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 학습성과 및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이윤경;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814-8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S 여자대학교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비대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ning: PBL)강좌에 참여한 학습자의 학습성과 및 학습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학습전략(동료학습 전략, 비판적 검토 전략, 정교화 전략, 초인지 전략 및 온라인 프로젝트 활동)과 학습 만족도에 관한 질문 총 28개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2020학년도 프로젝트 기반 학습강좌에 참여한 학습자 중 300명(1학기 210명, 2학기 90명)이 참여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1학기와 2학기 모두 사후 설문조사 결과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학기 모두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강 후에 학습전략 평균이 향상하였다. 프로젝트 활동이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며, 수업에 참여도를 높인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화된 비대면 학습환경에서의 PBL 연구가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비대면 원격 소프트웨어교육의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Non-face-to-face software education)

  • 문주영;신승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87-1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진행된 A초등학교의 소프트웨어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으로 인해 신학기 개학이 계속 연기되었고 마침내 2020년 4월 9일, 온라인 개학과 함께 1학기가 시작되었다. 비대면 원격수업을 진행하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고. 학생들은 수업 중 어려움을 교사가 아닌 인터넷 검색이나 프로그램 자체 힌트로 해결해야만 했다. 수업 후 자기평가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코딩 실력의 상승이 없다고 답을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교는 학생들에게 스마트 기기를 추가로 대여해주고 수업과 실습이 동시에 가능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해주어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해야한다. 코로나 19 이후 원격수업은 수업의 한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았다. 따라서 소프트웨어교육도 원격수업에 맞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비대면 설계교과목의 학습성과(PO) 평가체계 개발 (A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PO) Evaluation System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 이규녀;박기문;최지은;권영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21-29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ise a BARS evaluation system as a performance evaluation plan for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and to verify the validity through the expert FGI as the remote education is highlighted as a new normal standard in the post corona epoch.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is a competency centered subject that allows you to develop the engineering and majoring knowledge and its function and attitude, and the achievement of program outcome is the objective competency, and the researcher proposes the BARS method evaluation, one of competency evaluation method, as a new performance evaluation plan. Second, for the evaluation of PO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the researcher deduced 20 behavior identification standard(anchor) of BARS evaluation system, and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 per 4 levels. Third, as the evaluation tool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the presentation data(PPT), presentation video, product such as trial product(model), non-face-to-face class participation video, discussion participating video, team activity report, and result report for the evidential data of BARS evaluation were appeared as proper. Finally, the BARS evaluation plan of non-face-to-face capstone design would be efficiently mad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plan, the establishment of grading standard of BARS evaluation scale, the determination of evaluation subject and online BARS evaluation site.

대학생의 원격수업에서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Immersion in College Remote Classes)

  • 우희영;구민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30
    • /
    • 2023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learning immersion in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Methods: During COVID-19, a survey was conducted on 140 college students who were taking non-face-to-face remote courses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Independent t-test, ANOVA, and Hierarchial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dows version 27.0). Results: In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learning immersion was the student's self-efficacy, followed by instructor presence, class participation, lecture satisfaction, and credits. Conclusion: Instructors who teach major courses at college need to develop and apply ways to enhance learners' self-efficacy and class content that can boost learners' motivation in order to maximize learners' learning immersion. In order to facilitate learners' access to online media and maintain their interest in remote classes, passionate efforts need to be made by active instructors.

Development of Subject-Convergent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ore Principles of Support Vector Machines

  • Hwang, Yuri;Choi, Eunsun;Park, Namj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42-46
    • /
    • 2022
  •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o li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s gradually emphasizing convergence education and software education.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this paper suggests subject-convergent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educating core principles of Support Vector Machines, especially targeting elementary learners. Based on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of three subjects are integrated. After printable worksheets for traditional face-to-face classes had developed, they were transformed to online interactive worksheets for non-face-to-face classe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expected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learners' academic motivation and knowledge.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회교육 (Church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 유재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3-37
    • /
    • 2020
  •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전파력과 치사율에 주목한 WHO는 글로벌 비상사태를 선언했으나, 효과적인 치료제를 확보하지 못한 채 상황이 악화되자 팬데믹으로 상향 조정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자가 격리 및 여행 제한에 따른 경제위기 때문에 자유무역 중심 세계 경제체제 붕괴와 세계화의 퇴조가 거론되고 있다. 팬데믹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정치리더십이 도전받고, 사회는 비접촉과 부동성 문화로 급속히 전환 중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탈학교화라는 개념이 디지털 매체를 통해 물리적 공간에서 현실화하고 있다. 교회교육 역시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교회들은 팬데믹에 관한 신앙 및 신한적 성찰, 온라인 예배와 체계적인 신앙교육, 그리고 비대면 중심의 목회까지 포괄하는 이른바 뉴노멀을 기대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교육은 급변하는 주변 상황에 부응해서 적극적으로 대안을 모색하면서 의미 있는 기독교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교육신학을 새롭게 재구성해야 한다. 아울러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결합한 모바일(또는 온라인) 교회학교를 운영하는 한편, 비대면과 면대면 학습을 혼용하는 학습방식(Blended Learning)을 도입하고, 교회학교와 홈스쿨링을 결합해서 교회와 가정이 교육의 책임을 분담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과학 융합 교육프로그램 설계 : 콘텐츠를 활용한 STEAM을 중심으로 (Art Science Convergence Curriculum Desig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Focusing on STEAM with Contents)

  • 박성원;이혜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1호
    • /
    • pp.53-61
    • /
    • 2021
  • The year 2020 was a time when the coronavirus infections-19 (COVID-19) caused various changes in society. In particular, the fields that have been conducted face-to-face have been greatly confused by the transition to an online non-face-to-face method, and this is the case with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are two main advantages of offline education. The first is that we can improve our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the second is that we can develop social skills through interaction with friends. But as online classes progressed due to corona 19, interaction could not be achiev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for learning has been reduced due to difficulties in real-time feedback, and the participation rate has been significantly lowered, especially in lower grades, raising concerns about the learning gap that will occur after corona 19.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as effectively as offline classes by utilizing various content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e use of content. Teachers generally improved the quality of education by linking interesting sights and videos that enhance learning comprehension. The provided video conveys learning-related content into stories, enabling intuitive observation. Many students were already enjoying these videos through VOD (Video on Demand) such as TV and YouTube, they were able to connect their easy access to content and interest in learning. Appropriate use of video content has rather increased the learning effect and should continue after corona 19.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ologies that apply video content efficiently to educ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 steps that needed content appl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nd observed its meaning. Students were curious about the content, motivated to learn and participated in learning on their own. Intuitive learning, conducted through appreciation, play and content product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rn on their own in everyday life.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Pattern recognition and AI education system design for improving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e-learning) education)

  • 이해인;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 PDF

비대면(이러닝) 교육 성취도 향상을 위한 패턴인식 및 AI교육 시스템 설계 구축 (Pattern Recognition and AI Education System Design Proposal for Improving the Achievement of Non-face-to-face (E-Learning) Education)

  • 이해인;김의정;정종인;김창석;강신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0-283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이러닝 컨텐츠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 및 수업 성취도 및 교육 효과를 높이고 웹 서버를 활용해 인공지능 수업 시스템을 설계를 제안 하고자 한다. OpenCV를 이용한 얼굴과 눈동자 추적의 기능을 사용하여 출석 및 집중도 파악하고 수업 중간에 교수자가 질문하는 문제에 음성 또는 메시지로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학습자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지루함을 해소하고 주자별 테스트를 통해 기준 점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교육 자료 및 영상을 제공하여 학업 격차를 해소하고 학업에 대한 성취도를 향상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시스템 설계를 구축하였다.

  • PDF

오프라인 면대면 수업과 비동기식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 'HTML5 웹 프로그래밍' 과목의 강의평가 및 기말고사 문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between offline face-to-face classes and asynchronous online classes - Focusing on lecture evaluation and a final exam question in the 'HTML5 Web Programming' course)

  • 권종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37-5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COVID-19) 대유행 이후 전 세계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비동기식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오프라인 대면으로 진행되고, 2020년에 코로나로 인해 비동기식 온라인으로 진행된 HTML5 웹프로그래밍 과목의 강의평가와 기말고사 문항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수업방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는 않았지만, 전체 교과과정의 온라인 수업 적용에 대한 우려와 달리, 동영상 기반 온라인 수업의 강의평가와 기말고사 점수가 높게 나타나 향후 온라인 수업의 구성과 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오프라인 수업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