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hern Are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경북북부지역 먹는물에서 분리된 대장균군의 항균제 및 염소소독제 감수성 (Antimicrobial Agent and Chlorine Susceptibility of E. coli Group Isolated from Natural Drinking Water in Northern Gyeongbuk Area)

  • 손창규;이춘우;김태분;박순길;전찬준;이창일;박자영;송성복;허완
    • 환경위생공학
    • /
    • 제23권2호
    • /
    • pp.71-79
    • /
    • 2008
  • We examined 165 unchlorinated natural drinking water samples for the presence of E. coli group resistant to antimicrobial agent and chlorine in nothern Gyeongbuk area in 2007. Among 165 water samples, 21 samples(12.7%) were positive to total coliforms and Six genus, 16 strains of E. coli groups isolated from 16 samples showed resistance against more than one antimicrobial agent such as Ampicillin, Tetracycline and Chloroamphenicol. Among 16 strains, 14 strains resistant to Ampicillin, 9 strains resistant to Tetracycline and one strain resistant to Chloroampenicol. but all 16 strains did not contain any integron gene cassettes, which contribute to the spread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lleles by lateral gene transfer of gene cassettes in a variety of enteric bacteria.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14 strains which showed resistant to Ampicillin was between $12{\mu}g/m{\ell}$ and $32{\mu}g/m{\ell}$, Nine strains resistant to Tetracycline showed between $32{\mu}g/m{\ell}$ and $128{\mu}g/m{\ell}$ and one strain resistant to Chloroampenicol showed $128{\mu}g/m{\ell}$. The chlorine sensitivity of 16 strains isolated from unchlorinated natural water sampl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mong strains by the concentration of initial free chlorine and elapsed time after chlorine treatment. All 16 strains were killed after 1hr. exposure at $0.2mg/m{\ell}$ of free chlorine per liter or 30minutes exposure at $0.4mg/m{\ell}$ of free chlorine per liter.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통로폭에 관한 조사 연구 - 경기 북부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f the Width of Passage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s in Northen Gyeonggi Province -)

  • 윤희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26-34
    • /
    • 2018
  •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는 평균 22.4명(2016년 기준)으로 우선 OECD 평균인 21.3명에 비해 1명 정도가 더 많은 수준이다. 빠른 시기 안에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는 OECD평균 또는 상위수준인 최대 20명 수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명 수준에 맞는 학급교실의 모듈을 설정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모듈결정에 주요 변인이 되는 교실에서의 각 지점의 통로폭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포천(1개교), 의정부(2개교), 양주(2개교) 등 경기 북부에 도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최근에 지어진 초등학교 5개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별로 저, 중, 고학년 각 2학급씩 총 30개의 교실을 실측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의 크기를 결정짓는 가장 기초적인 단위공간인 학생들의 책걸상으로 학년에 관계없이 책상은 $650(W){\times}450(D)$, 걸상은 $380(W){\times}400(D)$의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책상간 거리는 앞뒤 거리는 45cm의 걸상 깊이(D)에 뒤 책상 경계와 5cm의 여유를 둔 50cm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학생 1인당 단위공간의 크기는 $650(W){\times}950(D)$이 된다. 둘째, 대부분(77%)의 교실들이 일제식의 책상배치를 하고 있고, U자형이 13%, 모둠학습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학급이 7%로 조사되어 대부분의 학급이 평상시에는 일제식 수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실에서 학생들이 이동 가능한 통로폭은 조사한 학교들의 평균값에 의거하여 (1) 칠판과 최전열 책상 간 최소폭은 2.08m (2) 최후열 걸상에서 최소 통로폭 1.12m (3) 복도쪽 벽에서 책상(걸상)까지 최소폭 0.89m (4) 창가에서 책상 간 최소폭 0.74m (5) 책상 간 종통로 평균폭(A) 0.68m (6) 책상간 종통로 평균폭(B) 0.7m로 조사되었다. 넷째, 교사 공간의 면적은 가로 $2.1{\sim}2.25m{\times}$세로 2.1m(전체 평균값)=$4.41{\sim}4.73m^2$가 된다.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의 희토류원소 분포양상과 기원 (Constraints of REE Distribution Patterns in Core Sediments and their Provenance, Northern East China Sea)

  • 정회수;임동일;;유해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1호
    • /
    • pp.39-51
    • /
    • 2006
  •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중 희토류 원소(REE) 함량을 분석하여 REE함량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고 퇴적물 기원지를 추적하였다. 북동중국해로 퇴적물을 공급하는 한국 강(금강, 영산강 등사 중국 강(황하, 양자강 등)에서 유출된 퇴적물 중 REE함량도 분석되어 한국/중국 강에서 유출되는 퇴적물 중 REE함량의 전형적인 분포양상이 구해졌다. 상부지각 중 REE 함량으로 정규화 된 중국 강과 한국 강 퇴적물 중 REE 함량의 분포양상은 각각 중간 희토류 원소(MREE)와 가벼운 희토류원소(LREE)가 부화된 형태로 나타났다. 중국 강 퇴적물에서 나타나는 REE 함량의 분포양상은 "C-type" 즉 MREE가 부화되어 가운데가 불룩한 형태이고, 한국 강 퇴적물에서 나타나는 REE 함량의 분포양상은 "D-type" 즉 LREE가 부화되어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보인다.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중 REE 함량의 주요 제한인자는 LREE가 부화되어 있고 연구해역 인근 어디에나 분포하는 모나자이트$((Ce,\;La)PO_4)$로 해석된다. 한편, 북동중국해 퇴적물 중 REE함량의 분포양상은 C-type과 D-type의 중간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중간 형태에 근거할 때, 현재는 대륙붕 환경이지만 과거에는 강 하구였던 북동중국해의 퇴적물은 한국 강과 중국 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의 혼합체로 판단된다.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에 대하여 (Distribution of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n Kyungpook Province)

  • 이준탁;추연대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12-118
    • /
    • 1987
  • 경북도내(慶北道內) 각(各) 지역별(地域別) 벼 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 및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경북면방(慶北面方)에서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의 조성(組成)은 KJ군(群) 레이스 5종(種), KI군(群) 레이스 6종(種)으로 총(總)11개(個) 레이스가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우점(優占)된 레이스는 KJ301로서 그 분포(分布) 비율(比率)이 37.9~39.0%였고 그 다음으로 KJ401, KJ201, KJ101, KI3I5, KJ105, KI307, $KI315^b$의 순(順)이었다. 레이스군별(軍別)로는 KJ군(群)레이스가 우점도(優占度)가 높았으며 지역별(地域別) 우점(優占)레이스는 거의 KJ301이었다. KI군(群)레이스 분포비율(分布比率)은 남부(南部), 연해부(沿海部)에 비(比)해 중(中), 북부(北部) 지역(地域)이 높았다. 레이스군별(軍別) 분포비율(分布比率) 변동(變動)은 주(主)로 벼품종별(品種別) 식부면적(植付面積)과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Blasticidin-S 내성균(耐性菌)에 의한 영향(影響)은 없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되고 있는 벼도열병균(稻熱病菌)의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의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31.2%였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남부지역(南部地域)이 43.2%로 가장 높았고 중부(中部) 29.4%, 북부(北部) 25.0%, 연해부(沿海部) 지역(地域)이 10.5%로 가장 낮았다. 내성균(耐性菌)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레이스군별(軍別) 분포(分布) 비율(比率)과는 일정(一定)한 관계(關係)가 없었으나 도열병(稻熱病) 살균제(殺菌劑) 사용량(使用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