities of 15% CP diets with the supplementation of lysine + methionine was inferior to that of 18% CP control. Supplementation of lysine alone reduced the nitrogen excretion compared to the none supplemented control groups. However, addition of lysine + methionine excreted more nitrogen than controls. Pigs fed diet supplemented with lysine alone, or lysine + methionine excreted less fecal phosphorus than those fed none supplemetation. Retained protein from liver tissue of pigs fed 18% diet was significantly (p < 0.05) greater than those fed 16% CP diet.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in physical type of lysine. Feeding of powder type showed less secreted protein and greater retained protein in the culture of liver acinar cell.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lysine at the level of 0.1 to 0.2% can spare 2% of dietary protein and reduce nitrogen excretion by 19.3%. Also, no difference in nutritional values was observed between liquid and powder lysine in weanling pigs.

Ensiling of Sweet Potato Leaves (Ipomoea batatas (L.) Lam) and the Nutritive Value of Sweet Potato Leaf Silage for Growing Pigs

  • An, Le Van;Lindberg, Jan Er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97-503
    • /
    • 2004
  • The effect of adding carbohydrate-rich feedstuffs to sweet potato leaves (SPL) on silage quality was studied using a total of 180 laboratory silos. Silage quality was assessed by changes of pH,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ammonia nitrogen ($NH_{3}$-N). Pre-wilted SPL was mixed with cassava root meal (CRM), sweet potato root meal (SPM) or sugar cane molasses (Mo) at levels of 0, 30, 60 and 90 g $kg^{-1}$ (air-dry weight of additives to pre-wilted weight of SPL). Samples for assessing silage quality were collected after mixing the SPL with the additive and thereafter at 7, 14, 28 and 56 days of ensiling. There was a marked decrease in pH after 7 days and the pH remained low and stable until day 56. Addition of 60 and 90 g $kg^{-1}$ resulted in a lower pH (p<0.05)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DM content of the silage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itive,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M with time of ensiling. The CP content of the silage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itive. The CP content did not change up to 28 days, but was lower (p<0.05) after 56 days in all treatments. The $NH_{3}$-N levels were increasing (p<0.05) with time of ensiling, and were lower (p<0.05) with additive levels of 60 g $kg^{-1}$ or higher. Also, the additive source affected the $NH_{3}$-N values, with the lowest values found for Mo. Castrated male pigs (Large White$\times$Mongcai) were used in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study the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nitrogen (N) utilisation of diets with inclusion of ensiled SPL. The diets were based on cassava root meal with inclusion of protein from either fish meal (C) or SPL ensiled with CRM (D1), SPL ensiled with SPM (D2) and SPL ensiled with Mo (D3). The digestibility of DM, organic matter (OM) and CP were higher (p<0.05), and the digestibility of crude fibre (CF) was lower (p<0.05), in diet C than in diets D1, D2 and D3.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digestibility of dietary components between diets D1, D2 and D3. Also, the excretion of N in faeces was higher (p<0.05) and the N retention was lower (p<0.05) in diets D1, D2 and D3 than in diet C.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experiments, that a good quality silage can be produced from pre-wilted SPL by addition of 60 g $kg^{-1}$ of either CRM, SPM or Mo. Diets with inclusion of 450 g ensiled SPL $kg^{-1}$ DM showed a high digestibility of dietary components and thus ensiled SPL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feed resource for growing pigs.

친환경 청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볏짚사일리지의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비교연구 (In vitro Rumen Fermentation Patterns of Environment Friendly Whole Crop Barley, Italian Ryegrass and Rice Straw Silages)

  • ;오성진;이아름;채정일;최창원;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1-230
    • /
    • 2012
  • Rumen fermentative characteristic is useful indicators of the quality of ruminant feed stuffs and diets. A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experiment was therefore carried out to compare fermentation patterns among three forage sources. These were whole crop barley (WCBS), Italian ryegrass silage (IRGS) and rice straw silages (RSS). Rice straw (RS) was the control, making the treatments 4 in total. Forages were randomly allocated to serum bottles. The incubation times were arranged 0, 3, 6, 9, 12, 24, 48 and 72h at $39^{\circ}C$, respectively. Each forage source was replicated 3 times per incubation time. At each sampling time, total gas and pH were measured, whilst individual volatile fatty acids (VFAs), total volatile fatty acids (TVFAs) and ammonia nitrogen ($NH_3$-N) were determined later after storing samples at $-20^{\circ}C$. Acetate: Propionate ratio (A/P) was then calculated. Forage source had a significant effect (P<0.001) on pH and $NH_3$-N. RSS maintained higher pH values than the rest of the forage sources. A decreasing pH trend with increased time of incubation, in agreement with literature, was observed for all forage sources. WCBS recorded $NH_3$-N values higher than all the other treatments. Total gas, individual and total VFA and A/P ratio were not affected by forage sourc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arameters (p<0.05) among forage sources at sampling periods at 3 to 72h.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indicating that WCBS, IRGS, RS and RSS maintained in vitro rumen pH above the critical value. Also, WCBS produced the highest NH3-N and on this merit could be of better nutritive value, in vivo, in the ruminant.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and Chemical Fertilizer on Productivity of Rye and Hairy Vetch by Single or Mixed Sowing)

  • 조익환;윤용범;박웅렬;황보순;이성훈;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3-330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 베치를 단파 혹은 혼파 재배 시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자원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답리작으로 호밀 단파구와 호밀 및 헤어리 베치 혼파구의 연 평균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각각 ha 당 7.2와 4.0 ton 및 8.0과 4.4 ton으로 헤어리 베치 단파구의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4.5 및 2.7 ton/ha)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또한 호밀과 헤어리 베치의 혼파재배구(7.7%)가 조단백질 함량이 호밀 단파구보다 높았으며 TDN 함량과 RFV(각각 55.8과 79.4)도 높았다. 호밀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4과 4.1 ton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 구(7.2와 3.9 ton/ha)와 무비구(5.5와 3.1 ton/ha) 보다 높았으며 화학비료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각각 75.52와 78.97%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TDN 함량과 RFV도 무비구와 액상우분뇨가 다른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호밀과 헤어리 베치 혼파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는 ha 당 각각 7.6과 4.5 ton을 나타내어 질소, 인산 및 칼리 시비구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79.50과 86.77%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 용구에서 8.5%로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TDN 함량과 RFV도 각각 58.3%와 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밀의 단파보다는 헤어리 베치와의 혼파가 건물수량은 감소하지만 사료가치의 개선 및 영양수량의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화학비료 시비구 보다 액상우분뇨 시용으로 자원의 재활용, 조사료의 품질 개선 및 사료가치의 급감을 방지하여 수확시기 연장 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양식 사료로서 Kluyveromyces fragilis와 Candida utilis의 영양가 (Nutritive Value of Kluyveromyces fragilis and Candida utilis As Feed for Aquaculture)

  • 이상민;김중균;김태진;민진기;박홈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1-797
    • /
    • 1999
  • Kluyveromyces fragilis (ATCC 36534)와 Candida utilis (ATCC 9950) 균주를 사료 첨가제와 rotifer 먹이로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성장 단계별 및 세포벽의 화학처리에 따른 영양가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K. fragilis가 $48.2\~58.5\%$로 C. utilis의 $25.9\~43.4\%$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조지방 함량은 K. fragilis 및 C. utilis모두 $0.1\~1.6\%$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조섬유의 함량은 두 효모에서 $0.6\~3.3\%$의 범위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protoplasted 효모의 경우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효모종류에 따라 아미노산 조성이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Asp, Gly, Pro, Leu, Lys 및 Val은 K. fragilis가 C. utilis보다 그 함량이 높았으며, Glu 및 Arg은 C. utilis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성장 단계별 아미노산 조성은 특별한 변화 경향이 없었으며, 세포 외벽을 처리한 protoplasted K. fragilis와 C. utilis의 Glu, Gly 및 Asg은 처리전보다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Leu, Phe 및 Val의 함량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K. fragilis 및 C. utilis의 지방산은 대부분 $C_{18}$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주로 $C_{16-18}$의 지방산들은 early log 또는 log phase에서 death phase로 갈수록, 그리고 protoplast에서 낮아지는 반면에 $C_{10-12}$와 같은 저급 지방산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 fragilis 및 C. utilis의 early log phase에서는 ATP 함량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그 후 단계 (log - death phase)에서 각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DP 함량은 K. fragilis에서 early log phase 이후 단계부터 증가하였고, 세포막을 처리한 protoplast 상태에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C. utilis의 경우는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rotoplast 상태에서는 그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MP 함량은 두 균주 모두 early log phase에서 낮은 수준이었지만, 그 후 단계에서는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으며, protoplast 상태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IMP 함량은 두 균주 모두 log phase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protoplast 상태에서는 낮은 값을 보였다. Inosine 함량은 K. fragilis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었고, C. utilis에서는 K. fragilis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log phase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성장 단계별로 이들의 핵산관련물질의 총량은 두 균주 모두 early log phase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각 성장 단계별로 K. fragilis가 C. utilis보다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protoplast 상태에서는 C. utilis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균 및 항돌연변이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Sweetpotato Tips Extract)

  • 이준설;신미진;박양균;안영섭;정미남;김학신;김정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03-310
    • /
    • 2007
  • 고구마 용도 다양화와 지상부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하여, 괴근에서 자라난 싹 중 부드러운 잎과 잎자루를 포함한 줄기끝 10 cm의 끝순을 수확하여, 끝순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 식중독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활성, 식품안전성과 관련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함량의 $89{\sim}9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2. 고구마 끝순의 80% ethanol 조추출물의 수율은 12.5 g이었고, 용매분획별로는 water 분획물이 8.9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hloroform 분획물이 1.6 g이었고, 나머지 용매 분획물은 $0.7{\sim}1.1g$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3.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 함량의 $89{\sim}9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4. Listeria monocytogenes에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16시간까지는 3 log 이상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20 mg/ml butanol 추출물은 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다 12시간 이후에는 완전히 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도 고구마 끝순 추출물은 $0.5{\sim}1$ log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5. 고구마 끝숱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돌연변이 활성을 조사한 결과 TA98은 $29{\sim}33$ CFU/plate이었고, TA100은 $159{\sim}188$ CFU/plate로 돌연변이 활성이 없었다. 6. 직접 돌연변이원 물질인 2-NF와 MMS를 처리하여 복귀돌연변이수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에서 돌연변이로 인한 복귀변이원성 집락수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고구마 끝순 추출물이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과 클로렐라 첨가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헤어리베치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hlorella on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Italian Ryegrass-Hairy Vetch Silage)

  • 최기춘;;;박형수;정민웅;김지혜;정종성;황보순;김원호;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9-44
    • /
    • 2014
  • 연구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헤어리 베치를 이용하여 사일리지 제조시 젖산균과 클로렐라를 처리하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품질 및 미생물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IRG-HV 사일리지 제조시 대조구와 젖산균 단독처리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클로렐라와 젖산균 공용처리구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섬유소와 TDN 함량 그리고 in vitro 건물소화율 처리구에서는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IRG-HV 사일리지에서 대조구는 젖산균 처리구의 pH와 비슷하였으나 클로렐라와 젖산균 공용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pH가 감소되었다(p<0.05). 젖산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젖산균 첨가구에서 증가되었으며(p<0.05), 클로렐라와 젖산균 공용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젖산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IRG-HV 사일리지 젖산균 단독 처리구의 젖산균 수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또한 클로렐라와 젖산균 공용처리구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IRG-HV 사일리지 제조시 젖산균과 클로렐라 처리에 의해 사일리지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표고 400m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Effect of Seed Mixture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 채현석;김남영;우제훈;신문철;손준규;성필남;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7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활용하여 북방형과 남방형 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 목초 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방목 시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 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 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페스큐(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형태에서 처리 1은 하번초 위주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북방형 목초 만으로 혼합한 형태인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인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4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입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초장은 평균적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크게 자랐으며 특히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였다. 건물 수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구에서 더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하번초인 켄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은 나타내었다. 식생분포에서는 1차 조사의 경우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13.3%으로 저조한 생육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하였고 반면에 켄터키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은 양호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5.0%, 11.7%으로 1차 조사 때 보다 더욱 생육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과 NDF, ADF의 소화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번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었다. 무기물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제주지역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 목초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저조하여 북방형 하번초위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를 이용한 조사료의 생산 (Application of Animal Excreta for Forage Production on Uncultivated Rice Paddy)

  • 이주삼;조익환;안종호;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5-185
    • /
    • 1995
  • 유휴 논토양에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의 차이가 연간 건물수량과 주요 영양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reed canarygrass의 잠재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경제적이고도 합리적인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적정 시용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빈도별 연간 건물수량에 대한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와 4회 예치ㅜ구에서 3번초, 5회 예취구에서는 4번초에서 각각 42.2, 45.2 및 34.7%를 나타내어, 다름 예취번초에 비하여 가장 높은 상대수량을 나타내었다. 2. 무시용구의 연간 건물수량은 예취빈도에 따라서 6.8~8.0 tons/ha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3회 예취구에서 가장 많은 연간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3. 모든 예취구에서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연간 건물수량은 증가하였다. 즉, 3회 예취구에서는 90kg N/ha/cut 수준의 연간 건물수량이 무시용구에 비하여 3.3ton, 그리고 4회와 5회 예취구에서는 30kg N/ha/cut 수준에서 무시용구보다 각각 1.7ton과 2.4ton/ha의 연간 건물수량이 증가하였다. 4. 조단백질 함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에서 90kg N/ha/cut,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는 120kg/ha/cut 수준에서 각각 12.01%, 15.00% 및 16.51%로 가장 높았으나, ADF 함량은 이들 수준에서 가장 낮았다. 5. 예취빈도별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3회, 4회 및 5회 예취구에서 각각 11.43, 13.53 및 15.53%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ADF함량은 5회 예취구가 37.06%로 유의하게 낮았고 3회와 4glh 예취구에서는 각각 40.27과 40.53%를 나타내어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6. 건물 생산효율은 3회와 5회 예취구의 30kg N/ha/cut 수준에서 18.9kg와 15.7kg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4회 예취구에서는 90kg N/ha/cut 수준에서 16.3kg으로 가장 높았다. 전 질소량은 예취번초별로 3회 예취구에서는 90kg N/ha/cut수준에서 0.52kg, 4회와 5회 예취구에서는 30kg N/ha/cut수준에에서 각각 0.51kg과 0.43kg의 높은 전 질소량을 나타내었다. 7. 경제적 액상구비 시용수준의 범위는 3회 예취구에서 107.2~151.0kg N/ha/cut, 4회 예취구에서 359.1~375.7kg N/ha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160.3~236.9kg N/ha이었으며, 이 때 얻어지는 경제적 한계수량은 각각 9.6~10.0ton/ha, 12.4~12.6 ton/ha 및 9.0~9.7 ton/ha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8.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에 따른 액상구비의 한계시용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420.0kg/ha, 4회 예취구에서 440.6kg/ha,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666.3kg/ha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