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Solution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on Oil-Contaminated Sand in Intertidal Zone

  • Oh, Young-Sook;Sim, Doo-Suep;Kim, Sa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37-443
    • /
    • 2003
  • Bioremediation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microcosms, simulating an oil spill in a lower intertidal area. Three treatments (oil only, oil plus nutrients, and oil plus nutrients and microbial inocula) were applied, and each microcosm was repeatedly filled and eluted with seawater every 12 h to simulate tidal cycles. To minimize washing-out of the inoculum by the tidal cycles, microbial cells were primarily immobilized on diatomaceous earth before they were applied to the oiled sand. Oil degradation was monitored by gravimetric measurements, thin layer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TLC/FID)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and the loss of oil content was normalized to sand mass or nor-hopane. When the data were normalized to sand mass, no consiste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nutrient-amended and nutrient/inoculum-amended microcosms, although both differed from the oil-only microcosm in respect of oil removal rate by a factor of 4 to 14. However, the data relative to nor-hopane showed a significant treatment difference between the nutrient-amended and nutrient/inoculum-treated microcosms, especially in the early phase of the treatment. The accelerating effect of inoculum treatment has hardly been reported in studies of oil bioremediation in the Tower intertidal area. The inoculum immobilized on diatomaceous earth seemed to be a very effective formulation for retaining microbial cells in association with the sand.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interpret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could be dependent on the selection of monitoring methods, and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in combination could be a solu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il bioremediation monitoring.

Polyacrylic Acid Sodium Salt를 혼합한 세 종류 상토에 용과린의 시비 수준이 포트멈 'Lima Honey'의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cation Rate of Fused Superphosphate in Three Media Containing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on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 최종명;왕현진;최택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34
    • /
    • 200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lant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of potted chrysanthemum 'Lima Honey' as influenced by application rate of fused superphosphate (FSSP) in three root media, peatmoss+vermiculite (1:1, v/v; PV), peatmoss+composted rice hall (1:1, v/v; PR), and peatmoss+composted pine bark (1:1, v/v; PB). All root media contained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at a rate of $4.5g L^{-1}$. The treatment of $1.4g L^{-1}$ in PV and those of $0.7g L^{-1}$ in PR and PB had the greatest fresh and dry weights in each root medium at both 43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FSPP increased tissue contents of N, P, and K at both 43 and 8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PV medium. However, the differences in tissue contents of N, P and K in PR medium were less significant among treatments of FSPP. The pre-planting FSPP also less affected the tissue contents of nutrients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as compared to those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Elevated application rates of FSPP in PV medium increased EC and the concentrations of $NO_3,\;P_2O_5$, K, Ca, and Mg in soil solution of root media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EC in PV medium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higher than that at 43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EC in all root media at 8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of FSPP.

구연산과 아염소산나트륨 혼합물이 육계 넓적다리 표면의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tric Acid and Sodium Chlorite Mixtures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Broiler Thigh Surface)

  • 김태현;이영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4-49
    • /
    • 2002
  • 구연산과 아염소산나트(NaClO$_2$)이 0:100, 25:75, 50:50, 75:25와 100:0(w:w)의 비율로 된 혼합물이 육계 넓적다리 표면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접종된 nutrient broth에 각각의 혼합물을 0, 100, 200과 500 ppm(w/v) 넣어 4~5$^{\circ}C$에서 배양한 후 흡광도와 호기성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선택된 혼합물 용액에 넓적다리를 침지한 후 냉장 저장(4~5$^{\circ}C$)하여 호기성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구연산과 아염소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첨가한 nutrient broth 흡광도는 100:0의 200 및 500 ppm(w/v)의 처리 직후를 제외하고 저장 기간 동안 모든 비율 및 농도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0.05). 그리고 첨가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흡광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boron nutrition on American ginseng in field and in nutrient cultures

  • Proctor, John T.A.;Shelp, Barry J.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73-77
    • /
    • 2014
  • Field and nutrient cultures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were used to establish foliar symptoms related to boron (B) concentration in leaves and soils, and to evaluate radish as a time-saving model system for B nutrition. Application of excess B, 8 kg/ha versus the recommended 1.5 kg/ha, to field plantings of 2-, 3-, and 4-yr-old American ginseng plants just prior to crop emergence caused, within 4 wk after crop emergence, leaf symptoms of chlorosis followed by necrosis starting at the tips and progressing along the margins. The B concentration in leaves of 2-4-yr-old plants receiving 1.5 kg/ha Bwas $30{\mu}g/g$ dry mass compared to $460{\mu}g/g$ dry mass where 8 kg/ha B was applied. Similarly, B concentration in soils receiving the lower B concentration was 1.8 mg/g dry mass and $2.2-2.8{\mu}g/g$ dry mass where the higher B concentration was applied. Application of 8 kg/ha B reduced the dry yield of 3rd-yr roots by 20% from 2745 kg/ha to 2196 kg/ha and 4th-yr roots by 26% from 4130 kg/ha to 3071 kg/ha. Ginseng seedlings and radish were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nutrient culture with four B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 mg/L to 10 mg/L. At 5 mg/L and 10 mg/L ginseng and radish developed typical leaf B toxicity symptoms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field-grown plants. Increasing B in the nutrient solution from 0.5 mg/L to 10 mg/L decreased, in a linear fashion, the root and leaf dry mass of ginseng, but not radish. Given the many similarities of ginseng and radish to B utilization, radish might be used as a timesaving model system for the study of B, and other micronutrients, in the slow-growing perennial ginseng.

직파(直播)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에 관한 연구(硏究) - I. 약해(藥害)의 변동(變動) 요인(要因)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I. Variation Factors of Phytotoxicity)

  • 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2-300
    • /
    • 1996
  • 벼 담수직파시 제초제에 의한 약해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온도, 용액의 pH, 수심, 토성 및 영양(營養)의 유무(有無) 등의 조건하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20/$11^{\circ}C$에서 30/22$^{\circ}C$에서보다 벼 생육 억제 정도가 컸으며, 특히 근부(根部)에서 현저히 컸다. Dimepiperate 및 molinate 처리는 저온 (20/$11^{\circ}C$) 고온(30/$22^{\circ}C$) 에서 생육억제 정도가 컸으며 경엽부(莖葉部)에서 현저하였다. 2.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는 bensulfuron methyl 처리에서, 영양(營養)조건 에서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3. pH3.5, 5.5, 7.5 및 9.5 용액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 벼 생육은 pH3.5 및 5.5의 낮은 pH에서 저조하였으며, 무처리 대비한 생육 억제정도는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pH5.5 및 7.5에서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pH7.5 및 pH9.5에서 낮았다. 4. 수심 6cm의 심수조건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는 근부(根部)의 생육이, dimepiperate 및 molin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dimepiperate처리는 9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pyrazosulfuron-ethyl+molinate의 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 처리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정도가 컸다. 5.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무비구는 식양토에서, 시비구는 사양토에서 생육저해 정도가 컸으며,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사양토에서 생육이 저조한 경향이었다.

  • PDF

분무경 시스템에서 팔레놉시스 유묘 생육에 적합한 분무간격 (Optimum Irrigation Interval for the Growth of Phalaenopsis Hybrid Seedling in the Aeroponic System)

  • 이동수;권오근;이용범;예병우;이영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4-239
    • /
    • 2010
  • 분무경시스템에서 분무간격과 분무시간은 식물의 생육어l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이다. 이 실험은 분무경에서 분무간격이 팔레놉시스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배지 없이 뿌리가 나출된 생체중 16g 크기의 유묘를 사용하였다. 분무간격은 각각 10, 20, 30, 40, 50분 간격이었으며, 분무시간은 10분이었다. 총생체중, 총건물중, 분지된 뿌리수와 상대생장률은 20분과 30분 간격에서 10분, 40분, 50분 간격보다 높았다. 특히, 뿌리의 생체중은 30분 간격에서 기장 높았다. 엽장은 30분 간격에서 길었으나, 엽폭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10분 간격 처리에서 유묘 한 개체가 30일간 소비한 물량은 0.71L였으며, 분무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양은 감소하였다. 15일간 소비된 양분은 칼륨이외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칼륨은 30분 간격에서 가장 많이 흡수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분무경 시스템에서 팔레놉시스 유묘 생산을 위한 적정 분무간격은 30분이었다.

식물공장에서 양액의 종류 및 PPFD가 배초향의 생장 및 항산화 물질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Nutrient Solution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for Growth and Accumulation of Antioxidant in Agastache rugosa under Hydroponic Culture Systems)

  • 김성진;복권정;푸동람;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9-257
    • /
    • 2017
  • 배초향은 항동맥경화나 항박테리아의 특성을 가지는 한약재에 널리 사용되는 영년생 약용식물이다. 연구의 목적은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종류와 PPFD값에 따른 배초향의 생장 및 항산화 물질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배초향은 주야간 16:8 시간의 일장조건에서 150과 $200{\mu}mol{\cdot}m^{-2}{\cdot}s^{-1}$ PPFD 조건과 일본원시(HES), 서울시립대(UOS), 유럽채소연구소(EVR), 오오츠카 배양액(OTS)을 이용하여 6주간 재배하였다. OTS 배양액조건에서 자란 배초향의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은 다른 배양액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배초향의 틸리아닌 함량은 OTS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EVR, HES, UOS 순서로 낮아졌다. 총 아카세틴의 함량은 EVR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OTS처리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200{\mu}mol{\cdot}m^{-2}{\cdot}s^{-1}$ PPFD 조건에서 자란 배초향은 PPFD 150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며 기능성 물질은 틸리아닌과 아카세틴의 함량도 높았다. 본 연구는 수경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식물공장에서 배초향을 재배할 경우 $200{\mu}mol{\cdot}m^{-2}{\cdot}s^{-1}$ PPFD 조건과 OTS 배양액 조건에서 경제적인 광원조건으로 최적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틸라아닌과 아카세틴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무기영양액 농도 차이가 오이 생육, 무기성분 흡수 및 탄수화물 합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trient Supply on Growth, Mineral Nutrients and Carbohydrates in Cucumber (Cucumis sativus L.))

  • 성좌경;박성용;이수연;이예진;이주영;장병춘;고현관;옥용식;김태완;송범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3-89
    • /
    • 2010
  • 오이의 부위별 생체분석을 통하여 영양진단 가능성을 검토코자, 무기영양액의 양분농도가 결핍된 조건(1/10 Ross 용액) 하에서 오이의 생육, 무기성분의 흡수 및 탄수화물 합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양분결핍에 의한 오이 생육저해는 처리 후 20일에 나타났다. 양분결핍조건에서 질산태 질소의 흡수는 정상조건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질산태 질소함량은 잎보다 엽병과 줄기에서 높았다. 반면, 암모늄태 질소함량은 생장엽병 및 생장엽에서 뿌리보다 높았다. 양분결핍에 의한 칼리 부족은 생장엽에서 나타났다. 칼슘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로 엽병에 분포하였다. 마그네슘은 줄기나 뿌리보다는 잎에 다량 존재하였으며, 나트륨은 칼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함량은 매우 낮았다. 이산화탄소 동화율은 정상 양분조건의 완전생장엽에서 가장 높았으며, 양분결핍조건과 비교할 때 약 1.7배 컸다. 수분이용효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 양분조건에서 약간 높았다. 수용성 당 함량은 잎에서 가장 높았고, 엽병, 줄기 및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오래된 조직보다는 어린 조직에서 높았다. 정상 양분조건의 생장엽에서 측정된 수용성 당 함량은 약 7,200 mg $kg^{-1}$ 이었다. 무기성분과 수용성 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마그네슘과 암모늄태 질소가 수용성 당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공성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영양물질 제거 (Biological Nutrient Removal using Porous Media)

  • 조창식;이상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237-243
    • /
    • 2013
  • 하 폐수내 질소제거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다공성담체를 이용한 $A^2/O$ 변형공법을 개발하고, 유량조절을 통한 최적 질소제거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담체를 충진 시킨 탈질 반응조내에서의 탈질 효율은 94-97%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체류시간이 짧을 경우 탈질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반응조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체류시간은 6시간 정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탈질 반응조에 부착시킨 결과 탈질률은 9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탈질에 필요한 탄소원의 공급은 유입수와 동시에 주입하고, 질산성 질소가 탈질 반응조에서 탈질이 되고, 그에 따른 유기물과 암모니아의 농도는 탈질반응조내에서 2:1로 희석이 될 때, 반응조내의 질산성 질소의 농도는 1/3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입수와 질산성 질소의 1:1 유입될 때, 탈질 반응조내에서의 1:1로 희석이 될 경우, 반응조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1/2로 줄어들었고, 1:2의 유입수와 질산성 질소의 대비일 경우에는 62% 정도의 제거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질소 제거효율은 질산성질소의 유입을 유입수에 대비하여 높여줄 경우 질소제거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향' 딸기의 마그네슘 영양진단을 위한 결핍증상 및 식물체 내 한계농도 (Characterization of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Critical Concentrati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Maehyang' Strawberry (Fragaria$\times$ananassa Duch.) as Influenced by Magnesium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정석기;윤무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8-245
    • /
    • 2008
  •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sim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sim40mg{\cdot}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