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Non 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ies in Construction Site

건설 현장 내 비점오염원 처리 시설의 제거 특성 평가

  • 최영화 (블루그린링크(주)) ;
  • 정설화 (블루그린링크(주)) ;
  • 김창용 (지에스건설(주) 환경기술팀) ;
  • 김효상 (지에스건설(주) 기술본부) ;
  • 오지현 (지에스건설(주) 환경기술팀)
  • Received : 2009.01.28
  • Accepted : 2009.03.12
  • Published : 2009.04.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under construction and evaluate available pollution control methods. Suspended solid loading is high when soil disturbs by rainfall and this phenomenon is much more severe at the initial stage of construction than at the final one. There are three methods available for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which are check dam, silt fence, and geotextile. Check dam and silt fence are for control of suspense solids and geotextile is for preventing soil erosion during rainfall. They can be installed as temporary control facilities at construction sites. From the comparison of those methods, it was found that geotextile method was the most efficient for the runoff control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Check dam and silt fence can remove suspense solids by pore spaces to some degree, but the removal of pollutants mainly occurs through sedimentation. Because the temporary control facilities have limited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 they often cause civil claims and contamination of water environment. Hence, using a pressurized filtration system along with temporary control facilities, highly enhanced treatment efficiency was anticipated. In addition, the loading capacity of these techniques depends on filtration velocity and input loading. And their pre-treatments are necessary for efficient operation.

본 연구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발생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 기술들을 적용하여, 각 시설별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설 현장의 공사 단계별로 비점오염원의 발생 특성을 보면, 공사 초반 즉, 토양 피복 상태가 교란되어 있는 경우, 강우 시 부유물질 부하량이 높게 나타나며, 강우 강도에 대한 민감도가 공사 후반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설 현장에서 가설 형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는 부유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Check dam, Silt fence 공법과 강우 시 토사 유실을 원천적으로 제어하는 Geotextile공법을 적용한 결과, Geotextile이 다른 공법에 비해 비점오염원 유출량 제어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Check dam과 Silt fence는 공극에 의한 부유물질 제거 기능이 일부 있으나, 전반적으로 일시적 저류에 의한 침강효과로 오염물질을 제거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가설 형식 처리 시설의 경우, 처리 효율이 낮아 주변 민원 또는 수계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부가적으로 가압식 여과 방법을 통해 연계 처리한 결과 만족할 만한 방류 수질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여과 방법은 여과 속도와 유입 부하량에 따라 처리 가능한 부하량이 결정되며, 효과적 운전을 위해서는 전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7), 제2차 건설환경기본계획, pp. 63-109.
  2. 박상우, 오재일, 최영화, 서정우 (2007), 도로노면 유출수의 비점오염원 배출 특성(1): 기본 수질 항목, 대한상하수도학회지, Vol. 21, No. 2, pp. 225-233.
  3. Andrew D. Eaton, Lenore S. Clesceri, Eugene W. Rice, Arnold E. Greenberg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WWA, WEF, Washington DC.
  4. Barbara Alice Eiswerth (2003), An Evaluation Soil Erosion Hazard : A Case Study In Southern Africa using Geomatics Technologies, Ph. D, Univ of Arizona, pp. 233-237.
  5. Caltrans (2002), Caltrans Construction Sites Runoff Characterization Study : Monitoring seasons 1998-2002. CTSW-RT-02-055, pp. 5-1-5-8.
  6. Caltrans (2003), Construction site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field manual and troubleshooting guide. CTSW-RT-02-007, pp. 11-52.
  7. Caltrans (2003), Storm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 Handbook construction : Appendix A. General permit, pp. 347-400.
  8. Nelson, J. (1996), Characterizing Erosion Processes and Sediment Yields on Construction Sites,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Alabama, Birmingham, p.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