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omplex Exercise Programs on Physical Fitn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Status in Frail Elderly

허약노인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체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상태에 미치는 영향

  • Park, Hyunyoung (School of Sport and Exercise Science, University of Ulsan) ;
  • Shin, Sohee (School of Sport and Exercise Science, University of Ulsan)
  • 박현영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 신소희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Received : 2020.02.13
  • Accepted : 2020.05.06
  • Published : 2020.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physical fitn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and cognitive status of the frail elderly by combined exercise programs.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n aerobic exercise for the elderly and a four-color ladder exercise for improving of cognitive ability and physical fitness. Twenty-one frail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12 exercise groups and nine control groups. The exercise group conducted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of 60 minutes, twice a week, for10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heir normal lives. Strength, flexibility, agility, coordination, ADL and MMSE-K were measured.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grip strength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addition, ADL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ly in the exercis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of the el derl 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grip strength, and in preventing various physical functions and cognitive conditions decline.

본 연구는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체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상태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1명의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합운동프로그램 운동그룹 12명, 통제그룹 9명으로 구성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 중심의 노인건강체조와 인지상태향상과 체력 향상을 위한 4색 래더 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2회, 1회 60분 운동을 10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근력(상지, 하지), 유연성(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민첩성(전신반응시간), 보행능력, 협응성(Timed Up and Go test),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상태를 측정하였다. 허약 노인에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 유무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 운동그룹은 상지근력(악력)에서 통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역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허약 노인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는 근력(악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신체 기능 및 인지상태 저하를 위한 예방 차원에서 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체육진흥공단. (2012). 노인기 국민체력 인증기준 개발.
  2. 권상민. (2013).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1), 643-650. doi.org/10.14400/JDPM.2013.11.11.643
  3. 권상민, 박정숙. (2013).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건강 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5(2), 194-206. doi.org/10.7475/kjan.2013.25.1.194
  4.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연구. 신경정신의학 1989; 28, 125-135
  5. 권윤정. (2002). 노인 운동행위 변화단계별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 범이론적 모형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6. 강기선 외. (2014).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운동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8):5186-5194.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186
  7. 김경란 외. (2019). 스팀업(Stim UP)매트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허약노인의 균형능력과 보행기능 및 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doi.org/10.12799/jkachn.2019.30.1.47
  8. 김대훈. (2008). 운동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9. 김성옥. (2009). 한국무용 참여가 노인여성의 기능체력과 혈중지질 및 노화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0. 김인규. (2019). 8주간의 복합운동이 75세 이상 노인의 인체조성, 혈중지질 및 근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11. 김현수, 박우영. (2005). 노인건강과 체력과 삶의 질. 스포츠 과학, spring, 19-27.
  12. 김창오, 김문종. (2011). 허약노인의 개념적 정의와 조작화에 대한 국내 외 연구현황. 가정의학회지, 1(2), 85-93. doi.org/10.4082/kjfm.2010.31.4.S350
  13. 민병주. (2010). 12주간의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혈중지질, 성장호르몬, 뇌혈류 및 신경 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4. 문지은. (2013). 노인의 낙상실태조사와 낙상예방운동인식에 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5. 박보은. (2019).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인지 저하 노인을 위한 좌식 운동 프로그램이 허약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6. 박은영. (2005). 혼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7. 박준성. (2014). 일상생활체력 측정을 통한 허약노인의 선별 검사 도구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8. 변선희. (2015). 허약노인의 신체기능과 정신건강에 대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19. 신소희. (2017). 한국의 울산시 노인과 일본의 기후시 노인의 낙상관련체력과 낙상경험 특성의 비교. 체육과학연구, 28(3), 566-576. doi.org/10.24985/kjss.2017.28.3.566
  20. 신승아. (2005). 노인생활무용 참여여부에 따른 심리적 정서 상태가 자기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유상민. (2018). 재가허약노인과 비허약노인의 자아통합감과 건강행위. 석사학위논문, 5-6. 부산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2. 이강우. (2010). 운동처방 : 개인별 운동부하 검사를 통한 맞춤운동프로그램 : 운동은 연령증가에 따른 체력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 에이원.
  23. 이미숙. (2003). 신체분절의 등속성 근력, 근육량과 골밀도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4. 이주연, 신상근. (2020). 16주간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이 여성노인의 기능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8(1), 7-15. doi.org/10.34284/KJGD.2020.02.28.1.7
  25. 임번장. (2000). 사회체육개론. 서울 대학교 출판부.
  26. 정경희 외. (2014).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노인 정책과.
  27. 전태봉. (2019). 75세 이상 여성 노인의 8주간 복합운동이 허약지수에 따라 건강체력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대학원.
  28. 통계청. (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29. 하지연. (2018). 지역사회 거주 전허약 상태의 노인을 위한 대상자 중심 허약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0. 홍승연 외. (2017). 후마네트 중재가 경로당 여성노인의 활력, 인지 및 신체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사례연구.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31. 홍예주. (2008). 12주간 한국무용 참여와 멜라토닌 투여가 노인여성의 노화호르몬과 면역물질 및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32. 황연희. (2013). 아쿠아로빅 운동이 비만 노인여성의 대사증후군 요인과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doi.org/10.5762/KAIS.2016.17.6.226
  33. 김철웅 외.(1996).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이용한 무료노인요양시설 수용노인의 돌봄필요도에 관한 연구. 보건연구정보센터.
  34.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09).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Progression models in resistance training for health adults. Med Sci Sports Exerc. doi.ogr/10.1249/MSS.0b013e3181915670
  35.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18).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USA, Woters Kluwer Health Incl.
  36. Buchner, DM. De Latour BJ.(1991). The importance of skeletal muscle strength to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13; 12-21. doi.org/10.1093/abm/13.3.91
  37. Buchner, DM. & Wagner, EH.(1992). Preventing frail health. Clinics Geriatric Medicine, 8(1), 1-17. doi.org/10.1016/S0749-0690(18)30494-4
  38. Buckinx, F., Rolland, Y., Reginster, J.-Y., Ricour, C., Petermans, J., & Bruyre, O. (2015). Burden of frailty in the elderly population: perspectives for a public health challenge. Archives of Public Health, 73(1), 19. doi.org/10.1186/s13690-015-0068-x
  39. Colcombe, S., & Kramer, AF. (2003). Fitness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a meta-analytic study. Psychol Sci, 14(2), 125-30. doi.org/10.1177/1745691617707316
  40. Evans, WJ., & Rosenberg, J. (1991). Biomarkers: The 10 Determinants of Aging You Can Control. Pearson Education Canada.
  41. Joseph, F. S. (2015). Bending the aging curve : the complete exercise guide for older adults.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42.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ackson, B. A., Jaffe, M. A. (1963).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JAMA, 185(12), pp. 914-919 https://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43. Koizumi, R., & Katagiri, K.(2007). Changes in speaking performance of 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The case of an English course at a SELHi. ARELE, 18, p.81-90. doi.org/10.20581/arele.18.0_81
  44. Laurin, D., Verreault, R., Lindsay, J., MacPherson, K., & Rockwood, K. (2001). Physical activity and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rsons. Archives of Neurology, 58, 498-504. doi.org/10.1001/archneur.58.3.498
  45. Meuleman, JR., Boechue, WF., Kubilis, PS., &Lowenthal, DT.(2000). Exercise training in the debilitated aged: strength and functional outcomes. Arch Phys. Med. Rehabil, 81(3), 312-318. doi.org/10.1016/S0003-9993(00)90077-7
  46. Resnick, B., Spellbring AM.(2000). Understanding what Motivates older Adults to Exercise. J. of Gerontological nursing.26(3).34-42. https://doi.org/10.3928/0098-9134-20000301-08
  47. Rikli RE, Jones CJ(2013). Senior fitness test manual. Champaign, IL: Human Ki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