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int pollution source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32초

효과적인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데스크탑 기반의 LDC 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sktop-Based LDC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ness TMDLs)

  • 류지철;황하선;이성준;김은경;김용석;금동혁;임경재;정영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4호
    • /
    • pp.67-74
    • /
    • 2016
  • Load Duration Curve (LDC) can be used as a method for load management of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because the LDC easily assesses the water quality corresponding to hydrological changes in a watershed. Recently, the application of LDC to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is a growing interest in Korea. In this regard, A desktop-based LDC assessment syste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in water quality evaluation. The developed system can simply produce the LDC by using streamflow and water quality data involved in its database. Also, The system can quantitatively inform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achievement for a target water quality at monthly scale. Furthermore, seasonal water quality and point/non-point pollution load in a watershed can be estimated by this system. We expect that the developed system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local and national policies regarding water management and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because of its advantages such as the pollution tracking investigation and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pollution loading amount in an ungauged watershed.

AGNPS 모형을 이용한 농경지 관리대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Assessing Impa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Management Alternatives on Arable Land using AGNPS Model)

  • 이은정;김학관;박승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08-1013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e paper were to identify appropriate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 loadings and to simul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several BMP scenarios on the study watershed using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AGNPS) model. AGNPS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for runoff, sediment yield, and nutrient components using the observed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data. The simulated runoff, sediment, and nutrient components were well agreed with observed data. The validated AGNPS was applied to estimate the NPS pollution removal efficiency for BMP scenarios which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pollutant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atershed.

  • PDF

농촌 비점오염의 주민주도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주민 의식 변화 분석 - 농촌현장포럼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nges in Residents' Perception to Establish Resident-driven Management System for Rural Nonpoint Pollution Sources - Rural field forum process -)

  • 나경수;김종건;임경재;김기성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47-56
    • /
    • 2019
  • More than half of the nonpoint sources of polluting water occur in cultivating farmlands in rural areas.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are discharged from large areas of farmlands, making it difficult to collect or treat pollutants. Farmland source management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and preventive management by improving farming methods is the key to reduce nonpoint pollution. At present, more than 30% of the pollutants flowing into the rivers and lakes are nonpoint pollutants caused by agricultural activities. As a countermeasure, it is more preferable to develop and apply optimal farming management techniques for agricultural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basically than to apply existing water quality management technique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farmlands in rural areas, so the willingness and competence of the residents is most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ognition of residents through capacity education and survey for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in rural areas. This study conducted intensive resident competency education and examined the process of changing resident awareness through three survey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education and activities for rural non-point pollution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raising awareness of residents and managing non-point pollution effectively, showing possibility of change residents' perception.

첨두수질농도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 갈병석;박재범;권헌각;임태효;이지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7-29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의 수질 및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첨두수질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을 분석하고 모니터링 및 오염원별 관리 시기 등의 비점오염 관리 방향을 도출하였다. 첨두수질농도(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는 강우유출수내 수질이 가장 높은 농도로 비점오염 관리 기준농도로 극값(Extremal value)을 활용하는 개념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누적강수량(총강수량), 첨두수질농도, 첨두수질농도까지의 누적강수량, 첨두수질농도까지의 시간, 첨두수질농도까지의 EMC 등의 평가인자를 검토하였고 장기간에 걸친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원 강우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적정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경사밭 고랑 식생 및 PAM (Polyacrylamide) 멀칭에 따른 영농기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Reduction Efficiency Analysis of Furrow Vegetation and PAM (Polyacrylamide) Mulching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from Sloped Upland During Farming Season)

  • 엽소진;김민경;안난희;최순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4호
    • /
    • pp.1-10
    • /
    • 2023
  •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non-point source pollution (NPS) from farmland with the steep slope during the rainy season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ater system.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urrow mulching using alfalfa and PAM (Polyacrylamide) materials for each rainfall event, while considering the load characteristics of NPS. The study was conducted in Wanju-gun, Jeollabuk-do, in 2022, with a testbed that had a slope of 13%, sandy loam soil, and maize crops. The testbed was composed of four plots: bare soil (Bare), No mulching (Cont.), Vegetation mulching (VM), and PAM mulching (PM). Runoff was collected from each rainfall event using a 1/40 sampler and the NPS load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SS, T-N, T-P, and TOC. During farming season, the reduction efficiency of NPS load was 37.1~59.5% for VM and 38.2~75.7% for PM. The analysis found that VM had a linear regression correlation (R2=0.28~0.86, P-value=0.01~0.1) with elapsed time of application, while PM had a quadratic regression correlation (R2=0.35~0.80, P-value=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furrow mulch materials and the appropriate application method play a crucial role in reducing non-point pollution in farmland.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time-series reduction effect based on the application method are recommended to develop more effective preemptive reduction technologies.

건설 현장 내 비점오염원 처리 시설의 제거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Non 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ies in Construction Site)

  • 최영화;정설화;김창용;김효상;오지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53-62
    • /
    • 2009
  • 본 연구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발생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 기술들을 적용하여, 각 시설별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설 현장의 공사 단계별로 비점오염원의 발생 특성을 보면, 공사 초반 즉, 토양 피복 상태가 교란되어 있는 경우, 강우 시 부유물질 부하량이 높게 나타나며, 강우 강도에 대한 민감도가 공사 후반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설 현장에서 가설 형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는 부유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Check dam, Silt fence 공법과 강우 시 토사 유실을 원천적으로 제어하는 Geotextile공법을 적용한 결과, Geotextile이 다른 공법에 비해 비점오염원 유출량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Check dam과 Silt fence는 공극에 의한 부유물질 제거 기능이 일부 있으나, 전반적으로 일시적 저류에 의한 침강효과로 오염물질을 제거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가설 형식 처리 시설의 경우, 처리 효율이 낮아 주변 민원 또는 수계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부가적으로 가압식 여과 방법을 통해 연계 처리한 결과 만족할 만한 방류 수질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여과 방법은 여과 속도와 유입 부하량에 따라 처리 가능한 부하량이 결정되며, 효과적 운전을 위해서는 전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 PDF

서낙동강 유역 해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한 비점오염관리대책 효과 분석 (Assess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Strategi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Haeban Stream of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 김예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서낙동강을 구성하는 소유역 중 대지면적 비율이 크고 인구밀도가 높은 해반천 유역의 유출 및 수질을 모의하기 위한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모형을 개발하였다. 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부하량을 관리하기 위한 세 가지 시나리오가 개발되어 모형에 적용되었고, 오염부하량의 감소와 부하지속곡선에 대비한 수질 기준 초과율이 분석되었다. 시나리오는 비점오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도로 청소, 다양한 저영향 개발 기법을 고려한 유출 저감 조치, 그리고 강으로 들어가는 비점오염원을 완화하기 위한 유입 저감 조치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김해시의 도로 청소 차량 수와 같은 실제 조건이 고려되었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적용 가능한 토지 이용별 면적의 50%에 저영향 개발 기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적용되었다. 모든 세 가지 조치를 적용한 결과, BOD 오염 물질 부하가 58.28%, T-N은 58.49%, T-P는 51.56%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5년간 누적된 수질 측정의 60번째 백분위수를 목표 수질로 설정하고 구축된 유량지속곡선에 의한 초과율분석 결과, 결과적으로, BOD의 경우 조치 적용 전 41.57%의 초과율이 조치 후 16.32%로 감소하여, 초과율이 25.25% 감소하였다. T-N의 경우 조치 전 40.31%에서 조치 후 22.84%로, T-P의 경우 62.43%에서 27.22%로 감소하였다.

TOPSIS를 이용한 서낙동강 유역 비점오염 취약지역 평가 연구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Vulnerable Areas In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TOPSIS)

  • 갈병석;박재범;김예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9
    • /
    • 2021
  • 본 연구는 낙동강수계 하류에 있는 서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 및 오염원 특성을 조사하여 TOPSIS(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방법에 따른 소유역별 비점오염 취약지역을 평가하였다. 선정 방법은 평가인자 선정, 가중치 산정, 평가인자와 가중치를 통한 비점오염 취약지역 선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중치 산정방법으로는 엔트로피법을 이용하고 평가기법으로는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인 TOPSIS를 이용하였다. 지표 자료는 2018년을 기준으로 수집하였으며, 전국오염원조사 자료와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취약한 유역들은 대부분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이며 거주 인구수가 많고 산업시설 및 토지계 중 대지면적 비율이 높은 유역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 높은 비점오염 취약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중치 방법론의 접근이 필요하고 비점오염원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과학적 분석 및 영향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유역 비점오염원처리를 위한 적정 인공습지 규모결정에 관한 연구(지역환경 \circled1) (A Study of Design Conditions for Decision Area of Constructed Wetland to treat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Agricultural Area)

  • 장정렬;박종민;권순국;윤경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90-499
    • /
    • 2000
  • Several studies on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treatment systems by wetlands are on going because of their benefits of low construction cost and high efficiency of waste water treat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necessary contents of survey and design factors for constructing constructed wetlands and to examine the required wetland area to treat non-point source pollution through case studies. The measurement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precipitation period is needed to analyse the inflow characteristics of the non-point pollution an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esign flow. The design inflow for constructing constructed wetland was determined to the total runoff from 30mm of daily rainfall in the AMC(III) condition of the SCS method and is similar 70% of the annual mean runoff. The natural type wetland system with 0.1m of water depth and 5 hours of detention time was applied. From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70% of inflow could be treated and 1∼3% of wetland area of the total basin is needed.

  • PDF

저류지, 습지여상, 생태호안이 연계된 수처리 시스템 (Continuous Treatment System of Detention Pond, Wetland and Ecological Revetment)

  • 서대석;김봉균;박준석;손승욱;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51-651
    • /
    • 2015
  • 최근에는 그동안 추진했던 점오염원 중심의 하천수질관리에서 벗어나 비점오염원도 중요한 오염물질로 고려되어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설치 사례를 살펴보면 각각의 요소 기술들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하천의 경관성을 훼손시키고 오염원 차단 및 저감 효과를 상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 운전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요소기술의 개별 평가가 아닌 요소 기술들의 통합적 운영에 대한 성능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선정된 요소기술은 비점오염원 저감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저류지, 인공습지, 호안을 선정하여 각 요소기술별 개별 운전과 연계처리 운전을 비교 분석하여 수질정화 능력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