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absorption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3초

품종별 국내산 토란 분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Nutrient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aro Flours According to Cultivars)

  • 문지혜;김로사;최희돈;김윤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13-6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토란 품종인 알토란, 조생종 및 재래종 토란분말의 영양성분과 이화학적 특성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토란 가공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세 품종 토란의 수분이 5.74-10.30%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알토란은 조단백이 11.41%, 조지방이 2.3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분은 재래종 토란이 6.92%로 높게 나타났다. 토란은 총 17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알토란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가 30%를 차지하며,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란의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46.5-51.4%), palmitic acid(21.7-25.8%) 및 oleic acid(12.3-18.7%)이었으며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무기질은 알토란, 조생종, 재래종 세 품종 모두 칼륨, 인, 마그네슘 및 칼슘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알토란과 조생종의 칼륨함량은 전체 무기질 함량에 대해 약 83%정도를 함유하고 있었다. 토란의 주요 당 성분은 glucose, fructose 및 sucrose이었으며 알토란이 다른 품종에 비해 유리당 함량이 높았다. 전분함량은 조생종 토란이, 식이섬유 함량은 알토란이 높았으며 비타민 C의 경우 재래종이 높게 함유하고 있었다. 수분 흡수지수는 재래종 토란이 4.12로 상당히 높았으며, 수분용해지수는 알토란이 31.0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DSC에 의한 품종별 토란분말의 호화개시온도는 알토란과 조생종 토란분말에 비해 재래종 토란분말이 낮게 나타났다. 호화최대온도도 호화개시온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화엔탈피는 알토란이 7.59 J/g이고, 조생종이 7.06 J/g인 것에 비해 재래종은 각각 10.28 J/g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토란분말의 RVA 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 $46.77-49.30^{\circ}C$의 범위로 나타났다. 알토란에 비해 조생종과 재래종은 유의적으로 높은 최고 점도와 최종 점도를 나타내었다. 토란전분은 $95^{\circ}C$ holding 하는 동안에도 점도가 상승하여 최고 점도에 이르는 graph의 경향을 보였다. 분말의 백색도인 L값은 알토란, 조생종, 재래종이 각각 92.76, 93.75, 92.68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적색도는 모두 낮았으며 황색도는 재래종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세 품종 중 알토란의 경우 식이섬유, 무기질, 필수아미노산, 유리당 등의 영양성분이 상당히 높게 함유되어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들 세 품종의 토란분말은 호화 개시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알토란은 높은 수분용해성을 가지며 재래종 및 조생종의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이들의 분말 특성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비스킷 등의 첨가제 및 선식 등의 분말 가공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ED 광원이 상추의 생육 및 무기물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on Growth and Mineral Absorp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Lollo Rosa'))

  • 신용습;이문중;이은숙;안준형;임재하;김하중;박후원;엄영철;박소득;채장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0-185
    • /
    • 2012
  • 식물공장 내 적색광, 청색광, 적청 혼합광, 자외선, 적외선, 형광등의 광원을 달리하여 어린잎 상추의 생육과 무기성분 흡수를 검토하였다. 잎의 형태는 Red 파장에서 초장 및 하배축의 길이신장이 촉진되어 도장하였고 Far red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였으나 Red + Blue의 혼합광원에서는 초장이 짧고 엽수가 많고 생체중이 증가하여 상추의 형태 및 발달 차원에서 유의적으로 좋았다. 광질에 따른 어린잎 상추의 색차 및 상대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Red + Blue 혼합광 및 형광등에서 높았고 적색광 및 자외선에서는 낮게 나타났는데 상대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도 같은 경향이었다. 특히 상대엽록소 함량은 형광등의 10.5에 비해 혼합광에서 1.8배 향상된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광원별 상추의 무기물 함량을 조사한 결과, pH 및 K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N, Ca, Mg, Mn, Fe, Ascorbic acid 함량은 LED 처리구에서 많았고 P 및 Mn 함량은 형광등 처리구에서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단색광에 비하여 Red + Blue 혼합광에서 상추의 생육이 우수하고 무기물 함량이 증대되어 식물공장 내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혼합광 조절로 상품성 있는 고품질의 상추 생산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Effect of Molasses or Rice Gruel Inclusion to Urea Supplemented Rice Straw on Its Intake, Nutrient Digestibilities, Microbial N Yield, N Balance and Growth Rate of Native (Bas indicus) Growing Bulls

  • Chowdhury, S.A.;Huque, K.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45-151
    • /
    • 1998
  • The possibility of using rice gruel compared to that of the cane molasses as a source of readily fermentable energy for a urea supplemented straw diet has been studied. Twelve native growing bulls of $237{\pm}8.7kg $ live weight and months old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treatments fed solely rice straw enriched with : (1) 3% urea (US), (2) 3% urea + 15% molasses (UMS) and (3) 3% urea + 30% rice gruel (UGS). The feeding trial continued for sixty days. Organic matter (OM) intake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the UMS ( $64g/kg\;W^{0.75}/d$) followed by UGS ($53g/kg\;W^{0.75}/d$) and US ($49g/kg\;W^{0.75}/d$). Estimated (from digestible OM intake) metabolizable energy (ME) intake were 396, 348 and $301kJ/kg\;W^{0.75}/d$ for UMS, UGS and US respectively. The maintenance (i.e., no change in live weight) ME intake calculated to be $308{\pm}7.4kJ/kg\;W^{0.75}/d$. Urinary purine derivatives excretion was nonsignificantly higher in the UMS (51.73 mmol/d), followed by UGS (42.53 mmol/d) and US (35.26 mmol/d). The estimated microbial N (MN) yield were 21.10, 14.00 and 11.60 g/d for UMS, UGS and US respectively. For each MJ increase in ME intade, MN yield increased by $1.29{\pm}0.134g$. Observed live weight chang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292, 125 and -19 g/d respectively for UMS, UGS and US. It was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readily fermentable N (urea) alone was not enough to optimize the rumen function and a source of readily fermentable energy was required. Rice gruel was less effective than molasses as fermentable energy source to remove a restriction on voluntary intake and provide less amino acids of microbial origin for absorption from the small intestine, Thus more substrate for protein synthesis and gluconeogenesis were available for growth in the molasses than the rice gruel supplemented animals. However, in situation where molasses is not available or costly, rice gruel does appear to have a place as readily fermentable energy source on a urea supplemented straw diet.

The Bacillus subtilis and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s Influences Intestinal Mucin Gene Expression, Histomorphology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Aliakbarpour, H.R.;Chamani, Mohammad;Rahimi, G.;Sadeghi, A.A.;Qujeq,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285-1293
    • /
    • 2012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mmercial monostrain and multistrain probiotics in diets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orphology and mucin gene (MUC2) expression in broiler chicks. Three hundred seventy-eight 1-d-old male Arian broiler chicks were allocated in 3 experimental groups for 6 wk. The birds were fed on a corn-soybean based diet and depending on the addition were labeled as follows: control-unsupplemented (C), birds supple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BS)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based probiotics. Each treatment had 6 replicates of 21 broilers each. Treatment effects on body weigh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and biomarkers such as intestinal goblet cell density, villus length, villus width, and mucin gene expression were determined. Total feed intak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birds and those fed a diet with probiotics (p>0.05).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were found. Final body weight at 42 d of age was higher in birds fed a diet with probiotics compared to those fed a diet without probiotic (p<0.05). Inclusion of Bacillus subtilis based probiotic in the diet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feed conversion rate (FCR) compared with control birds (p<0.05). No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were observed in birds fed different types of probiotic supplemented diets. Inclusion of lactic acid bacteria based probiotic in the diets significantly increased goblet cell number and villus length (p<0.05). Furthermore, diets with Bacillus subtilis based probiotics significantly increased gene expression (p<0.05), with higher intestinal MUC2 mRNA in birds fed diet with probiotics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trol diet. In BS and LAB probiotic fed chicks, higher growth performance may be related to higher expression of the MUC2 gene in goblet cells and/or morphological change of small intestinal tract. The higher synthesis of the mucin gene after probiotic administration may positively affect bacterial interactions in the intestinal digestive tract, intestinal mucosal cell proliferation and consequently efficient nutrient absorption.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질환과 검출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Associated Diseases and Detection)

  • 권선영;장인호;이기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1-167
    • /
    • 2015
  • 정상인에서 장내세균은 숙주의 면역이나 영양 흡수를 돕지만, 때로는 기회감염균으로서 그들을 위협하기도 한다. 그 중 절대 혐기성 세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분비되는 장독소(enterotoxin)인 Bacteroides fragilis toxin (BFT)의 유무에 따라 non-enterotoxigenic B. fragilis (NTBF)와 enterotoxigenic B. fragilis (ETBF)로 나뉜다. ETBF는 가축 및 사람에서 설사 질환 및 대장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때때로 ETBF를 가지고 있으나 증상이 없는 사람도 존재한다. ETBF는 염증성 설사 질환, 여행자 설사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되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몇몇 연구를 통해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나 대장염 및 대장암 환자에서 ETBF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 C57BL/6 마우스 및 germ-free 마우스,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in) 마우스, 토끼, Mongolian gerbil 등 여러 동물 모델에서 ETBF가 IBD나 대장염, 대장암을 유발 또는 촉진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 ETBF의 유일한 병원성 인자인 BFT는 E-cadherin의 분절을 유도하여 장상피 세포의 투과성을 높인다. 이어서 ${\beta}$-catenin 신호전달계가 활성화하여 장상피세포의 증식이 증가한다. 또한 ETBF의 감염은 일반 마우스에서 급성이나 만성의 대장염을 일으키고 Min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을 촉진한다. 이는 Stat3에 의존한 $T_H17$ 면역반응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난다. 현재 ETBF의 검출 방법에는 크게 BFT toxin assay와 몇 가지 PCR 방법이 있다. 최근 real-time PCR과 같은 분자진단학적 기법의 발달로 일반적인 PCR보다 더 정확한 ETBF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앞으로 실제 임상에서 ETBF와 대장염 및 대장암의 발달 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

홍국 발효액종이 식빵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Broth Cultured with Red Koji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 김영은;백현동;김수영;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5-239
    • /
    • 2011
  • 홍국 배아미 5%와 10% 벌꿀용액으로 제조한 홍국 발효액종을 10-40% 첨가하여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으로 falling number, RVA(rapid visco analyzer), farinograph, alveograph 등을 분석하였다. 홍국 발효액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falling number 값이 낮아졌으며 10% 첨가시 $363{\pm}7.8s$, 20% 첨가시 $318{\pm}2.1s$이었다. 호화도 특성에서 홍국 발효액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초기점도 온도와 breakdown은 상승하였고, 최고점도와 set-back값은 낮아졌다. Farinograph에서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흡수율은 64.3-65.0%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반죽형성시간은 발효액종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빨라졌고, 안정도는 저하되어 20% 첨가시는 9.3 min, 40% 첨가시는 3.0 min이었으며 약화도도 빨라졌다. Alveograph에서 $P_{max}(mm)$는 대조구가 158.0 mm이었으나 발효액종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40% 첨가시 190.0 mm이었다. 그러나 L, G, W 등의 값은 낮아졌다. 이상의 실험으로 홍국 발효액종을 20% 첨가까지는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인 제빵적성에 영향이 적어 빵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지역 복숭아 과수원 토양 화학성 및 복숭아 엽의 양분함량 조사 (Soil Chemical Properties of Peach Orchard and Nutrient Content of Peach Leaves In Gyeongbuk Area)

  • 서영진;김종수;김재규;조제욱;권태영;이재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5-184
    • /
    • 2002
  • 복숭아 주산지역인 청도, 영덕, 영천지역 60개 과원을 대상으로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엽중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표토의 pH는 평균 4.8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 치환성 칼슘함량은 $3.66cmol^+kg^{-1}$, 석회 요구량은 $3,970kg\;ha^{-1}$정도였다. 산간지 토양이 평야지에 비해 석회요구량이 많았고 치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며 양토에서 석회요구량이 가장 많았고 유효붕소함량은 양토와 사양토에서 높았다. 경작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심토의 유기물함량, 표토와 심토의 칼슘함량이 증가하였고 심토의 유효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복숭아 엽중 질소와 인산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높았고 칼슘함량은 적정범위에 비해 낮았으며 유명, 창방조생등의 품종이 천홍, 선광등 nectarine 계통에 비해 칼륨함량이 높았다. 토양 유기물함량과 식물체의 칼륨함량과 정의 상관,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치환성 마그네슘함량과 식물체의 칼슘함량과는 부의 상관, 마그네슘함량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따라서 경북지역 복숭아 과원은 토양산도의 교정, 퇴비, 질소 및 인산질 비료의 사용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답전윤환형태별(畓田輪換形態別)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 수도생산성(水稻生産性)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Yield)

  • 안상배;본송휘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1-188
    • /
    • 1993
  • 석천미사질(石泉微砂質) 양토(壤土)에서 윤환형태(輪換形態) 및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연차간(年次間) 토양질소(土壤窒素)의 무기화(無機化) 양상(樣相),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및 인산(燐酸)의 변동(變動) 및 수도수량(水稻收量)과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과의 관계를 검토(檢討)한 몇가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긍온담수(恆溫湛水) 토양(土壤)에서 '90~'93년(年) 4년간(年間)의 4주(週) 및 10주(週)째의 질소무기화량(窒素無機化量)과 가급태(可給態)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보다 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 및 2연윤환구(年輪換區)에서, 대두구(大豆區)보다 감자-배추구(區)에서 많았다. 2. 토양(土壤)중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및 유효인산(有效燐酸)의 연차간(年次間) 변동(變動)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윤환구간(輪換區間)에서는 전전환구(田轉換區)>2연윤환구(年輪換區)>매년윤환구(每年輪換區)의 순(順)으로 감소되었으며 작물(作物)간에는 감자-배추구(區)보다 대두구(大豆區)에서 감소폭(減少幅)이 컸다. 3. 정조수량(正租收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하여 감자-배추구(區) 및 대두구(大豆區)에서 3개년(個年) 동안 26~20%, 17~5%, 5~4% 증수(增收)되었는데 윤환년수(輪換年數)가 길수록 수량증수율(收量增收率)이 적었다. 4. 3년간(年間)('90~92년)의 수확기(收穫期) 수도(水稻) 식물체(植物體)중 모든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은 수도(水稻) 연작구(連作區)보다 매년(每年) 윤환구(輪換區) 및 2년윤환구(年輪換區)에서, 대두구(大豆區)보다 감자-배추구(區)에서 흡수량(吸收量)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 PDF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nd nitrogen balance with various feeding levels of oil palm fronds treated with Lentinus sajor-caju in goats

  • Hamchara, Puwadon;Chanjula, Pin;Cherdthong, Anusorn;Wanapat, Met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0호
    • /
    • pp.1619-1626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vels of fungal (Lentinus sajor-caju) treated oil palm fronds (FTOPF) on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and nitrogen balance in goats. Methods: Four 16 month old male crossbred (Thai Native${\times}$Anglo Nubian) goats with initial body weights of $33.5{\pm}1.7kg$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Four levels of FTOPF were assigned for feed intake. The experimental treatments consisted of 0%, 33%, 67%, and 100% of oil palm fronds (OPF) being replaced by FTOPF.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otal dry matter intake and nutrient intake were not influenced (p>0.05) by the inclusion of FTOPF. However, the efficiency values of the digestibility of the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lignin on FTOPF were higher (p<0.05) in treatments with 33%, 67%, and 100% of FTOPF compared with 0% of FTOPF. FTOPF feeding did not change the rumen pH, temperature, and $NH_3-N$. However, the FTOPF levels did affect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molar proportion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ratio of acetic (propionic acid and acetic) plus butyric (propionic acid), and production of $CH_4$. The totals of VFA and propionate was lower in goat fed with 0% of FTOPF than i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amount of nitrogen retention based on g/d/animal or the percentage of nitrogen retained was the lowest the goat fed with 0% of FTOPF (p<0.05), whereas nitrogen intake, excretion, and absorption were not changed among treatments.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FTOPF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roughage source in total mixed ration diets, constituting at least up to 100% of OPF.

시판 넙치용 배합사료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Extruded Pellet Diet for 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 지승철;문경수;유진형;이시우;김홍범;정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91-297
    • /
    • 2005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of commercial extruded pellet (EP) diet of five companies (A, B, C, D and E) for 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by biochemical analyses, physical properties and growth performance. The proximate analyses of five EP diets showed $3.2-10.0\%$ of moisture, $49.3-55.5\%$ of crude protein, $4.6-14.7\%$ of crude lipid, $7.0-13.8\%$ of crude ash, $0.7-10.5\%$ of crude fiber, $10.0-27.3\%$ of itrogen free extract (NFE), 304.3-395.4kcal/100g of digestible energy (DE) and 6.1-7.1 of calorie/protein ratio (C/P). Peroxide value (POV) was highest in diet D (47.4 meq/kg) as compared to other diets which in the range of 4.0-11.7 meq/kg.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ranged from 46.54 to $55.46\%$ with the highest content in diet B and the lowest content in diet C. Essential amino acid of diet C was lowest $(7.43\%)$ as compared to other diets which in the range of $19.43-20.30\%$.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in diet A $(37.65\%)$ followed by diet B $(36.32\%)$, diet E$(34.39\%)$, diet C$(30.95\%)$ and diet D$(30.10\%)$. EPA+DHA were highest in diet E$(30.78\%)$ and lowest in diet C$(15.48\%)$. The floating rate after 6 hours on the sea water was highest in diet C$(100\%)$ followed by diet B$(40\%)$ and A$(10\%)$. However, diets D and E were completely settled down after 1 and 2 hours, respectively. The range of relative expansion rate was $27.2-49.3\%$ for all diets and all reached the peak at 2-3 hours. The water absorption rate of diets C and D was lowest, and diet E was highest at 1 hour after deposition of sea water. Growth rate was higher in diet B$(22.3\%)$ and E$(21.3\%)$. Feed efficiency was higher in diet A$(109.7\%)$ and E$(105.3\%)$ and was significantly lowest in diet D$(80.7\%)$.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was highest in diet E (2.72) and lowest in diet D (1.7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improvement of nutrients balance and feed physical properties to fulfill the nutrient requirements and digestive characteristics of fishes in commercial EP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