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sodimethylamin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9초

식사를 통한 N-Nitrosamine의 추정 섭취량 평가 (Assessment (If Estimated Daily Intakes of N-Nitrosamine by Diet)

  • 성낙주;신정혜;김연희;이수정;손미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5
    • /
    • 2002
  • 단체급식소 12개소의 식단을 수거하여 각 메뉴별 및 1인분식단별NA함량을 분석하였고 인공소화 기법을 활용하며 체내에서 생성 가능한NA의 함량을 예측하였다. 육류와 어패류를 주재료로 요리된 메뉴들의 인공소화 전.후N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멸치볶음에서 NDMA 함량이 흔적량~4.87$\mu\textrm{g}$/kg으로 가장 높았고, 채소류를 주재료로 한 메뉴들에서는 불검출에서 흔적량의 NDMA가 정량되었으며, 인공소화 후에도 흔적 량 이하로 정량되었다 1인 분량의 식사를 수거하여 인공소화 전 . 후의 NA를 분석한 결과NDMA는 인공소화 전 0.20~0.78$\mu\textrm{g}$/kg의 범위였으나 인공소화 후 에는 0.43~0.80$\mu\textrm{g}$/kg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상기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성인 1일 NA섭취량을 계산한 결과 0.60~2.34$\mu\textrm{g}$/day/person이며, 인공소화를 통한 체내에서의 생성량을 고려하면 최대 5.15$\mu\textrm{g}$/day/ person으로 추정된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수돗물 중 nitrosamine 화합물 분석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analytical conditions for the determination of nitrosamines in chlorinated tap water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한기찬;김희갑
    • 분석과학
    • /
    • 제23권6호
    • /
    • pp.551-559
    • /
    • 2010
  • 본 연구는 칼럼 전 유도체화와 HPLC-형광검출을 이용해 염소 소독 음용수 중 7가지 nitrosamine 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을 추출 과정(액-액 추출 vs. 고상 추출)과 형광 유도체화 과정(denitrosation 및 dansylation)으로 나누어 평가하여 확립하였다. 최적화된 유도체화 방법으로 두 가지의 추출법을 비교하였을 때, Ambersorb 572를 이용한 고상 추출에 대한 회수율과 재현성(상대표준편차, RSD)이 각각 54.4-88.7%와 1.9-19.4%로 액-액 추출의 51.4-87.7%와 4.2-33.3%에 비해 더 좋게 나타났다. 확립된 방법은 기존의 HPLC를 이용한 분석 방법에 비해 회수율과 재현성 모두 개선되었으며, 방법검출한계(method detection limits, MDLs)는 0.5-4.4 ng/L이었다. 이 방법으로 춘천의 염소로 소독하는 두 곳의 정수장과 10 곳의 수도꼭지에서 채취한 물 시료 중 nitrosamine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N-nitrosodimethylamine (NDMA)이 주요 화합물이었으며, 농도 범위는 26.1-112 ng/L이었다.

GC-MS/MS를 이용한 한강수계 및 상수도계통에서 N-nitrosamines 조사 (Investigation of N-nitrosamines using GC-MS/MS in Han-river Water Supply Systems)

  • 윤우현;이준호;이현주;이수원;안재찬;김복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0-418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nalysis method used for N-nitrosamines an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s of N-nitrosamines in tributaries of the Han-river, intake stations, water treatment plants and tap water used within the city of Seoul. The samples were pretreated through a solid phase extraction and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er (GC-MS/MS). The GC-MS/MS in CI mode was compared with the GC-MS/MS in EI mode by the method detection limits (MDLs). MDLs by GC-CI/MS/MS and GC-EI/MS/MS were 0.2 ~ 1.1 ng/L and 0.2 ~ 1.4 ng/L, respectivel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en tributaries of the Han-river (T1 ~ T10), six intake stations (I1 ~ I6), six water treatment plants (P1 ~ P6) and 25 taps in Seoul city. The maximum levels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were 0.013 μg/L, 0.008 μg/L, 0.006 μg/L and 0.002 μg/L in tributary water, raw water, finished water and tap water samples, respectively. Detected levels were much lower than 0.1 μg/L corresponding to the guideline value of WHO.

깍두기 숙성 중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during Fermentation of Kakdugi)

  • 성낙주;구경숙;신정혜;정미자;이수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3-39
    • /
    • 1999
  • Traditional kakdugi prepared from salted radish by the addition of fermented shrimp or anchovy sauce along with seasonings and spices, e.g., red pepper powder, garlic or ginger, which has been examined for the formation of volatile nitrosamine(NA) during its fermentation at 5oC and 17oC. Changes of acidity were increased; while, those of ascorbic acid and pH were continually de creased and besides concentrations of salt were scarcely observ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kakdugi at 5oC and 17oC. High initial levels of nitrate in radish followed by a gradual decreased in nitrate concentration, along with increasing levels of nitrite, during its ferment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kakdugi, NA such as N nitrosodimethylamine(NDMA) and N nitrosodiethylamine(NDEA) was identified; these NA in kakdugi that had been prepared with shrimp sauce contained in the higher levels than kimchi that had been prepared with anchovy sauce, and both NDMA and NDEA were detected higher levels in the fermented sample at 17oC than in the fermented sample at 5oC. In kakdugi, NDMA and NDEA levels were continually increased during its fermentation; its levels after 35 days fermentation at 17oC were 0.5~16.7 and 0~5.2 g/kg in added shrimp sauce sample, 0. 5~8.7 and 0~4.7 g/kg in added anchovy sauce sample and 0.4~4.8 and 0~2.4 g/kg in control, respectively. The occurrence of NA such as NDMA and NDEA appeared to arise from the fermented sauce and radish used in preparation of the kimchi.

  • PDF

멸치액젓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JM-3의 생리활성기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JM-3 Isolated from Anchovy Sauce)

  • 이상수;김상무;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84-689
    • /
    • 2003
  • 속성 발효 및 기능성 멸치액젓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 starter의 개발을 목적으로 전보에서 분리한 단백질 분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이 가장 우수했던 B. subtilis JM-3는 저온성 병원성 세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강하였으며,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80%이상 억제하는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N-nitroso compound인 NDMA 및 NMO에 대하여서는 약 50%의 변이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NU-1(사람의 위암세포)에 대하여 배양 원액 $20\;{\mu}L$를 첨가한 경우 88.9%의 높은 성장 억제율을 나타내어 기능성 멸치액젓 제조용 starter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본 균주의 기능성 멸치액젓 starter로서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서는 돌연변이에 의한 호염성 변이주의 유전적 육종이나 형질 전환 방법 등을 응용한 호염성 미생물과의 접목을 통한 내염성 균주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Strawberry, Garlic and Kale Consumption Increase Urinary Excretion of Dimethylamine and Trimethylamine in Humans

  • Chung, Mi-Ja;Lee, Soo-Jung;Shin, Jung-Hye;Sung, Nak-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9-23
    • /
    • 2003
  • Dimethylamine (DMA) is the immediate precursor of carcinogenic N-nitrosodimethylamine (NDMA).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using whole strawberries, and garlic and kale juic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concentrations of DMA and trimethylamine (TMA) in foods and urine. Experimental diets [an amino-rich diet as nitrosatable precursors in combination with added nitrate-containing drinking water without (TD1) or with whole strawberries or garlic or kale juices (TD2, TD3 and TD4, respectively), or a diet of low in nitrate and amino (TD5) were incubated in simulated saliva and gastric juices at 37$^{\circ}C$ for 1 hour. We also studied the urinary excretion of DMA and TMA after consump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TD1~TD5). Urine samples were obtained for 18 hrs after consumption of experimental diets and concentrations of DMA and TMA were measured in the digested diet and urine. The DMA concentration after incubation in experimental diets (TD1~TD5) was 4.7$\pm$0.3, 6.7 $\pm$0.2, 7.9$\pm$0.2, 7.1$\pm$0.2 and 0.3$\pm$0.1 mg/kg, respectively. Urinary excretion of DMA (TD1~TD5) was 22.0$\pm$5.0, 28.3$\pm$4.3, 29.2$\pm$4.1, 27.4$\pm$4.5 and 20.4$\pm$3.1 mg/18 hr, respectively. Consumption diets with added strawberries or juices of kale or garlic increased urinary TMA and DMA, suggesting that those precursors were excreted and not converted to the carcinogen, NMDA.

새우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fermented Small Shrimp)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0
    • /
    • 1998
  • 새우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후 8.1에서 숙성 110일 후 6.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중 NDMA함량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 산첨가구는 NDMA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실험 결과, 새우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5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과, 새우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멸치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6-613
    • /
    • 1997
  • 멸치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 후 7.1에서 숙성 110일 후 5.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 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 중 NDMA 함랑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NDMA 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 실험 결과, 멸치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8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 과, 멸치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Metabolic profiling of serum and urine in lactating dairy cows affected by subclinical ketosis using proton nuclear magnetic

  • Eom, Jun Sik;Lee, Shin Ja;Kim, Hyun Sang;Choi, Youyoung;Jo, Seong Uk;Lee, Sang Suk;Kim, Eun Tae;Lee, Sung Sil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2호
    • /
    • pp.247-261
    • /
    • 2022
  • Ketosis is associated with high milk yield during lactating or insufficient feed intake in lactating dairy cow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etabolomics of ketosis in Korean lactating dairy cow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rum and urine metabolites profiling of lactating dairy cows through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NMR) spectroscopy and comparing those between healthy (CON) and subclinical ketosis (SCK) groups. Six lactating dairy cows were categorized into CON and SCK groups. All experimental Holstein cows were fed total mixed ration. Serum an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of the neck and by hand sweeping the perineum, respectively. The metabolites in the serum and urine were determined using 1H-NMR spectroscopy.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etabolites was performed by Chenomx NMR Suite 8.4 software. Metabolit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Metaboanalyst version 5.0 program. In the serum, the acetoacetate level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the SCK group than in the CON group, and whereas acetate, galactose and pyruvate levels tended to be higher. CON group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levels of 5-aminolevulinate and betaine. Indole-3-acetate, theophylline, p-cresol, 3-hydroxymandelate, gentisate, N-acetylglucosamine, N-nitrosodimethylamine, xanthine and pyridox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the urine of the SCK group than that in the CON group, which had higher levels of homogentisate, ribose, gluconate, ethylene glycol, maltose, 3-methyl-2-oxovalerate and glycocholate. Some significantly (p < 0.05) different metabolites in the serum and urine were associated with ketosis diseases, inflammation, energy balance and body weight.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useful a future ketosis metabolomics studies in Korea.

한국 재래식 간장의 니트로소화합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N-Nitrosamine of Korean Ordinary Soysauce)

  • 성낙주;황외자;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5-135
    • /
    • 1988
  • 예부터 우리나라 특유의 조미료로 상용되어온 재래식 간장을 제조함에 있어 강한 발암성 물질인 N-nitrosamine(NA)의 생성유래를 밝히고, 나아가서 이들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써 몇몇 종의 식품첨가제를 이용하여 N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고, 동시에 NA 생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유리아미노산, dimethylamine(DMA),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변화를 검색하였다. 간장숙성중 DMA 질소는 다소간 불규칙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DMA의 억제효과는 ascorbic acid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가 DMA생성을 숙성초기에 크게 억제시켰으나 숙성말기에는 큰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질산염질소는 간장이 숙성되는 과정중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반면 아질산염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ascorbic acid가 가장 효과적인 식품첨가제였다. N-nitrosodimethylamine (NDMA)은 간장숙성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대조구의 경우 숙성 30일에 $2.7{\mu}g/kg$, 숙성 90일에 $10.7{\mu}g/kg$검출되었다. 그러나 N-nitrosodiethylamine(NDEA) 및 N-nitrosodipropylamine(NDPA) 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첨가제가 NDMA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판식염으로 제조한 간장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ascorbic acid 처리구가 $82.2{\sim}87.0%$, sorbic acid 처리구 $25.9{\sim}65.4%$ 및 sodium benzoate 처리구에서는 $13.2{\sim}63.5%$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순 NaCI로 제조한 간장중 NDMA의 함량은 ascorbic acid 처리구가 1.5㎍/㎏이하로서 대조구에 비해 NDMA의 생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간장중에 존재하는 유리아미노산이 NDMA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이 본 실험에서 밝혀졌고, 이중 특히 glutamic acid, proline 및 histidine이 주된 아미노산으로 추정되며 모델실험결과 간장중 유리아미노산을 제거할 경우 NDMA의 생성을 30.3%나 촉진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