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 Korea's nuclear test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북핵 위협 고도화에 효율적 대비를 위한 실증적 연구: 비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for Efficient Preparation for Enhancing North Korean Nuclear Threat: Focusing on non-military field)

  • 김응수
    • 시큐리티연구
    • /
    • 제53호
    • /
    • pp.255-279
    • /
    • 2017
  • 북한 핵위협 고도화는 2017년 6차 핵실험에 이르기까지 악화일로로 치달아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실전 배치를 목전에 두고 있다. 그러나 한국 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이에 대한 뚜렷한 해법과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북한의 핵 위협 고도화에 대한 대비책은 너무도 미비한 실태다. 본 연구는 북한은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북한의 핵개발의 현주소와 위협 실태를 냉철하게 분석하여 취약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비군사적인 분야에서 무엇을 어떻게 대비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써 먼저 비상대비태세 유지를 위해서는 국민생활 안정 차원에서 전재민의 수용 대책을 강구하고, 방사능에 오염된 주민을 치료 조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다음으로 민방위태세 분야는 경보체제를 정비하고 민방위대원조직의 훈련을 핵 피폭시 체험식 훈련방법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대피시설 구축의 의무화 하도록 법령을 정비해야 하며, 기 구축된 대피시설들의 보완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민방위훈련과 핵공격 대비훈련을 통합해서 시행하는 방안을 발전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민행동요령을 상황별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숙달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항들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령 개정과 장 단기 계획을 수립하는 등 국가차원의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추진해야 한다.

  • PDF

한반도 원자력 활동 현장 검증을 위한 인력 및 장비 운반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ransportation of Personnel and Equipment for Verification of Nuclear Activ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 한지영;박수희;박제완;김용민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1-487
    • /
    • 2023
  • After conducting a hydrogen bomb test and launching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ICBM) in 2017,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D.P.R.K.) declared the completion of its national nuclear capabilities. Currently, North Korea is refusing all nuclear inspections, but the possibility of nuclear inspections and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still exists.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Rep. of Korea) has numerous reasons as a neighboring country to participate in North Korea's nuclear inspections and denuclearization, includ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geographical proximity, and linguistic benefits. This study assumes nuclear inspections and verification within North Korea and aims to propose scenarios for the transportation and operation of personnel and equipment. The data and results compil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nticipat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inspections and verific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it is assessed that the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in preparation for participation in denuclearization efforts.

핵위협하 국지도발 대비 대응전략 발전방향 (South Korea's strategy to cope with local provocations by nuclear armed North Korea)

  • 김태우
    • Strategy21
    • /
    • 통권31호
    • /
    • pp.57-84
    • /
    • 2013
  • North Korea's continuous threats and provocative behaviors have aggravated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with the recent nuclear weapons test. South Korea's best way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s to maintain the balance among three policy directions: dialogue, sanctions, and deterrence. Among the three, I argue that deterrence should be prioritized. There are different sources of deterrence such as military power, economic power, and diplomatic clouts. States can build deterrence capability independently. Alternatively, they may do so through relations with other states including alliances, bilateral relations, or multilateral relati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at South Korea needs most urgently is to maintain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s local provocations through the enhancement of independent military capability particularly by addressing the asymmetric vulnerability between militaries of the South and the North. Most of al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negative consequences that North Korea's 'Nuclear shadow strategy' would bring about for the inter-Korea relations and security situations in Northeast Asia.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t should develop an 'assertive deterrence strategy' that emphasizes 'multi-purpose, multi-stage, and tailored deterrence whose main idea lies in punitive retaliation.' This deterrence strategy requires a flexible targeting policy and a variety of retaliatory measures capable of taking out all targets in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the force structures of the army, the air force, and the navy should be improved in a way that maximizes their deterrence capability. For example, the army should work on expanding the guided missile command and the special forces command and reforming the reserve forces. The navy and the air force should increase striking capabilities including air-to-ground, ship-to-ground, and submarine-to-ground strikes to a great extent. The marine corps can enhance its deterrence capability by changing the force structure from the stationary defense-oriented one that would have to suffer some degree of troop attrition at the early stage of hostilities to the one that focuses on 'counteroffensive landing operations.'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efforts for defense reform in order to obtain these capabilities while building the 'Korean-style triad system' that consists of advanced air, ground, and surface/ subsurface weapon systems. Besides these measures, South Korea should start to acquire a minimum level of nuclear potential within the legal boundary that the international law defines. For this, South Korea should withdraw from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Moreover, it should obtain the right to process and enrich uranium through changing the U.S.-South Korea nuclear cooperation treaty. Whether or not we should be armed with nuclear weap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all or nothing." We should consider an 'in-between' option as the Japanese case proves. With regard to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we need to re-consider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as an effort to demonstrate the costliness of North Korea's provocative behaviors. If impossible, South Korea should take measures to make the Strategic Alliance 2015 serve as a persisting deterrence system against North Korea. As the last point, all the following governments of South Korea should keep in mind that continuing reconciliatory efforts should always be pursued along with other security policies toward North Korea.

  • PDF

해상기반 탄도미사일 방어체계의 임무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ssion Effect of a Sea-based BMD system)

  • 이경행;최정환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8-126
    • /
    • 2016
  • North Korea has continued developing ballistic missiles with various ranges. Even through the recent launch long-range missiles, it can be inferred that North Korea's Missile technology has reached a level where it can even threaten the US. moreover, through the three times nuclear tests, North Korea is known to have succeeded at gaining 10~20KT of explosive power as well as the minimization and lightening of nuclear warhead. Considering the short length of war zone in Korean peninsula and the possibility of nuclear equipment, if be the most severe threat across the whole peninsula. Since the midcourse phase flight takes the longest time, ROK should establish the ability to intercept at this middle phase.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describes mission effect of a sea-based BMD system through empirical threat and flight characteristic analysis using MIT model that was not suggested in original research.

북한 SLBM 위협과 대응방향 (ROKN's Response Strategy to North Korea's SLBM Threat)

  • 문창환
    • Strategy21
    • /
    • 통권40호
    • /
    • pp.82-1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rogress of North Korea's SLBM threat, and to assess the technological capacity and threat level of its SLBMs. Currently, North Korea has approximately 1000 ballistic missiles, such as the SCUD, Musudan, and Nodong, in stock. This article pays close attention to the background and strategical implication behind North Korea's obsession with developing SLBMs despite possessing sufficient means to launch provocations with its current arsenal of ground based ballistic missiles and conventional weapon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this article will recommend possible response directions for the ROK Armed Forces to North Korea's SLBM threat. It is highly difficult to detect SLBMs due to its stealthy nature, as it is launched underwater after covert infiltration. North Korea's SLBM is considered a game changer in that even one SLBM can significantly change the strategic balance of North East Asia. North Korea's SLBM test launch in August has made a 500km flight, landing 80km inside the JADIZ (Japan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nd as such, it is assessed that North Korea already possesses underwater ejection and cold launch capabilities. The most realistic response to North Korea's imminent SLBM threat is bolstering anti-submarine capabilities. ROK Armed Forces need to upgrade its underwater kill-chain by modernizing and introducing new airborne anti-submarine assets and nuclear-powered submarines, among many options. Moreover, we should integrate SM-3 missiles with the Aegis Combat system that possess strong detection capabilities and flexibility, thereby establishing a sea-based Ballistic Missle Defense (BMD) system centered around the Aegis Combat System, as sea-based ballistic missile threats are best countered out in the seas. Finally, the capabilities gap that could arise as a result of budgetary concerns and timing of fielding new assets should be filled by establishing firm ROK-US-Japan combined defense posture.

북한 환경을 고려한 비핵화 검증 장비의 성능 시험 기준 제시 (Presentation of Performance Test Criteria for Denuclearization Verification Equipment Considering North Korea Environment)

  • 한지영;박수희;김용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1-77
    • /
    • 2023
  • 북한 비핵화 문제는 남북을 넘어 세계적인 문제이다.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밝힐 상황을 대비하여 비핵화 과정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검증 장비의 정상 작동 담보가 요구된다. 카자흐스탄에서 저온으로 인해 장비가 작동되지 않은 선례를 참고했을 때 북한 환경을 고려한 성능 시험 기준이 수립된다면 향후 비핵화 과정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 기준 등 시험 기준 분석을 통해 성능 시험 기준 관련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후, 북한 주요 원자력 시설이 위치한 영변군 및 풍계리의 기후,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검증 상황 발생 시 적시 대응 가능한 성능 시험 기준 수립을 수행하였다. 여기에는 고온, 저온, 습도, 진동, 충격 시험이 포함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장비 시험을 통해 시험 기준의 타당성을 수립하고자 한다.

북한 핵문제와 한·중 관계의 미래 (North Korean WMD Threats and the future of Korea-China Relations)

  • 신정승
    • Strategy21
    • /
    • 통권39호
    • /
    • pp.114-139
    • /
    • 2016
  • Korea and China are neighboring countries with close contacts in many areas from long time ago, and have shared interests in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deepening economic relationship which has been mutually complementary in their nature. Therefore their bilateral relations has been developed at a remarkable pace to the extent that it can't be better than now.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ir responses to North Korean nuclear test and ensuing long-range ballistic missile test-fire and the Chinese strong concern on the possible deployment of 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ir Defence) anti-missile system in Korea show that there are some weaknesses in their relations. For example, Korea is not still confident that China would fully implement the sanction measures contained in the UNSC resolution and I argue that Chinese proposal of parallel negotiation of the denuclearization and the replacement of Korean armistice with the Peace Agreement is not much persuasive. In THAAD issue, if Korea comes to conclusion in the future that THAAD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unter North Korean threats, Korea should make every efforts to assure China that Korea-US alliance is not targeting China, and the THAAD is a defensive system, not damaging Chinese security. In the longer-term, deepening strategic distrust and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is part of East Asia, changing nature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revival of 'great country mentality' by Chinese people together with the rising nationalism in both Korea and China would cast shadow on Korea-China relation in the years ahead, unless properly handled. In this regard, I suggest that the security communic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tri-lateral dialogue channel be established among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the US and China, particularly on North Korean issues. I also suggest the new pattern of economic cooperation be sought, considering the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in China, while strengthening the efforts to understand each other through mor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peoples.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대응 자세 (A Study on North Korea's UAV Threat and Response Stance)

  • 김현식;박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27-233
    • /
    • 2023
  • 4차산업혁명과 더불어 '무인화' 영향이 전 세계 모든 분야에 미치고 있고, 특히 군사 분야에서 '무인화'는 주된 전투체계의 한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우리 영공을 침범하여 서울까지 내려온 북한 무인기 사태로 우리 군은 위기에 직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 군은 북한의 무인기를 포착하고 격멸하겠다는 의지표명과 대응방안을 천명했다. 하지만 무인기의 기술발전은 지속되고 있고 활용 방안 또한 확대되고 있어 현 수준에서의 무인기 대응 방안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또한 북한의 위협은 무인기만 있는 것이 아니다. 북한은 사실상 핵 보유국가이자 7차 핵실험을 앞두고 있고 2022년 한 해에만 38차례, 67발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하는 등 미사일 기술도 고도화 되고 있다. 또한 우리에게 치명적 위협이 될 수 있는 5대 핵심 전략무기를 개발하고 있고 북한의 강력한 재래식 전력은 북방한계선 일대에 다수 포진되어 있고 장사정포의 포구는 수도권을 향해 있다. 지금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북한의 무인기 위협을 대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북한의 위협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명확하게 우선순위를 정하여 제한된 예산을 사용해야 무인기 위협 이외의 북한의 전반적인 위협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 6차 핵실험으로 생성된 방사성제논의 대기 중 방출 시나리오에 대한 모의실험 연구 (Simulation Study on Atmospheric Emission Scenarios of Radioxenon Produced by the North Korea's 6th Nuclear Test)

  • 박기현;민병일;김소라;김지윤;서경석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2_spc호
    • /
    • pp.261-273
    • /
    • 2020
  • 북한은 2017년 9월 3일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6차 지하 핵실험을 단행하였다. 이전에 수행했던 핵실험들과 달리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에서 몇 차례의 유발지진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지하에 갇혀 있던 방사성제논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에 발생한 유발지진을 고려하여 핵실험으로 발생한 방사성제논의 몇 가지 방출 시나리오에 따른 대기확산 모의실험을 본 연구진이 개발한 LADAS (Lagrangian Atmospheric Dose Assessment System) 모델에 기상청의 수치예보자료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방사성제논의 가능한 검출 위치와 시간을 찾기 위해, 1일 간격 및 1주일 간격의 지연방출뿐만 아니라 유발지진으로 유출된 지연방출 시나리오도 설정하였다.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 Organization)에서 운영중인 전세계관측망(International Monitoring System)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133Xe 탐지 결과는 유발지진으로 유출된 방사성제논의 방출 시나리오에 따른 모의실험의 결과와 대체로 부합되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yber Attacks in North Korea)

  • 박찬영;김현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175-181
    • /
    • 2024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가상자산 관련 회사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벌여 탈취한 금액이 약 4조원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인한 외화확보가 제한되자 가상화폐 해킹으로 자금을 확보하고 있고, 방산업체에 대한 기술탈취의 형태도 보여주고 있으며 이렇게 확보하 자금은 김정은 정권유지와 핵·미사일 개발에 사용되고 있다. 2017년 9월 3일 북한이 제 6차 핵실험을 단행하고 같은 해 11월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계기로 국가 핵무력 완성을 선언하자 유엔은 대북제재를 가하였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경제제재로 평가된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운 상황에서 북한은 사이버 공격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는데 북한의 사이버 공격 사례를 통해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1기는 2009년~2016년까지로 전략적 목표로 국가 기간망 무력화와 정보 탈취를 통해 북한 스스로 사이버 능력을 검증 및 과시는 모습과 남한 내 사회혼란을 조성하려는 의도로 보여졌다. 2기는 2016년 대북제재로 외화벌이가 제한되자 가상화폐를 탈취하여 김정은 정권유지 및 핵·미사일 개발 고도화를 위한 자금확보의 모습을 보였다. 3기는 국내외 방산업체에 대한 기술해킹으로 2021년 8차 당대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제시한 전략무기 5대 과업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탈취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 국가기관 뿐 아니라 민간업체에 대한 보안대책을 수립해야 될 것이고 이과 관련된 법령 제도, 기술적 문제, 예산 등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다. 또한 화이트 해커와 같은 전문인력 양성 및 확보에 주력하여 날로 발전하고 있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 및 인력 구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