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aqueous Dispers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저온균일침전법으로 제조된 루틸상 TiO2분말의 분산 안정성 (Dispersion Stability of Rutile TiO2Powder Obtained by Homogeneous Precipitation Process at Low Temperature)

  • 배현숙;박순동;김흥희;이창규;김선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8-44
    • /
    • 2002
  • 여러 종류의 전해질이 존재할 때, 수계 및 비수계 분산매체에서 저온균일침전법으로 제조된 침상형태의 일차입자를 갖는 나노 크기의 루틸상 TiO$_2$분말에 대한 분산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제타전위 측정은 수계 및 비수계 분산매체에 전해질 첨가가 TiO$_2$입자 표면의 전위 역전을 유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수계 분산매체에 분산되어 있는 TiO$_2$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반발력은 수계 분산매체에서보다 크게 관찰되었고, 이것은 점도, 유전 상수와 같은 유기 용매의 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H, 전해질의 농도와 이온의 원자가는 TiO$_2$입자의 표면전위를 크게 변화시켰고, TiO$_2$입자의 분산 거동을 사실상 주도하였다.

비수계 테잎성형공정의 유기공정변수의 변화에 따른 티탄산바륨-붕규산염유리계 현탁액의 분산안정성 (Effect of Organic Processing Parameters in Non-aqueous Tape-casting on Dispersion Stability of Barium Titanate-Borosilicate Glass Based Suspensions)

  • 여정구;최성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3권11호
    • /
    • pp.725-731
    • /
    • 2003
  • The effect of organic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BaTiO$_3$-based dielectric particles and borosilicate glass particulate suspensions was investigated in a system where organic solvents, dispersant, binder and modifier were used as processing additives in a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fabrication processes. Two- and three-component organic solvents were used to disperse ceramic particles and it was found the better stability in the particulate suspension prepared in a bi-solvent, which was consists of toluene and ethanol in a non-azeotropic composition. The addition amount of organic additives had a great impact on dispersion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flow curves of the suspensions prepared with binder and modifier were fitted according to the power-law equ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spension could be disturbed under the applied shear stress. Finally, the LTCC green tapes were successfully tape-cast based upon the optimum formulation of LTCC suspension and its microstructur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hard-agglomerates.

비수계 분산중합에 의한 환경친화적 아크릴 수지 합성의 최적화 연구 (Optimum Condition for Non-Aqueous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Acrylic Resin)

  • 오대근;이경훈;김완태;민병훈;정대원;이종두;김정호
    • 공업화학
    • /
    • 제19권4호
    • /
    • pp.370-375
    • /
    • 2008
  • 비수계 분산(NAD : non-aqueous dispersion) 중합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아크릴 수지를 합성시 최적의 중합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중합된 고분자 입자들 간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의 적정량은 20 wt%로 나타났고 안정된 NAD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혼합 용매의 적정 혼합비는 지방족과 방향족 용매의 비율이 80 :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NAD 수지의 점도는 반응시간뿐만 아니라 개시제의 양 및 교반 속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AD 수지의 입자 크기 및 분포도, 안정제의 양, 개시제의 농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량체의 투입시기는 단량체를 초기에 모두 투입하면 용매의 극성이 증가하여 입자의 크기가 커져서 입자의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단계별로 지속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수계 분산중합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아크릴수지의 합성 (Polymeriz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crylic Resin by Non-Aqueous Dispersion)

  • 오대근;김정호
    • 청정기술
    • /
    • 제13권3호
    • /
    • pp.208-2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비수계 분산중합(NAD)을 이용하여 $0.1\;{\mu}m$에서 $1\;{\mu}m$ 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환경친화적인 아크릴 수지를 제조하였다. 1 단계에서 안정제를 제조한 후 2 단계에서 안정제에 아크릴 단량체를 투입하여 NAD수지를 제조하였다. 적정 점도의 NAD수지를 합성하려면 안정제도 1000 cP 이상의 점도를 가진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위해서는 안정제 중합 시 단량체와 개시제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NAD수지 중합시 안정제의 양은 적정량을 투입하는 것이 필요하고 적정량 이상에서는 더 이상 NAD수지의 점도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합 단량체의 조성 선택 시에도 용해도 상수 차이 등의 요인으로 입도분포가 두 가지로 나올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단량체를 투입하여야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다양한 분산제에 의한 AlN-Y2O3 혼합분말의 비수계 용매 중 분산특성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AlN-Y2O3 Powder Mixture by Various Dispersants in Non-aqueous Solvents)

  • 김신;방상우;황인준;윤상옥;신현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24-331
    • /
    • 2014
  •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AlN-4.5 wt% $Y_2O_3$ powder mixture by various dispersants were investigated in ethanol and methyethly-ketone (MEK) solvents. In general, the cationic polymer dispersants demonstrated superior dispersion of the powder as compared to the non-ionic ester-type dispersants or anionic phosphate-ester-based ones. The dispersion performance of the cationic polymer dispersants was sensitive to the type of solvent. An anhydric maleic-acid-based graft copolymer dispersant, AFB-1521, demonstrated a very good dispersion capability in ethanol but exhibited a much inferior dispersion in MEK. On the other hand, the dispersion of the powder mixture was very good with a phosphate-ester-based block polymer dispersant, BYK-111, in MEK solvent, while dispersionwas much degraded in ethanol.

EVALUATION 01 OIL DISPERSION AGENT BY ASSESSMENT 01 COLOR STRENGTH 01 ORGANIC PIGMENT

  • H., Young-Chan;R., Seo-Joon;L., Dong-Wook;H., Soon-Taek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3-80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the suitable oil dispersion agent by assessment of color strength of organic pigment in non-aqueous systems. Organic pigment is used as a color expression material with other body pigments in the make-up products. But occasionally aggregation or agglomeration occurs for the lack of affinity with medium, This function is the cause of disturbing homogeneous dispersion, and then bring about an instability of products. Our study, research of dispersion mechanism between the pigment and oil phase, has been executed to solve this problem, and find a oil dispersion agent having optimum dispersion condition. Generally dispersion is related to between the solid-liquid mutual properties and electrical phenomena associated with solid-liquid interface. This factor is determined to input energy, milling time, optical properties, particle size, rheological properties, etc. Ideal dispersion state is told that coloring primary solid particle is homogeneously dispersed in medium. Good dispersed colorants are strongly and clearly appeared. We are already known that the particle size of organic pigment, chemical properties and viscosity of medium, refractive index. Consequently We determine the affinity of medium and organic pigment by measuring of color strength in the same mechanical condition. UV-VISIBLE RECORDING SPECTRO PHOTOMETER is used for measuring apparatus. We can decided the dispersion level of oil dispersion agent by measuring absorbance of color strength in the visible range that diluted medium for colloid colorant particles.

  • PDF

비수계 분산중합으로 제조된 환경친화성 아크릴수지/나노클레이 복합재료의 특성 연구 (Properties of Eco-friendly Acrylic Resin/Clay Nanocomposites Prepared by Non-aqueous Dispersion (NAD) Polymerization)

  • 김영호;이민호;전현열;이영철;민병훈;김정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120-12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과 소량의 스티렌 모노머에 나노클레이인 순수한 몬모릴로나이트(Pristine monmorillonite: PM) 또는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30B 또는 25A)를 첨가한 후 비수계 분산(NAD) 중합에 의해 환경친화성 아크릴/나노클레이 NAD수지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나노클레이가 이 NAD 수지의 중합물성 및 복합재료의 물리적 물성에 주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중합 후의 NAD 수지의 입자 균일성 측면에서 나노클레이는 초기에 안정제와 함께 투입하는 것이 유리하였고 중합된 NAD수지의 고형분, 산가, 점도 결과에서는 유기화제로 개질된 25A를 첨가할 경우가 다른 나노클레이를 첨가할 경우보다 좋은 물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5A첨가 NAD수지는 GPC 측정시 분자량의 증가와 다분산지수의 감소로도 좋은 물성이 확인되었다. 나노클레이 25A가 수지내에 잘 분산된 것은 XRD결과에서 나노클레이의 층간거리 증가로 확인 되었고 열적 물성 측정 결과와 동적 기계적 물성 측정에서도 나노클레이 25A를 포함한 NAD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탄성율 또한 25A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비수계 분산중합에 의해 아크릴/나노클레이 NAD수지를 제조할 경우에는 나노클레이로 25A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ispersion Stability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 the Presence of Poly(styrene/$\alpha-methyl$ styrene/acrylic acid) Random Terpolymer

  • Chang, Woo-Hyuck;Cheong, In-Woo;Shim, Sang-Eun;Choe, Soon-J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5호
    • /
    • pp.545-551
    • /
    • 2006
  • Aqueous dispersions of pristine and functionalized (COOH- and $NH_2$-)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types of surf act ants: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ionic), PEO-PPO-PEO (Pluronic P84, non-ionic), and poly(styrene/$\alpha-methyl$ styrene/acrylic acid) random terpolymer, i.e., alkali-soluble resin (ASR). The aggregate size, $\zeta-potential$, and storage stability of the MWNT aqueous dispersions were investigated by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and the turbidity method at room temperature. The exfoliation of the MWNT aggregates was determined by a UV-visible spectrophotometer and the morphology of the surfactant-coated MWNTs wa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n all cases, ASR showed better dispersion stability with the smallest aggregate size, compared with the other surfactants, because of its unique molecular structure, i.e., randomly incorporated carboxylic acid groups and planar phenyl groups that can be irreversibly and effectively adsorbed on the MWNT surface. A predominantly-exfoliated morphology of MWNTs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ASR from the strong intensity of the UV-vis spectrum at 263 nm.

PVK-b-PVP 블록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안정한 비 수계 그래핀 분산액을 위한 용매-고분자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Solvent-Polymer Interactions for Stable Non-Aqueous Graphene Dispersions in the Presence of PVK-b-PVP Block Copolymer)

  • 박경태;;이향무;김영현;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18권3호
    • /
    • pp.109-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poly(N-vinyl carbazole) (PVK), poly(4-vinylpyridine) (PVP), PVK-b-PVP 블록 공중합체를 RAFT 중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ethanol, N-methyl-2-pyrrolidone (NMP), dichloromethane (DCM), tetrahydrofuran (THF)와 같은 비 수계 용매에서 그래핀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합성된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는 양성자 및 탄소 핵자기 공명 분광기($^1H-$, $^{13}C-NMR$),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ize exclusive chromatography, SEC), 시차 주사 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래핀 분산액의 분산 안정성은 Turbiscan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터비스캔 안정성 지수(Turbiscan stability index, TSI)를 측정,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용매, 고분자, 그래핀의 표면장력(${\sigma}$), 용해도 상수(${\delta}$)를 이용하여 물질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용매와 그래핀간의 용해도와 표면장력의 차이가 분산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래핀의 분산 안정성이 좋지 못한 ethanol 및 THF 용매 하에서 PVK-b-PVP를 사용하여 그래핀을 분산시킬 경우 낮은 TSI값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그래핀을 잘 분산시킨다고 알려진 NMP에 비하여 DCM이 더 좋은 그래핀 분산안정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다성분 용매와 암모늄계 분산제가 적용된 투명 유전체 프릿트 슬립의 분산거동 (Dispersion Behavior of Transparent Dielectric Glass Frits in the Multi-Solvent and Ammonium-Type Dispersant System)

  • 김주원;전영환;황종희;이상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635-639
    • /
    • 2006
  • Dispersion behavior of the slurries consisted of Pb or Bi-based glass frits, which are used for the fabrication of green sheet as PDP front panel transparent dielectric, was examined in non-aqueous solvent system. Measurements of sedimentation height and viscosit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roper dispersion condition in the various solvent and dispersant system. Azotropic compound and ethyl acetate were used as the solvent and ammonium-type dispersant was applied to the slurries. All slurries were dispersed well in azotropic solvent system involving 20$\sim$50 vol% ethyl acetate at 2$\sim$3 wt% dispersant content. Especially, dispersion behavior was notably improved in the addition of ethyl acetate in the Bi-based frit slu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