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Combustible Material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종량제봉투 내 폐자원에 대한 최적 처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Management Option of the Disposal of Resources Found in Standard Plastic Garbage Bags)

  • 박상준;김의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5호
    • /
    • pp.44-54
    • /
    • 2014
  • 인천광역시에서 배출되는 종량제봉투 안에는 재활용 가능자원이 4.5% (알루미늄캔류 0.2%, 철캔류 2.5%, 유리류 1.8%), 에너지회수가 가능한 자원이 92.5% (종이류 23.0%, 플라스틱류 15.5%, 가연성 기타류 54.0%) 및 매립이 필요한 불연성 기타류가 3.0%로 분석되었다. 알루미늄캔류, 철캔류 및 유리류는 기존의 매립처리보다 재활용처리가 효과적이며, 종이류와 플라스틱류는 기존의 단순 소각처리보다 폐기물 고형원료 (SRF)로 만들어 에너지회수처리하는 편이 더 효과적이고, 가연성 기타류는 기존의 단순 소각처리가 재활용처리보다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폐자원별 처리방안을 적용하면 2,068,948 Million Btu의 에너지가 절감되고, 21,008 $MTCO_2E$의 온실가스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에너지 절감량을 경제적 효과로 환산하면 연간 약 422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으며, 총 온실가스 저감량을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연간 약 4,119대의 운행감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량제봉투 내 가연성 물질의 저위발열량은 종이류 1,936 kcal/kg, 플라스틱류 5,079 kcal/kg, 가연성 기타류 2,462 kcal/kg로 분석되었다. 종이류와 플라스틱류를 적절하게 혼합한다면 SRF로 활용이 가능하고, 가연성 기타류는 저위발열량이 고형연료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구성성분들이 폐기물 고형연료로 사용하기엔 부적절하였다.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ulip Tree (Liriodendron tulipifera) for Use as Interior Building Materials

  • Min Ji KIM;Sang-Joon LEE;Sejong KIM;Myung Sun YANG;Dong Won SON;Chul-Ki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10-418
    • /
    • 2023
  •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lip tre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road-leaved afforestation tree in Korea, were analyzed.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the Tulip tree was analyzed by analyz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a total of three test samples; flame retardant treated,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and untreated. Then the flame retardance grade was classified for each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test samples showed the strongest flame retardance were in order of flame retardant treated (C),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B), and untreated (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heat emission and maximum heat emission rates, which is the evaluation standard for interior materials of Korean domestic buildings, test samples with flame retardant treat or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 treat were qualified for the flame-retardant standard.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samples showed higher total heat release (THR) and heat release rate compared to flame retardant-treated samples as the oil causes combustion with oxygen. On the other hand, they didn't qualify the THR in Quasi-non-combustible standard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other diffuse porous wood species, with which the Tulip tree is affiliated were analyzed, and noticed that the characteristic correlates with the density and quantity of w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lip tree.

마 섬유 혼입에 따른 고밀도 섬유 시멘트 복합체의 불연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Non-combustible Properties of High-density Fiber Cement Composites Mixed with Hemp Fibers)

  • 장경필;송태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14-320
    • /
    • 2022
  • 건축자재에서 사용되는 보강 섬유의 기능은 휨하중에 대한 저항력 유지,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 방지 기능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고밀도 섬유 시멘트 복합체는 주로 선형의 판재에 사용되는 것으로 휨 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인장성, 시멘트 수화물과의 결합력, 내알칼리성 등이 요구된다. 최근 불연성능 기준이 강화되어 고온 가열 시 불꽃 발생을 최소화해야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유기 섬유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 섬유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내열성이 우수한 마 섬유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 섬유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시멘트와의 친화력이 좋으며 알칼리 저항력 또한 우수하다. 기존의 배합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부피 총량을 기준으로 마 섬유를 대체하여 사용하여 불연성능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휨강도 등 기본 물리적 특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길이 7 mm의 마 섬유를 질량비 2 %, 3 %를 사용하여 불연 및 물리적 특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불꽃의 잔존 시간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휨강도는 기존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95 % 수준까지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ES 계열 덕트·배관 단열재의 내화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ractory Performance Verification of the Thermal Insulators for AES Ducts and Piping)

  • 함광호;사재천;이주환;민세홍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19-429
    • /
    • 2024
  • 연구목적: 소방용 배관 보온재의 불연성능 강화와 제연덕트 보온재의 내열성능 향상을 위해 AES소재 단열재의 성능을 시험을 통해 배관보온재 및 제연덕트 보온재에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AES 단열재에 대해 불연성능과 내열성능, 단열성능을 시험을 통해 검증한다. 연구결과: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근거하여 불연성 및 가스 유해성 시험 결과 불연성능을 확인하였고, 내화성능 표준시험 결과 내화성능도 확인하였다. 또한, 건축용 단열시험으로 단열성능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AES 계열 무기질 성분 단열재에 대한 성능시험으로 불연성능, 내화성능, 단열성능이 입증됨에 따라 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성능을 개선하는데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재활용 석고 부산물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흡음재 개발 연구 (A Study on Organic-Inorganic Hybrid Sound Absorbing Materials Using by Recycling Gypsum)

  • 신현규;전보람;하주연;전찬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81-4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유기계 소재의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무기계 바인더 용액에 함침시킴으로써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흡음재를 개발하였다. 무기계 바인더 용액은 ${\alpha}$형 반수석고에 60%의 물과 경화 지연제, 유동화제, 아크릴 수지 등의 혼화 재료를 첨가하여 슬러리 용액으로 제조하였으며, 무기계 바인더 용액에 함침시킨 유기계 스펀지를 함침, 가압탈수, 건조시킴으로서 특성평가용 시료를 제작하였다. 개발 시료의 흡음률을 임피던스 관내법을 이용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 NRC 흡음계수 값은 0.41로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흡음재들과 비교하여 2배 이상으로 우수한 흡음성능을 나타냈으며, 불연성능 시험평가 결과 준불연재료(2급)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축 내장재로서의 기초 시험평가 및 EL248. 규격에 따른 유해성분 시험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가 흡음재뿐만 아니라 단열 및 보온재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며, 유해성 기준을 만족하는 친환경 건축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00㎛급 글라스 버블 혼입 시멘트계 초경량 무기 단열재의 단열 및 난연특성 (Thermal Insulation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Cement Based Super Light-weight Inorganic Thermal Insulation using 100㎛ Grade Glass Bubble)

  • 손배근;송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42-649
    • /
    • 2021
  •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기준이 강화되면서 외단열 공법의 적용과 단열재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유기계 단열재는 시공성, 경제성 등 시공비용 절감 효과와 뛰어난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기계 단열재 특성상 열에 매우 취약하므로 화재 발생 시 급격한 화재확산과 유독가스 발생으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 무기계 단열재는 기본적으로 불연성능을 가지나 무겁고 유기계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글라스 버블은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밀도가 매우 낮고, 내부가 비어 있는 구형의 입자로 볼베어링 효과로 유동성이 개선된다. 또한, 무기계 단열재에 혼입하여 사용할 경우 밀도와 단열성능이 개선된다. 본 연구는 시멘트계 재료와 글라스 버블을 혼합하여 무기 단열재를 제조하였고 단열, 난연 및 불연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글라스 버블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열린 기공을 형성하고 있으나, 기공 및 셀 벽에 분포됨에 따라 충분한 단열성능을 보인다. 또한, 글라스 버블의 혼입률은 10%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igh Flame Retardancy and High-strength of Polymer Composites with Synergistically Reinforced MOSw and EG

  • Kim, Chowon;Lee, Jinwoo;Yoon, Hyejeong;Suhr, Jonghwan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5호
    • /
    • pp.359-364
    • /
    • 2022
  • Polymers are inherently vulnerable to flame, which limits their application to various high-tech industries. In addition, environmental regulations restrict the use of halogen-based flame retardants which has best flame-retardant effect. There are inorganic flame retardants and phosphorous flame retardants as representative non-halogen-based flame retardants. However, high content of flame retardants is required to impart high flame retardancy of the polymers, and this leads to a decrease in mechanical properties. In this research, a new approach for inorganic flame retardant-based polymer composites with high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was suggested. Inorganic flame retardants called as magnesium oxysulfate whisker (MOSw) were used in this research. MOSw can extinguish fire by releasing water and non-combustible gases when exposed to flame. In addition, they have reinforcing effect when added into the polymer with its high aspect ratio. Expandable graphite (EG) was used as a flame-retardant supplement by helping to form a more dense char layer.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requiring flame retardancy such as automobile, and architecture by replacing halogen-based flame polymer composites.

차량 전장부품 손상으로 인한 차량화재 사고사례 분석 (Analysis on the Fire Accident of Vehicle Due to Damage of the Vehicle's Electrical Components)

  • 박남규;김진표;남정우;사승훈;송재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38
    • /
    • 2015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vehicle fire accidents due to damage of vehicle's electrical components, which is applied to a vehicle. In recent develop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technology, approximately 40% of vehicle manufacturing parts have applied electronic circuit technology. Phenomenon such deterioration of insulating performance or electric breakdown on the vehicle's electrical components and printed circuit boards(PCBs) resulted from moisture, contamination and aging due to repetitive operations, lead to the vehicle fir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components with adequate electric capacity for vehicle and usage of molding techniques using a non-combustible materials to shut off the oxygen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prevent vehicle fire due to damage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and PCBs.

비산재로부터 유용성분을 회수하는 청정부유선별공정 (Clean Flotation Process to Recycle useful Materials from Fly Ash)

  • 한광수;김둘선;이동근
    • 청정기술
    • /
    • 제26권3호
    • /
    • pp.177-1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전량 폐기되고 있는 석탄재의 재활용 방안으로 석탄회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비산재로 부터 유용성분을 회수하고 이를 산업재로 활용하기 위한 청정부유선별 공정을 개발하였다. 비산재로부터 미연탄소(unburned carbon, UC) 를 회수하기 위해 비이온성 포수제인 등유 대신에 친환경 식물성 오일인 대두유를 사용하여 등유로부터 악취 발생을 예방하였고 부유선별 후 잔류물로부터 CM (ceramic microsphere)과 CA (cleaned ash)를 분리하기 위해 황산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hydro-cyclone를 사용함으로써 산성폐수를 발생시키지 않고 미립의 CM를 회수할 수 있었다. 등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여 UC를 분리할 때 보다 대두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였을 때, 대두유의 높은 점성으로 인한 UC의 흡착성 증가와 대두유에 포함된 리놀레산에 의해 부유성 향상으로 UC의 회수율이 85.8%로 높게 나타났다. 회수된 UC에 포함된 연소가능성분(combustible component, CC)은 모두 탄소성분으로 대두유를 사용하였을 때 탄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수된 UC는 표면이 거칠면서 기공이 많아 분쇄가 쉬워 미립화로 산업용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Hydro-cyclone을 이용한 입도선별 청정분리공정에 의해 회수된 CM과 CA는 구형 형상으로 입자들이 서로 뭉치지 않고 뚜렷하게 분리되었으며 입자의 평균직경(D50)은 5 ㎛로 미세하여 공정변경에 의한 CM의 미립화를 구현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