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elderly

검색결과 505건 처리시간 0.024초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도시지역 여자노인의 신체 및 건강수준 (Antropometric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omen Attend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n Urban Community)

  • 권진희;윤희정;문효정;이재무;손윤희;박성화;이희경;이성국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62-76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women who attended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of the Seo-gu Health Center in Daegu. The study subjects were 158 elderly women (over 65 years) in an urban community.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ndividual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Blood tests for analyzing their biochemical status were carried out.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70.9 $\pm$ 2.3 years. Of the subject group 79.1% ranged in age from 65 to 74 year and 20.9% were over 75 years. With respect to health related factors, 23.4% of subjects drank alcoholic beverages and 15.2% of subjects currently smoke.The prevalence with chronic diseases was 51.9%, and 26.6% of the subjects were healthy. The diseases most frequently reported as having been or being treated were arthritis (38.1%), hypertension (21.4%), and diabetes (17.9%). The average height of subjects was below the standard established i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while the average weight was close to the standard. The means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130.2 mmHg and 71.9 mmHg, respectively. The mean serum albumin level was 4.5 mg/d$\ell$ and the value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was 12.5 mg/d$\ell$ and 0.7%, respectively. The mean serum cholesterol level was 207.1 mg/d$\ell$ and the mean triglyceride level was 187.7 mg/d$\ell$. The serum lipid levels were higher then in those reported in research. The serum cholesterol levels of 71.5% of subjec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 GOT and GTP levels were within the moderate range. In conclusi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ho attended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Seo-gu Health Center were very average. However,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health management program to deal with the serum lipids so as to establish and maintain good health. When we carry ou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 community, individual program Of adequate to health status should be developed more.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Effects of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 조영미;류미혜;정다운;석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94-404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신체 건강 상태, 일상 생활 활동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및 양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일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정상적인 인지 상태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으로 총 79 명의 노인이 (실험군 : n=39, 대조군 : n=40)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는 편의표출통해 모집되었고 무작위 할당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선정되었다.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은 경락체조와 기공요법의 하나인 팔단금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주 동안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측정 변수로는 신체 건강 상태, 일상 생활 활동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양생이었고, SPSS WIN21.0에 의해 기술 통계, x2-test 및 독립 t-tes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의 신체 건강 상태(t=10.295, p<.001), ADL(t=7.571, p<.001), 우울증 (t=-15.434, p<.001), 삶의 만족도(t=21.257, p<.001), 그리고 양생(t=9.52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중재의 결과 모든 변수에서 점수가 향상됨을 보였다. 결론 : 본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신체 건강 상태,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및 양생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 중재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서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Obesity of the Elderly)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4-2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적정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J시에 위치한 2개소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1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4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지 조사와 신체계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CES-D, RULS, BP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2-test$, Fisher' exact test, Pearson's correlation, Logistic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3.59{\pm}3.48$이었으며, 31.9%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비만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연령(${\chi}^2=8.16$, p=.003), 성별(${\chi}^2=9.27$, p=.002), 흡연 유무(${\chi}^2=7.78$, p=.004), 우울(t=2.54, p=.012)과 사회적 고립감(t=2.98, p=.003)이었고, 우울 (OR,1.04; 95% CI,1.00-1.09)과 사회적 고립감(OR,1.06; 95%CI,1.02-1.11)은 비만의 위험을 높이는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인구에서의 비만관리를 위하여 우울과 사회적 관계를 적절히 파악하고 측정해야 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체중관리 프로그램 및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소득층 고혈압노인의 자가간호행위 및 혈압조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Self-care Behavior and the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Low-income Elderly)

  • 최영순;김현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1-45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self-care behavior and to find factors related to the control of hypertension.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and continuous hypertension control in the low-income elderly.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89 subjects who were hypertensive and were receiving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hypertension from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ace to face survey,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mean value of the two measures) were measured during May 2004.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t-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Version 10.1). Results: 1.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score of self-care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s living along ($47.63{\pm}7.276$) than in those living with the family ($45.19{\pm}5.501$) (p<.05), and in those with religion ($47.11{\pm}6.722$) than in those without religion ($45.01{\pm}6.110$) (p<.05) 2. As to blood pressure control, the percentage of blood pressure control within the normal range (systolic 140mmHg, diastolic below 90mmHg) was 37.03%.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percentage of blood pressure cont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without religion (p<.05). In practicing hypertension self-care behavior, those who do not control salk intake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hypertension control (p<.05). The score of hypertension self-care was $48.28{\pm}4.443$ in the controlled group, and $45.42{\pm}7.399$ in the uncontrolled group,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3. Hypertension self-care behavior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control (r=.210, p<.05). Conclusio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elf-care behavior to increase the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low-income elderly. These results can be used guidances for improving self-care behavior and the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low-income elderly.

  • PDF

케톤음료를 보충한 저탄수화물·고지방식이 섭취가 치매고위험 노인의 인지기능 및 신체활동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carbohydrate an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Ketogenic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 김은지;박정식;최원선;박유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25-534
    • /
    • 2019
  • Objectives: Reduced glucose utilization in the main parts of the brain involved in memory is a major cause of Alzheimer's disease, in which ketone bodies are used as the only and effective alternative energy source of gluc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low-carbohydrate and high-fat (LCHF) diet supplemented with a ketogenic nutrition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 healthy elderly aged 60-91 years showing a high risk factor of dementia or whos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score was less than 24 points. Over 3 weeks, the case group was given an LCHF diet with nutrition drinks consisting of a ketone/non-ketone ratio of 1.73:1, whereas the control group consumed well-balanced nutrition drinks while maintaining a normal diet. After 3 weeks, K-MMSE, body composition, urine ketone bodies, and physical ability were all evaluated. Results: Urine ketone bodies of all case group subjects were positive, and K-MMSE score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case group only (p=0.021). Weight and BMI were elevated in the control group only (p<0.05). Grip strength was elevated in all subjects (p<0.01), and measurements of gait speed and one leg balance were improved only in the case group (p<0.05). Conclusions: We suggest that adherence to the LCHF diet supplemented with a ketogenic drink could possibly influenc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a high risk factor for dementia. Further,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is dietary intervention in the elderly based on its lack of any side effects or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건강한 노인에서 심장-발목 혈관지수로 측정한 동맥 경직도와 체질량 지수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terial Stiffness as Measured by the Cardio-Ankle Vascular Index with Body Mass Index in Healthy Elderly Subjects)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7-285
    • /
    • 2019
  • 비만과 혈관 경직도간에 역상관 관계가 보고되고 있으나, 고령자나 노인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CAVI로 측정한 동맥 경직도와 BMI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경기지역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65세 이상 건강한 노인을 6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은 U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의 Adult Treatment Panel (ATP) III의 기준에 따랐으며, NCEP-ATP III의 기준 중 허리둘레 및 비만기준은 WHO의 기준에 따랐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생화학적 혈액검사 및 CAVI를 측정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CAVI치는 정상체중군보다 비만군에서 낮았으며, 성별(P=0.047), 연령(P<0.001), BMI (P<0.001), 허리둘레(P=0.009)는 CAV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성별, 높은 혈압, 고혈당은 CAVI치의 독립적인 정적 예측인자이지만, 비만은 부적 예측인자로 나타나 CAVI와 BMI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CAVI와 BMI간에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BMI로 측정한 비만은 CAVI의 부적 예측인자였다.

수행기반 인지기능평가를 위한 예비연구 :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a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 : With the Normal Elderly)

  • 곽호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43-55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예비연구로써 노인의 인지기능 저하 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를 분석하여 평가 문항을 구성하고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만 65세 이상 정상 노인 9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으며,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와 MMSE-K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Performance-Based Cognitive Function Test(PCFT)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 계수는 운동과제 .871 인지과제 .959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공인타당도는 운동-인지 이중과제 평가를 이용하여 PCFT의 항목별 상관관계는 .755~.964으로 산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또한 인지평가도구인 MMSE와의 상관관계는 .849~.943(p<0.01)로 나타나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수정 보완된 인지기능저하 노인을 선별을 위한 수행기반 인지기능 평가도구를 대상으로 기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중심으로 (Study on Needs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for Long-Term Care Elderly : Focused on Beneficiary Older Adults People in Long-term Care Insurance)

  • 우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48-35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의 노인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복지용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I시에 위치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18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대상자들은 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1등급과 2등급 인정자들은 자조관리를 돕는 품목, 3등급에서 5등급 및 인지지원 등급자들은 건강관리 및 안전에 관련된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보였다. 복지용구 서비스에서는 모든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이 주기적인 추후관리 서비스, 복지용구 전문가 및 전문 인력 교육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지용구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장기요양보험등급별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세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와 관련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허약노인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체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s on Physical Fitn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Status in Frail Elderly)

  • 박현영;신소희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429-442
    • /
    • 2020
  • 본 연구는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체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상태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1명의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합운동프로그램 운동그룹 12명, 통제그룹 9명으로 구성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 중심의 노인건강체조와 인지상태향상과 체력 향상을 위한 4색 래더 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2회, 1회 60분 운동을 10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근력(상지, 하지), 유연성(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민첩성(전신반응시간), 보행능력, 협응성(Timed Up and Go test),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상태를 측정하였다. 허약 노인에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 유무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운동그룹은 상지근력(악력)에서 통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역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허약 노인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는 근력(악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신체 기능 및 인지상태 저하를 위한 예방 차원에서 효과가 있었다.

치매 환자를 위한 딥러닝 기반 이상 행동 탐지 시스템 (Deep Learning-based Abnormal Behavior Detection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 김국진;이승진;김성중;김재근;신동일;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33-144
    • /
    • 2020
  • 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노인 비율만큼이나 치매를 앓는 노인 수 또한 빠르게 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발생시킨다. 특히, 간병인의 근무 시간 손실 및 간호 부담으로 인한 의료 비용 증가와 같은 간접비용을 포함하는 치매 관리 비용은 수년에 걸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한 관리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상 치매 환자를 돌볼 수 없는 환경이나 독거노인을 관리하기 위한 센서 기반 이상 행동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들은 단지 행동을 인지하거나 정상 행동 여부를 평가하는 정도였고 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가 아닌 이미지를 처리하여 행동을 인지한 연구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여 비지도 학습 모델인 오토인코더와 지도 학습 모델인 장·단기 기억 모형을 동시에 사용했다. 비지도 학습 모델인 오토인코더는 정상 행동 데이터를 학습하여 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패턴을 학습시켰고 장·단기 기억 모형은 센서로 인지 가능한 행동을 학습시켜 분류를 좀 더 세분화했다. 테스트 결과 각각의 모델은 약 96%, 98% 이상의 정확도를 도출하였고 오토인코더의 이상치가 3% 이상을 갖는 경우 장·단기 기억 모형을 통과하도록 설계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혼자 사는 노인이나 치매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돌보기 위한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