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공성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영양물질 제거

Biological Nutrient Removal using Porous Media

  • 조창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이상혁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투고 : 2013.04.29
  • 심사 : 2013.05.20
  • 발행 : 2013.05.31

초록

하 폐수내 질소제거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다공성담체를 이용한 $A^2/O$ 변형공법을 개발하고, 유량조절을 통한 최적 질소제거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담체를 충진 시킨 탈질 반응조내에서의 탈질 효율은 94-97%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체류시간이 짧을 경우 탈질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반응조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체류시간은 6시간 정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탈질 반응조에 부착시킨 결과 탈질률은 9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탈질에 필요한 탄소원의 공급은 유입수와 동시에 주입하고, 질산성 질소가 탈질 반응조에서 탈질이 되고, 그에 따른 유기물과 암모니아의 농도는 탈질반응조내에서 2:1로 희석이 될 때, 반응조내의 질산성 질소의 농도는 1/3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입수와 질산성 질소의 1:1 유입될 때, 탈질 반응조내에서의 1:1로 희석이 될 경우, 반응조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1/2로 줄어들었고, 1:2의 유입수와 질산성 질소의 대비일 경우에는 62% 정도의 제거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으로 볼 때, 질소 제거효율은 질산성질소의 유입을 유입수에 대비하여 높여줄 경우 질소제거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ified $A^2/O$ process is useful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nutrient in wastewater.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moval rate was evaluated at each time period, ie., 18h, 8h, 6h, and 3h after the reaction started. The anoxic rate was more than 94-97% from 18h to 6h but was less than 50% before 6h. Thus, the test of nitrification was done using 6h as the optimal anoxic retention time and the aerobic retention time set at 24h. When the flow change was 1:1, the average ammonia concentration inputted was $30mg/{\ell}$. Returned top nitric acid solu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solution falling into the anoxic reactor was about 50%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and the flow change was 1:2,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falling into the anoxic reactor was about 62% of that of influxed ammoni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itrogen removal rate can be improved by inputting untreated nitric acid and changing the flow of top nitrate solution using the modified $A^2/O$ meth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