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loss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9초

일부(一部) 농촌지역(農村地域) 성장기(成長期) 아동(兒童)의 단백질(蛋白質) 및 철분(鐵分) 영양상태(營養狀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Iron and Protein Nutriture of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in a Korean Rural Area)

  • 정영진;이혜수;강길원;채범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3호
    • /
    • pp.27-44
    • /
    • 1974
  • A general survey of 82 perschool children and 473 school children (from 1st to 3rd grade) residing in the Dongnae area of Shindong Myun, choonseoung Gun, Kangwon Province was conducted from June 12 to 21, 1973, to obtain information concerning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the protein and iron nutrition of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in a rural area of Korea. A sample of 58 children 2 to 9 years old was selected from these 555 children for hematological, biochemical and parasitological tests. The results of these tests are presented below, 1) Both the mean body height and mean body weight of these children were higher and heavier than the averages in the Korean Physical Standards. About 39 per cent were above the 90 th percentile of the Korean Physical Standards of height and 35 per cent were above the 90th percentile of the Korean Physical Standards of weight. 2) The rate of infestation by helminthes was 67.6 per cent and there were no cases of hookworm infestation Among the ascaris-infected children, 61.6 per cent fell within an Ascaris E.P.G. count range of $501{\sim}2,000$. This was considered a rather mild intensify of ascaris infection. Nutrient loss due to helminthes was also estimated to be low. 3) The mean hemoglobin level was 11.3gm% $({\pm}0.94)$, and 68.4 per cent of the children were anemic (less than 11gm% among those 5 years old or less, less than l2gm% among those 6 years old or more). The average hematocrit value was 36.1% $({\pm}2.36)$, and only 3.5 per cent showed more than 34% on the M.C.H.C. tes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anemia, in these rural children was high, and that in general it displayed hypochromic characteristics. 4) The average serum iron level was $78.2{\mu}g%$\;({\pm}29.8). The Proportion of the children showing less than $50{\mu}g% in the serum iron level was 5.6 per cent, while 41.8 percent revealed $450{\mu}g% or more in the TIBC determination. Transferrin saturation was below 15% in 71.4 percent of the preschool children, and in 28.6 percent of the school children. Those who had a serum iron level of $50{\mu}g% or less and a TIBC of more than $450{\mu}g% constituted 11.9 percent of the children examined.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especially preschool children were low in iron nutrition, and that most of the anemia might be iron-deficiency anemia. 5) The mean values of total serum protein and albumin were 6.98gm% and 4.99gm% respectively. Especially in serum albumin, all children stowed more than 4 gm%. 6) The mean urinary urea nitrogen Per creatinine ratio was 11.5 $({\pm}4.2)$, and 21.8 percent had a ratio of more than 15.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otein nutrition in these children was relatively good.

  • PDF

밭 토양에서 패화석비료 시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증대 (Increased Available Phosphate by Shell Meal Fertilizer Application in Upland Soil)

  • 이창훈;이주영;하병연;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05
  • 굴껍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화석비료가 토양개량제로서 배추의 생육 및 수량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통 (Fine silty, Typic Endoaquepts)의 밭 토양에 굴패화석비료를 0, 4, 8, 12, and $16Mg\;ha^{-1}$ 처리하여 봄배추를 재배하는 과정 중 패화석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유효인산함량은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1차적으로 패화석비료내 포함된 인산 ($1.5g\;P_2O_5\;kg^{-1}$)의 직접투입이 토양 내 전 인산을 증가시키고 유효인산을 증진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알카리성 제재인 패화석비료가 pH 5.8의 공시토양의 pH를 중성범위로 높이면서 간접적으로 유효인산함량을 증진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패화석비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수용성 인산과 Ca-P 함량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Al-P와 Fe-P의 비율을 크게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패화석비료는 토양내 유효인산함량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이렇게 많아진 유효인산을 이용하여 인산시비량을 저감하고 나아가 인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토양 중 자운영 환원에 의한 질소의 동태 구명 (Behavior of Nitrogen Released from Chinese Milk Vetch in Paddy Soil by Using Stable 15N Trace)

  • 이창훈;정기열;김선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94-1099
    • /
    • 2012
  • 담수조건으로 토양질소동태에 대한 결실기 자운영의 투입효과를 포트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자운영의 투입에 따라 벼의 자운영유래 질소 이용율은 약 51-64%으로 자운영의 투입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수확기 토양의 자운영질소는 약 3-5%가 저장되었고, 자운영 유래 질소의 손실은 각각 32.4와 44.1%를 차지하였다. 벼 수량 대비 자운영 $30Mg\;ha^{-1}$ 시용은 질소추천시비량을 전량 대체할 수 있었다.

박근의 원위혈관경을 이용한 도서형 근피판술 (Musculocutaneus Island Flap Based on the Distal Vascular Pedicle of Gracilis Muscle)

  • 정덕환;이용욱;조창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6권1호
    • /
    • pp.96-102
    • /
    • 1997
  • The gracilis that is frequently used as a donor of free muscle trasfer is appropriate in the muscular shape and vascular position. This muscle is belonged to the second type of muscle group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pattern of muscular nutrient vessel. The adductor branch or first perforating branch of deep femoral artery which supplies the proximal 1/3 of this muscle is a dominant one and this is used for the microscopic anastomosis of muscle or musculocutaneous flap. The minor vascular pedicles which enter the distal 1/3 of this of this muscle are branches of the superficial femoral artery and it is 0.5mm in diameter, 2cm in length with two venae comitantes. These minor pedicles supplies distal half of the gracilis muscle. This island musculocutaneous flap using distal vascular pedicle can be used to cover the defect of soft tissue around the distal femoral supra-condylar area, knee joint and proximal tibial condyle area which cause limitation of motion of knee joint, or in the cases that usual skin graft is impossible. The important operative procedure is as follows; The dissection is carried proximally and distally and the entire gracilis muscle including proximal and distal pedicle is completely dissected. After temporary blocking of the proximal vascular pedicle, the adequate muscle perfusion by the distal pedicle is identified and it is rotated to the recipient site around knee joint. The advantages of this procedure are simple, no need of microscopic vascular anastomoses and no significant functional loss of donor site. Especially in the cases of poor condition of the recipient vessel, this procedure can be used effectively. From 1991 to 1996, we performed 4 cases; complete survival of flap in 3 cases and partial survival of flap with partial necrosis in 1 case. This procedure is though to be useful in the small sized soft tissue defect of distal femoral supra-condylar area, knee joint and proximal tibial condylar area, especially in the defect of anterior aspect which expected to cause limitation of motion of knee joint due to scar contracture. But the problems of this procedure are the diameter of distal vascular pedicle is small and the location of distal vascular pedicle is not constant. To reduce the failure rate, identify the muscular perfusion of distal vascular pedicle after blocking the proximal pedicle, or strategic delay will be helpful.

  • PDF

Effects of Protein Supplement Sources on Digestibility of Nutrients, Balance of Nitrogen and Energy in Goats and Their In Situ Degradability in Cattle

  • Khan, M.J.;Nishida, T.;Miyashige, T.;Hodate, K.;Abe, H.;Kawakit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6호
    • /
    • pp.673-679
    • /
    • 1998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in situ rumen degradability of soybean meal (SM), fish meal (FM), sesame cake (SC) and Italian ryegrass hay (IRGH) and the effect of supplementing the above protein meals to IRGH on digestibility and balance of nutrients in three Saanen goats. For measuring the degradability, nylon bags containing each meal were incubated in the rumen of one fistulated dry cow for 3, 6, 12, 24, 36, and 48 hrs. Degradability revealed that SM protein was highly degradable in the rumen (99.1%), while FM protein was less degradable (76.8%) with SC protein being intermediate (91.2%) at 48 hrs of incubation (p < 0.01). Degradation rate of the potentially degradable fraction was estimated to be 12.12, 5.88 and 5.88%/hr for SM, FM and SC, respectively. In the metabolism trial, all goats were offered daily 900 g IRGH and one of the supplements, SM (100 g), FM (75 g) or SC (100 g). Intake of DM, OM, CP and GE was similar among diets. However, digestibility of OM for SC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diets supplemented with FM and SM (p < 0.10). Nitrogen (N) excreted in faeces (p < 0.05) and in urine (p < 0.10) was, respectively, higher and lower for SC diet than that for the other two diets. The same tendency was observed in energy losses in faeces (p < 0.10) and in urine (p < 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energy loss in methane or in heat production among diets. Consequent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N retention (2.13, 0.42 and -0.11 g/day for FM, SC and SM diet, respectively) or in energy retention (-1.49, -2.14 and -2.70 MJ/day for FM, SM and SC die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tein supplements affected the digestion of diets based on grass hay with 7.45% CP in DM in goa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N or energy retention.

황기의 사포닌 Astragaloside 첨가 모 영양제가 눈썹의 성장과 발육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Hair Nutrient Containing Saponin Astragaloside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Eyebrows growth and development)

  • 신복희;이재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27-236
    • /
    • 2017
  • 본 연구는 황기의 사포닌 성분 Astragaloside를 첨가한 모영양제 화장품을 제조하여 눈썹의 성장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전 설문을 통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모(毛)영양제 사용 실태를 조사한 후, 연구대상자의 모(毛)특성상 실험군과 대조군을 동일인으로 하여 우측 눈의 눈썹을 사포닌군(Astragaloside 0.5% 첨가), 좌측 눈의 눈썹을 대조군(Astragaloside를 무첨가)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조군에서는 눈썹 길이 및 눈썹의 굵기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Astragaloside 0.5% 첨가한 사포닌군에서는 눈썹의 길이, 눈썹 모근과 눈썹 중간 굵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인 사용성 평가, 제품성 평가, 만족감 평가 결과는 사포닌 성분 Astragaloside의 사용성이나 제품성에 있어서 적합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눈썹의 숱이나 길이 감소로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황기의 사포닌 성분인 Astragaloside를 첨가한 모영양제 화장품 도포는 눈썹 성장을 개선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제품 개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주에서 작물 생산을 위한 공학적 접근 (Engineering Approach to Crop Production in Space)

  • 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8-231
    • /
    • 2005
  • 본고에서는 우주에서 장기간에 걸쳐 임무를 수행하는 인간의 생명지원을 목적으로 CELSS를 이용한 식물생산, 물과 공기의 정화 및 재생, 폐기물 처리 등을 위한 공학적 접근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공학적 접근에는 미소중력 또는 저압과 같은 우주 환경에 적용 가능한 폐쇄형 식물생산 시스템, 물질 순환, 물의 재생, 폐기물의 처리, 미량 유해가스의 제거, 조명, 배양액의 공급 등이 포함된다. 우주에서 재배 가능한 작물의 선택 기준으로 높은 생산성, 식용성, 소화성, 조리성, 자동화 가능성, 짧은 줄기, 높은 증산속도 등이 제기되고 있다. 화성 표면에서의 낮은 압력은 작물 생산용 온실을 설계할 때 주요 장애물에 해당한다. 때문에 저압하에서 식물 재배가 가능한 팽창식 온실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팽창식 온실의 구조, 내부 압력, 자재, 조명 방식, 방사선 차폐 등은 주요 설계 인자에 해당한다. 팽창식 온실 내의 낮은 압력은 구조물의 질량과 가스의 누출속도를 줄일 수 있다. 저압 조건에서는 증산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식물의 수분요구도가 높게 나타난다. 증산 또는 수경재배시스템으로부터의 증발에 의해서 수분이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증기압이 증가한다. 저압 조건에 있는 폐쇄계에서는 증기압의 변화가 전체 압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저압 조건의 수경재배시스템은 누수로 인하여 기화되는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고도로 밀폐되어야 한다. 또한 저압으로 유지되는 온실내의 상대습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제어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향후 폐쇄생태계 생명유지 시스템의 핵심 기술은 우주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사막, 극지방 또는 해저와 같은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도 생명 지원을 가능케 할 것이다.

대기오염이 삼림에 미치는 영향 : 피해현황과 원인을 중심으로 (Impa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s : A Summary of Current Situations)

  • ;손요환;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29-238
    • /
    • 1994
  • 세계 여러지역에서 임목생장과 활력감소가 커다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 논문은 북미, 유럽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삼림피해에 관해 현재까지 알려진 바를 요약하고 있다. 오염원 주변에서의 삼림쇠퇴는 상당히 오랫동안 인지되어 왔으나, 오염원으로부터 먼거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피해를 준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북미지역의 경우, Los Angeles와 Mexico City 주변에서 고농도의 오존으로 인해 삼림쇠퇴가 일어나고 있고, 미국 동부의 고산지대에서는 강산성의 안개에 의한 가문비나무의 내동성 감소로 피해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독일가문비나무가 Mg 결핍과 N 과다공급이 원인이 되어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지역적으로 삼림쇠퇴현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임분생장량이나 현존 biomass가 1970년에 비해 1990년에 증가되었다. 동아시아의 경우, 이에 관한 연구가 초기단계에 있는 바, 중국의 여러 공업지대에서 강산성 강우현상을 보이고 삼림쇠퇴의 주원인이 대기오염일 것으로 사료되는 예가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의 대도시와 공단주변에서 대기오염에 의한 삼림피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온대림에서 광범위한 삼림쇠퇴 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삼림쇠퇴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기 쉽지 않다. 대면적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삼림피해에 대비하는 계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

  • PDF

벼 이삭마름병 발병시기와 정도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velopment Time and Severity of Rice Ear Blight on Rice Yield and Quality)

  • 심홍식;홍성준;홍성기;김용기;예완해;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12권1호
    • /
    • pp.5-9
    • /
    • 2006
  • 일미벼는 착색정도가 심할수록 완전미 비율이 낮아지고, 변색미, 사미, 청미, 쇄미의 비율이 높아지며, 착색정도가 심할수록 현미의 진균 오염정도가 높았으며, 진균종류도 다양하였으며, 출수 직전과 출수시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주당 수량은 무처리 대비 큰 차이는 없었으며, A. alternata, A. padwickii, N. oryzae는 출수 직전에, B. oryzae와 C. lunata는 출수시 접종할 경우 발병이 높았다. 출수 직전 병원균 접종시 N. oryzae가 현미의 완전미 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출수시 병원균 접종시에는 A. alternata가 현미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발병정도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편이나, 병원균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발병율은 매우 높아지고 품질도 저하되었다.

임상이 다른 3개 산림소유역의 장기 증발산량과 유출량의 변화 (Variations of Annual Evapotranspiration nnd Discharge in Three Different Forest-Type Catchments, Gyeonggido, South Korea)

  • 김경하;정용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4-182
    • /
    • 2006
  • 이 연구는 임분구조가 다른 3가지 임상에서 장기 증발산량과 유출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증발산량, 첨두유출량 및 유출량에 미치는 장기 임상변화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지는 경기도 광릉에 소재한 국립산림과학원 유역수문시험지로서 인공침엽수 유령림과 천연활엽수 장령림 그리고 경기도 양주에 소재한 혼효 사방복구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문자료는 1982년부터 1999년까지 양수댐에서 측정한 유출량과 강수량을 분석하여 각 시험지별로 약 110개의 홍수수 문곡선을 선별한 후 첨두유출량과 그 시점까지의 강수량 합계를 분석하였다. 강수량과 유출량의 관계로부터 증발산량을 추정한 결과, 증발산량은 인공침엽수 유령림에서 679mm, 천연활엽수 장령림에서 580mm이었으며 혼효 사방복구림에서는 368mm이었다. 또한, 유역의 유출량조절효과를 보여주는 유출량-지속기간 곡선에 대한 분석 결과, 임상이 가장 불량한 혼효 사방복구림에서 곡선의 기울기가 가장 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림이 생장함에 따라 그 기울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수량과 첨두유출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공침엽수 유령림과 혼효 사방복구림의 경우 각각 강수량 100mm 및 50mm에서 첨두유출량의 증가율이 높아지는 역치값을 보이는 반면에 천연활엽수 장령림은 200mm로 나타났다. 장기간에 걸친 홍수수 문곡선의 비교 결과, 인공침엽수 유령림에서는 10년이 경과한 후 첨두유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이 생장함에 따라 홍수유출조절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