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approach

검색결과 956건 처리시간 0.027초

An Analysis of the proteomics approach to the glycated peptides of human milk

  • Cho, Seonghyeon;Park, Jong-Moon;Lee, Hookeun;Song, Jun Hwan;Kang, Nam Mi
    • 분석과학
    • /
    • 제35권1호
    • /
    • pp.8-14
    • /
    • 2022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and glycation adducts are significantly linked to aging and disease. Particularly, the level of glycation in human milk is important because the AGE intake is closely related to AGE levels in infants. In this study, we used human milk samples obtained from four primiparae and four multiparae. We isolated proteins using acetone and trichloroacetic acid (TCA) precipitation. A total of 67 glycated proteins and 122 glycated peptides was quantified; among them, 19 glycated peptide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e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glycation differed according to fertility. The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using proteomics to evaluate the mother's milk quality and link between maternal health and human milk quality.

Standardization of Sample Handling Methods to Reduce the Rate of Inadequate Sampling

  • Yo-Han Seo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5-93
    • /
    • 2023
  • Purpose: The predominant approach for mitigating inadequate sampling rates has primarily involved bolstering the volume of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curtail inadequate sampling rat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activities, tailoring effective methods to the unique needs of each institution. Methods: We developed a sample handling guidebook and implemented QI activities to address this issue. Results: These measures resulted in a 4.7% decrease in inadequate sampling rates, concurrently improving knowledge of sample handling and overall nurse satisfaction. We addressed the root causes of inadequate sampling before laboratory pre-processing by: 1) focusing on systematic rather than erratic errors through CQI activities, 2) revising the sample handling guide, and 3) delivering 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the specific needs of the nursing department. These changes resulted in an additional 0.6% decrease in the inadequate sampling rat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mplementation of CQI activities based on evidence derived from a multifaceted causal analysis significantly reduced the inadequate sampling rat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질 예측요인-D 광역시를 중심으로-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56-4667
    • /
    • 2015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도시 지역에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260명 이었고,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매우 취약한 대상군인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입주기간과 수면상태가 만족스러운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치아 부자유함이 없는 경우, 건망증이 없는 경우, 우울이 낮을수록,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면상태(r=-.20,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24, p<.001), 우울(r=-.30, p<.001), 사회적 지지(r=.30, p<.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beta}=.30$, p<.001), 우울(${\beta}=-.25$,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2$, p<.001), 입소기간(${\beta}=-.22$, p<.001), 수면상태(${\beta}=-.12$, p=.025)가 삶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예측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며, 삶의 질에 대한 간호중재 및 관리는 신체적 활동이나 질병관리와 함께 정신적,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의 개별적 이해를 중점으로 전인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허혈성 심장환자의 건강행위 이행, 심혈관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Cardiovascular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 조현숙;김광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0-570
    • /
    • 2000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and enlighten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atient's health behavior compliance, cardiovascular functional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Using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 posttest design was accep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5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t the Cardiac Center of 'G' Hospital located in Inchon from May 1, 1998 to April 30, 1999.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cardiac program with 30 patients and 25 patients of a control group were not involved in the program. There were two phases in th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the first phase was a team approach education. It focused on reducing the risk of ischemic heart problems. The second phase was individual training by using a home based exercise program, which was comprised of 8 weeks, three sessions per week, 40-60 minutes per session, and followed by consultation. Every session involved 20-40 minutes of aerobic exercise at 40-60% of heart rate reserve, 11∼13 RPE and 10 minutes of warm-up and 10 minutes of cool-down exercises. The experimental tools for the study were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scale developed by Lee, Yoon-hee (1992), and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McGirr et al.(1990). RPPsubmax were measured by the treadmill.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and analyzed by χ²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5.091, p=.000)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RPPsubmax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2.109, p=.040). 3.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3.853, p=.000)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f the study was confirmed. It increased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for reducing the risk of further coronary events, enhanced the cardiovascular functional capacity, and eventually improved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 PDF

노인복지관 당뇨병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과정과 평가: 실행연구방법 (Senior Center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Program: An Action Research Approach)

  • 고하나;송미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69-185
    • /
    • 2018
  • 당뇨병 노인환자의 자기관리 교육은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변화시켜야 하는 목표를 성취해야하므로 노인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노인 대상자의 특성과 개별적인 상황 및 조건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인 특화 프로그램은 매우 제한적이고, 대상자 중심의 효과가 평가된 경우도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거주 당뇨병 노인 맞춤형 당뇨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연구 방법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의 계획, 실행, 평가, 성찰단계를 각 회기마다 시행하여 이전 회기의 결과가 다음회기의 중재계획의 변화에 근거가 되는 체계적인 순환과정을 3회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일개의 지역사회 복지관에서 15개월에 걸쳐 12주의 소규모 노인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양적, 질적 자료를 모두 사용하여 참여대상자 측면의 평가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였다. 총 46명중 43명(93.48%)이 프로그램을 이수하였다. 양적인 프로그램의 효과결과에서는 당화혈색소(p<.001), 공복혈당(p<.001), 신체질량지수(p=.016), 허리둘레(p=.001), 수축기혈압(p=.036),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p<.001), 노인 건강행위지식(p=.0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질적 평가 자료에서는 본 프로그램은 개별적인 맞춤 관리로 느껴지며 이를 통해 역량 강화하게 되었고,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자기관리 이행에 자신감과 실천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로 대상자의 신체적 지표와 행위지표, 유용성 등의 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대상자 측면에서의 주관적인 효과성을 확인 한 것은 효율성과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행연구 방법을 통한 프로그램의 적용과정과 평가는 현장 실무자에게 대상자의 요구 중심의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시행의 가이드가 될 것이다.

방사선 치료 중인 암환자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Service improving the subjective happiness in Cancer Patient receiving Radiation Therapy)

  • 송미순;김현리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51-64
    • /
    • 2016
  • 본 연구는 방사선 치료 중인 암환자의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백 한 명의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의식과 증상 불편감을 파악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의 불편감은 피로감, 외모변화, 현기증, 식욕저하, 수면장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암환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증상불편감이 낮을수록, 그리고 개인의 내면적인 의식이 높을수록 향상됨을 나타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기간 동안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증상불편감은 감소시키고, 개인의 의식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통합적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보완과 환자의 편의를 고려한 치료병원과 지역암센터나 보건기관을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외과수술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 분석 (Length of stay in PACU among surgical patients using data mining technique)

  • 유제복;장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400-341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실 환자의 평균 체류시간을 알아보고,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회복실 체류 시간 예측을 위한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상급 종합병원에 입원한 전신 마취 하에 일반외과 수술을 받은 18세 이상 성인 남녀 환자 중 회복실로 입실한 환자를 1,5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1,293건을 분석하였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32항목을 측정하였다. 평균 회복실 체류시간은 72.02분이었다. 수술주기별 관련요인과 회복실 체류시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나이, 수술종류, 수술시간, 진통제사용회수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변수는 수술종류이며 그 다음 EKG 이상여부, 나이, 마취제, 수술시간으로 나타났다. 범주 I(30분~60분)은 2개의 경우, 범주 II(61분~90분)도 2개의 경우, 범주 III(91분~120분)은 4개의 경우로 분석되었다.

병실 분위기 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forming the Atmosphere of Ward)

  • 윤정인;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41-652
    • /
    • 1995
  • Working as nurses, authors found that some patients were not content with their hospital life. Some patients wanted to move to another ward, and others complained about their ward atmosphere. In spite of patients' discomfort, nurses didn't know what made some patients complain about their ward. So, authors tried to find factors that influence atmosphere of hospital wards of the neurosurgery patients. To know the atmosphere of wards, authors selected five neurosurgery ward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Observation took a month. An author observed using molar approach, in the morning, in the day time, and in evening time. Authors used concealment /no intervention technique. An author checked condition of people in the wards, and observed their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ir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through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by Spradly. Authors found there was an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mosphere of ward. It was a human and his attitude. At least one person who was willing to help others made ward atmosphere better. Helping others physically whenever needed, sup-porting the depressed emotionally, offering foods, or talking to others friendly brought good atmosphere. On the contrary, if everyone was indiffernt to others, the atmosphere became cold. Self-centered or selfish behaviors such as occupying too much area, using the toilet too long, covering other's suction bottle without permission and seeing others delicate or urinate were hurtful. In addition to the attitud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kindness of medical teams including nurses and doctors and tasteless meal caused bad ward atmosphere. Based on this research finding, authors suggest the followings. A For the better atmosphere of ward 1. Nurses should try to make the ward atmosphere better by introducing new patient to older ones. 2. Every ward should have dividing curtains to keep patient's privacy. 3. All hospital personnel should be kind enough to make patients feel that they are repected. 4. Hospital should serve high quality meals to patients. 5. Patients had better stay with those in the similar condition. B. For the future studies 1. Repeated researches are necessary to check reliability of this results. 2. Researches for patients in different area such as ICU, or hemodialysis unit are necessary.

  • PDF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융복합적 접근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n Anxiety in Elderly People-Convergent approach)

  • 이정숙;이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401-40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관계를 파악하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6월 1일 부터 8월 30일까지였고,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36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MMSE-DS, 우울, 불안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시간(${\beta}=-.249$, p<.001), 우울(${\beta}=.218$, p<.001), 인지기능(${\beta}=-.209$, p<.001), 직업(${\beta}=-.133$, p=.006)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수면유지와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우울수준을 낮출 수 있는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MSTAR를 활용한 국내 한의학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의 질 평가 (A Quality Assessment of Systematic Review of Oriental Medicine in South Korea)

  • 김윤영;현혜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49-559
    • /
    • 2015
  • 이 연구는 국내 한의학 분야에서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의 질을 AMSTAR 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해 봄으로써 최근 한의학계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근거중심대체의학(ECAM;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연구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DBPIA, OASIS, KIS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한 한의학 분야의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26편)을 두 명의 연구자가 AMSTAR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한의학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의 질 평가 결과 평균 6.0점이었으며, 전체 26편의 논문 중 높은 수준의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은 2편(7.7%), 보통수준 21편(80.8%), 낮은 수준은 3편(1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의 질 평가 점수는 출판연도와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한의학 분야의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의 질적 수준이 꾸준히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한의학분야의 근거기반실무를 활성화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은 보건의료분야의 융복합적 접근을 위한 발판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