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trient Balanc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초

Potential Feeding Value of Deoiled Rice Bran by Japanese Quails. 2. Effect on Nutrient Utilization

  • Bhanja, S.K.;Verma, S.V.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44-1148
    • /
    • 2001
  • The implications of incorporating deoiled rice bran (DORB) in diet on the utilization of certain nutrients had been examined through balance studies made with 6- and 10- week-old Japanese quails. The stuffs evaluated in this study had their origin from two different types of processes- a batch extraction (DORB-B) and another continuous process (DORB-C), and each included at 10, 20 or 30% level in an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diet. On chemical analyses, the DORB-B was found to contain crude protein, 19.0; ether extract, 0.79; total ash, 17.05; Ca, 0.11; P, 1.92; glucose, 2.35 and starch 11.22 g/100 g day matter. Corresponding values for DORB-C were 15.02, 1.56, 13.0, 0.40, 2.76, 2.16 and 19.0, respectively. The data on nutrient balances with quails fed diets containing the two-types of DORB suggested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per cent retention of diet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ether extract (EE), gross energy (GE), nitrogen (N), crude fiber (CF), calcium (Ca) or phosphorus (P) content attributable to the extraction process. The age of the birds also appeared to have no significant (p>0.05) effect on nutrient utilization by them. However, the level of inclusion of DORB had a significant (p<0.05) effect on nutrient utilization by quails in that the retention of dietary N, EE, CF, Ca and P was better at lower than at higher levels. It is concluded that the DORB, irrespective of extraction process, can safely be employed upto 20% level in diet of adult Japanese quails without noticeable interference in utilizing the major dietary nutrients.

Investigation of Hanwoo manure management and estimation of nutrient loading coefficients on land application

  • Won, Seunggun;You, Byung-Gu;Ra, Changsix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5호
    • /
    • pp.20.1-20.8
    • /
    • 2015
  • Backgroun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regulation about the limit of manure production, the status of manure management and the amount of nutrients in the compost discharged from Hanwoo breeding farm shall be known.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practical amount of nutrients (volatile solids, VS;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in manure, and compost samples collected from 40 Hanwoo breeding farms and the loss of the nutrients was calculated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which supports to develop nutrient loading coefficients (NLCs) for each nutrient. Results: Although the addition of bedding materials for composting caused the increase of the VS amount before composting, the comparison of VS, N, and P amounts in between manure and compost showed the lower VS by 4 % as well as T-N and T-P amounts by 69 and 40 %, respectively, of which values were corresponded with the NLCs of 0.96, 0.31, and 0.60 for VS, N, and P, respectively, based on the questionnaire, and sample analyses. Considering with the environmental impacts including land application from Hanwoo manure, P loss should be zero before and after composting. In this regard, nitrogen loss of 50 % occurs and VS was increased by 30 %. In addition, feasible cases for the calculations based on the notific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compared with this study.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NLCs from Hanwoo manure i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loss of nutrients in manure occurs during the composting or storing period. The mass balances of N and P from livestock manure to land application may be overestimated over the practical values. It is necessary to build up the database about each livestock category other than Hanwoo.

지역 양분관리를 위한 조사료 단지의 양분수지 개선효과 (Improvement of Nutrient Balance using Feed Crops for Regional Nutrient Management)

  • 양헌용;김정균;오병욱;서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9-95
    • /
    • 2020
  • 2015년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질소기준 양분수지가 1위로 양분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양분관리를 위해서는 축사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통하여 생산된 가축분뇨 퇴·액비를 농경지에 올바르게 살포하여 양분이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무기질 및 유기질 비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농경지에 대한 양분관리와도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분수지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양분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조사료의 생산을 통한 가축분뇨 퇴·액비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양분관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로 생산된 퇴·액비를 지역으로 다시 재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가축분뇨 액비만으로도 충분한 양의 조사료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으며, 농경지의 토양에서의 총 질소의 농도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소농도의 감소는 작물의 사용량 뿐 아니라 토양에 축적되거나 지하수 및 지표수로 유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수질개선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동계 작물(청보리) 재배에 따른 밭토양 양분수지 (Nutrient Balance during Crop (Forage Barley) Cultivation in Winter Season: A Weighing Lysimeter Study)

  • 안진희;이찬욱;옥정훈;박혜진;송요성;이예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1-219
    • /
    • 2023
  • 중량식 라이시미터를 이용하여 사양질과 식질 토양에서 동계 작물인 청보리 재배 여부에 따른 양분 유출과 양분 수지를 평가하였다. 양분 유출과 관련된 지하 배수량은 식질에서 가장 많았으며, 동계 작물 재배 여부에 따른 토양 수분함량을 비교해보면 나지에서는 사양질과 식질 토양 모두 30-40%를 유지하였고, 청보리 재배구는 생육 재생기인 3-4월에 평균 증발산량이 평균 2.1-6.7 mm·day-1이었으며, 토양 수분함량은 18.1-21.8%까지 낮아졌다. 동계작물 재배 시 봄철 생육재생기에 생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발산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수분이 지상부로 이동하므로 양분의 지하유출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양질 토양에서 청보리의 재배에 따른 양분수지는 비료 공급량에 비해 작물 흡수량이 많아 음의 값을 나타냈으며, 토양에 집적된 양분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동계에 적정량의 비료를 주고 사료작물을 재배하면 경지 이용률을 높이고, 양분수지를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화본과 및 두과 녹비작물 토양환원에 따른 토마토 생육 및 토양 양분수지량 변화 (Effect of Soil Incorporation of Graminaceous and Leguminous Manures on Tomato (Lycoperiscon esculentum Mill.) Growth and Soil Nutrient Balances)

  • 이인복;강석범;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3-348
    • /
    • 2008
  • 시설재배 토마토(To) 생산에 미치는 녹비 토양투입 효과와 양분 수지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겨울과 여름 휴한기 동안 헤어리베치(Hv), 호밀(Ry), 콩(Sb), 수단그라스(Sd)를 녹비로 재배하였으며, 녹비와 토마토를 조합한 작부체계로서 두과 녹비작물을 활용한 Hv-To-Sb-To, 화본과 녹비작물로 구성된 Ry-To-Sb-To, 그리고 두과와 화본과 녹비를 교호 재배하는 Ry-To-Sd-To로 구분하여, 화학비료(Cf)를 처리하는 Cf-To-Cf-To 작부체계와 비교하였다. 녹비 수량은 겨울 휴한기에 비해 여름 휴한기 동안 높았던 반면, 녹비의 질소 고정량은 화본과에 비해 두과 녹비작물에서 현저히 높아 두과 녹비작물의 경우 토마토 재배를 위한 질소량의 62%를 고정하였다. 두과 녹비작물로 구성된 작부체계(Hv-To-Sb-To)의 토마토 수량은 관행(Cf-To-Cf-To)과 유사하였으나, 화본과 녹비로 구성된 처리구(Ry-To-Sd-To)의 수량은 두과 녹비작물 처리구 수량의 40% 수준으로서 현저한 수량 감소가 나타났다. 한편 두과 녹비작물 활용에 따른 질소공급 효과로 인해 토마토 생육 및 과실 생산량은 증가한 반면, 후작물에 의한 양분흡수량이 많아 Ry-To-Sb-To 작부체계의 N:P:K 수지량은 -80:-59:$-480\;kg\;ha^{-1}\;yr^{-1}$로서 양분의 불균형이 심각하였다. 역으로 화본과 녹비로 구성된 Ry-To-Sb-To 작부체계의 N:P:K 수지량은 43:1:$130\;kg\;ha^{-1}\;yr^{-1}$로서 양분수지상 3요소 모두 양의 값을 보였으나, 이는 화본과 녹비작물의 낮은 질소 고정량과 높은 C/N율로 인해 후작물 토마토의 생육이 부진하였던 결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두과 녹비작물 토양 환원시 양분 수지량에서 큰 음의 값을 보였을지라도 관행수준의 토마토 수량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두과녹비는 화학비료 없이 유기농 재배를 위한 양분공급 및 토양지력 증진 방안으로서 활용 가능하고, 일반 토마토 재배 시에도 다소의 부족한 양분 수지량만 조정한다면 균형된 작부체계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재배시 논에서의 영양물질 수지 분석 (Analysis of Nutrients Balance during Paddy Rice Cultivation)

  • 황화선;전지홍;함종화;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66-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총 유입 (1,100 mm)의 반 정도가 강우로부터 유입되었고, 나머지는 관개로부터 유입되었다. 유출은 총 유출량의 반 정도(47${\sim}$54%)가 배수에 의한 유출이였으며, 식물의 성장을 위한 증발산량이 40${\sim}$46%이었다. 지표배수의 경우 강우에 의한 유출과 중간낙수가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인과 질소의 영양물질 수지는 유입수의 대부분은 시비로부터 공급되고(78${\sim}$96%),대부분의 유출은 식물체생산(86${\sim}$94%)으로 발생되었으나, 지표배수를 통한 영양물질의 손실량(6${\sim}$l2%)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시비량의 차이는 지표배수를 통한 영양물질 손실과 수확량에 적은 영향를 미치는 것으로 보아 낮은 시비량적용만으로는 영양물질 유출을 감소시키기에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순배출부하량의 분석결과 논농사는 일반적인 강우량의 범위에서 오염물질배출원 보다는 수질 보호의 순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배수를 통한 영양물질 손실의 감소는 지표배수를 줄임으로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담수심을 줄여 관개수를 절약하고, 논뚝에서 물꼬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강제배수를 최소화 하는 방법들은 지표배수를 저감하기위한 대안으로 제안된다. 이러한 영농방법은 물 절약과 수질 보호가 가능하지만, 영농방법의 변화는 수확량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되며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Plant Herb Combination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Beef Cattle

  • Wanapat, M.;Kang, S.;Khejornsart, P.;Wanapat,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27-1136
    • /
    • 2013
  • Four rumen-fistulated crossbred beef cattle (Brahman native)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experiment to be fed plant herb supplements in their concentrate mixture. The treatments were: without herb supplementation (Control), lemongrass meal supplementation at 100 g/d (L), lemongrass meal supplementation at 100 g/d plus peppermint powder at 10 g/d (LP), and lemongrass meal supplementation at 100 g/d plus peppermint powder at 10 g/d with garlic powder 40 g/d (LPG), respectively. Based on the present study, the DMI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DM, OM, aNDF and ADF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herb supplementation while CP digestibility tended to be decreased by herb supplement. Moreover, $NH_3$-N and BUN were decreased in all herb supplemented treatments and there was a tendency to an increase in ruminal pH in all herb supplemented groups.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VFA and C4 among lemongrass treatments, C2 was decreased in all herb supplemented treatments while C3 was increased. Methane production by calculation was the lowest in the LP and LPG groups. Population sizes of bacteria and protozoa were decreased in all herb supplemented groups, but not fungal zoospores. In all supplemented groups, total viable and proteolytic bacteria were decreased, while amylolytic and cellulolytic bacteria were similar. More importantly, in all herb supplemented groups, there were higher N balance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reatments on purine derivative (PD) excretion or microbial N.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as no negative effect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utilization by plant herb supplement, but protozoal population and $CH_4$ production were reduced. Thus, lemongras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eppermint and garlic powder could be used as feed additives to improve rumen fermentation efficiency.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메뉴패턴에 관한 연구 (I) -주요 메뉴패턴 분석 - (The Study on Menu Patterns in Korean Rural Areas (I) - Analysis of Major Menu Pattern -)

  • 문현경;이삼순;김정윤;박송이;한귀정;유춘희;백희영;정금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8호
    • /
    • pp.936-945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nu patterns consumed frequently in 5 Korean rural areas for all seasons, using 24-hour recall method with 1,185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enu pattern in rural areas for the basis data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nutrition intervention project. The result were following : most frequently used menu patterns by the number of side dish were rice + soup + kimchi + 1 side dish> rice + soup + kimchi + 2 side dish> rice + soup + kimchi > rice + stew + kimchi + 1 side dish in the order. Most frequently used menu patterns by the kind of side dish were rice + soup + kimchi > rice + stew + kimch > rice + kimchi> noodle + kimchi in the order. In menu patterns showed higher frequency, Nutrient Adequacy Ratio(NAR) of all nutrients except Ca and Vit A was over 0.7. The Mean Adequacy Ratio (MAR) of rice + soup(or stew) + kimchi + 2(or 3) side dish was 0.76∼0.82. The number of dishes consumed in winter was the highest. The menu had traditional menu pattern based on cooked rice, Korean soup and kimchi in Korean rural areas. With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nutrient balances from the menu pattern can be improved, if the composition of main dish and side dish are adequate . For the nutrition program in the community menu patterns should be examined carefully.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rural areas.

  • PDF

Sodium and Potassium Balance and Their Relation to Nutrient Intakes in Young Adult Men and Women

  • Kim, Eun-Young;Choi, Mi-Ky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24-2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odium and potassium balances, as well as correlations among the relating factors in adult males and females. We collected blood, urine and feces samples as well as a dietary intake survey from 50 subjects. Then, we analyzed the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blood, urine and feces, and evaluated their state of balance. The average ages of the study targets were 24.7 years old for males and 22.8 years old for females. The daily energy intake by the males was 1733.4 kcal and by the females was 1570.3 kcal. Sodium intakes were 138.3 mEq and 127.5 mEq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Potassium intakes were 43.1 mEq and 49.3 mEq, respectively. The daily excretions of sodium through urine were 136.6 mEq by males and 97.0 mEq by females and the excretions through feces were 2.2 mEq and 2.0 mEq, respectively. The daily excretions of potassium through urine were 20.2 mEq and 16.5 mEq by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and the excretions through feces were 7.7 mEq and 7.5 mEq male to female. The retention rates of sodium were 11.7% and 14.1% male to female, respectively, and the apparent absorption rates were 98.5% and 97.8%. Additionally, the retention rates of potassium were 32.9% and 39.8% and the apparent absorptions were 81.9% and 81.3%, both male and female. It was noted that, overall, the sodium intake of adult males and females is still higher than the recommended daily sodium intake, while the potassium intakes and excretions were found to be low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utritional guidance and education is recommended to encourage decreased sodium intake and increased potassium intake, according to recommended standards.

EC 기준 파프리카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양액 교체 주기에 따른 양액 중의 이온 균형 및 각 이온의 EC 기여도 변화 (Changes in Ion Balance and Individual Ionic Contributions to EC Reading at Different Renewal Intervals of Nutrient Solution under EC-based Nutrient Control in Closed-loop Soilless Culture for Sweet Peppers (Capsicum annum L. 'Fiesta'))

  • 안태인;손정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29-35
    • /
    • 2011
  • EC 기준의 순환식 수경재배시스템에서 재사용 양액 내의 이온 농도의 변화와 각 이온의 EC 기여 비율의 변화는 안정적인 양액 관리를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초기 생육단계 파프리카의 EC 기준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교체 주기에 따른 재사용 양액 내 이온 농도, 이온균형 및 이온의 EC 기여도의 변화를 조사하여 재사용 양액의 적정 분석 주기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파프리카의 평균 마디수가 13마디일 때 시작하였고, 처리 종료시점에서는 평균 마디수가 18마디였다. 1개의 암면 슬라브당 3주의 파프리카가 재배되었다. 처리는 재사용 양액의 교체 주기에 따라 각각 1주, 2주, 3주, 4주 교체 처리구로 구성되었다. 양액은 일사비례제어방식으로 급액되었다. 배액은 배액 탱크에 수집된 후에 당일 관수가 종료된 후 혼합 탱크에서 EC $2.69dS{\cdot}m^{-1}$가 될 때까지 희석되었다. 혼합된 양액은 익일의 양액으로 사용되었다. 재사용 양액은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분석되었다. 교체 주기에 따른 이온 농도의 변화는 처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이온 농도의 변화 범위는 각각 $K^+$ 5-8, $Ca^{2+}$ 11-14, $Mg^{2+}$ 2.0-2.7, $Na^+$ 0.5-0.6, $NO_3{^-}$ 14-19, ${SO_4}^{2-}$ 4-5, ${PO_4}^{3-}$ 1-4, $Cl^-$ $0.3-0.5meq{\cdot}L^{-1}$와 같았다. 교체 주기에 따른 이온 균형 변화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 처리구에서 이온 비율의 변화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양이온 비율 변화는 $K^+$ : $Ca^{2+}$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음이온은 ${SO_4}^{2-}$ : ${PO_4}^{3-}$를 중심으로 나타났다. 양액 중의 $K^+$, $NO_3{^-}$, $H_2PO_4{^-}$의 1가 이온과 $Ca^{2+}$, $Mg^{2+}$, ${SO_4}^{2-}$의 2가 이온의 활동도 계수는 각각 0.8-0.9, 0.5-0.6 사이에서 변하였고, 시간 경과와 함께 각 이온의 활동도 계수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각 이온이 양액의 EC에 기여한 비율은 $K^+$$NO_3{^-}$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Ca^{2+}$, ${SO_4}^{2-}$, $Mg^{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적용한 교체 주기 4주는 초기 생육단계의 파프리카를 EC 기준 순환식으로 수경재배 할 경우, 이온 농도 변화와 이에 따른 EC 기여도의 변화는 안정적인 범위 이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