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abilit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초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 홍주연;남학식;이양숙;윤경영;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3-419
    • /
    • 2006
  •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의 일환으로 추출용매별, 추출농도별에 따른 전자공여능, linolen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SOD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Linole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 또한 높아졌고,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SOD 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타나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저해정도는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다. 각 추출물과 pH의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결과는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물 추출물의 pH 1.2에서 77.35%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도 물 추출물에서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다.

기계식 및 재래식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s made by steel kiln and earth kiln)

  • 이범수;최상호;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19-724
    • /
    • 2002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켜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얻고 기계식 죽초액을 증류·정제하여 정제 죽초액을 얻은 다음 각각의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와 전자공여 효과 및 이들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죽초액을 $1{\sim}6%$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에서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pH 하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pH 1.2와 pH 3.0에서 뚜렷한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pH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져 pH가 6.0일 때에는 미미한 상태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일정한 농도와 pH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각각 663.4, 571.62, 485.16 ppm이었으며 증류·정제과정에서 함량이 감소되었다. 각각의 죽초액을 $0.2{\sim}1.2%$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 반응시간에 따르는 전자공여 작용 효과를 비교하였다.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각각의 죽초액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가 뚜렷하였고 일정시간 내에서 각 농도에서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는 죽초액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기계식 죽초액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래식 죽초액이나 기계식 정제 죽초액보다 기계식 죽초액에 페놀성 화합물이 더 많이 함유되어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Olea europaea L.) Fractions)

  • 최남영;이재환;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7-2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호주산과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이화학적 특성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주산과 스페인산 모두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2.7, 23.9%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물 분획물(1.5% 내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도 부탄올 분획물(18% 내외)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분획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능은 0-36.08%의 범위이었으며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36.08%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제거활성은 호주산 올리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6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와 함께 시료를 처리하여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정도는 호주산 올리브 잎 분획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산화억제활성이 나타난 반면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경우 몇몇 분획물에서 약한 산화억제활성을 나타냈을 뿐 산화억제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발암물질인 nitrosamine 생성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탄올 분획물은 nitrite 제거활성이 65.70, 73.10%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헥산과 물 분획물은 제거능력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ea-fungus 발효음료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Tea-fungus Beverage)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41-245
    • /
    • 2003
  • 기능성 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홍차, 감잎차, 솔잎, 쑥, 눈꽃 동충하초와 번데기 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부재료로 첨가한 배지에 tea-fungus를 접종하여 3$0^{\circ}C$에서 2주일간 발효시킨 tea-fungus 음료를 조제하였다. Tea-fungus 음료의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음료의 원액과 그 5배 희석액으로 나누어 항균활성, 항산화능과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Tea-fungus 음료의 항균활성은 솔잎과 눈꽃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첨가한 경우에 E. coli와 S. aureus에 대하여 모두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감잎차를 첨가한 음료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Tea-fungus 음료의 5배 희석액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음료의 전자공여능은 41-87%, 5배로 희석한 tea-fungus음료는 11-63%로서 솔잎과 감잎차를 첨가한 음료의 전자공여능이 높았고,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첨가한 음료에서 낮았다. Tea-fungus 음료의 아질산염소거능홍차를 첨가한 음료에서 63%, 감잎차 44%로서 높았으며 다른 부재료를 첨가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낮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수순(水醇)추출법으로 조제된 오공 약침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 김성철;서근영;이성원;박성주;김재효;안성훈;황성연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3
    • /
    • 2010
  • Reactive Oxygen Species(ROS) are continuously produced at a high rate as a by-product of aerobic metabolism. Since tissue damage by free radical increases with age, the reactive oxygen species(ROS) such as hydrogen peroxide($H_2O_2$), nitric oxide(NO).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related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arthritis, cardiovascular disease. Our reserch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clud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was 35.859mg/L. Elctron donation ability on DPPH was 36.82%. The 2,2'-azinobis-3-ehtlbe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 (ABTS) was 84.7%.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was 44.33%.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pH dependent, and were highest at pH 1.5(45.2%) and lowest at pH 6.0(11.3%). We conclude that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antioxidant.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on from DNA Damage by Water Extract from Pine (Pinus densiflora) Bark

  • Jiang, Yunyao;Han, Woong;Shen, Ting;Wang, Myeong-Hy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16-121
    • /
    • 2012
  • Water extract from Pinus densiflora (WPD)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its ability to provide protection from DNA damage. A series of antioxidant assays, including a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ssay, a reducing power assay, a metal-chelating assay, a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a nitrite scavenging ability, as well as a DNA damage protection assay were performed. Total phenolic content was found to be 211.32 mg Tan/g WPD. The extract scavenged 50% DPPH free radical at a concentration of 21.35 ${\mu}g/mL$. At that same concentration, the reducing power ability of WPD was high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The extract chelated 68.9% ferrous ion at the concentration of 4 mg/mL. WPD showed better nitrite scavenging effect at the lower pH. Meanwhile, WPD exhibited a strong capability for DNA damage protection at 1 mg/mL concentration.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water extract from Pinus densiflora could be used as a suitable natural antioxidant.

양파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 김현구;곽희진;권영주;정필호;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49-355
    • /
    • 2000
  • Onion was extracted by methyl alcohol and som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s on soybean oil, corn oil, lard and shortening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 antioxidants such as $\alpha$-tocopherol and BH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about 70% at concentration above of 30mg/mL.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all concentrations diminished at higher pH, while in the case of pH 1.2, it showed a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ore than 80% af concentration above of 30mg/mL. And also,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was good above 80%. The soybean oil, corn oil, lard and shortening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the onion extract were stored at 6$0^{\circ}C$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onion extracts. Peroxide value, acid value and TBA value of each oil were detected. Onion extract was very effective to retard oxidation of soybean oil, corn oil and lard, and especially, the very high antioxidative effect was observed for lard.

  • PDF

볶음전 증자처리가 둥굴레 근경의 수용성 성분 및 갈색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aming Prior to Roasting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on Its Water Solubles and Browning)

  • 권중호;임종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5-162
    • /
    • 1997
  • This work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eaming-Pretreatment on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oasted Polygonatum odoratum roots. Steaming treatments led to some reduction in the contents of water solubles, such as total solid, reducing sugar and free-amino nitrogen of the unroasted samples. Moreover, roasting processing caused decrease in reducing sugar and free-amino acid, with increase in total soluble solid and browning color of the samples, which showed the dependence of steaming treatment as well as roasting temperature.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nitrite-scavenging ratio of the samples were also highly developed along with roasting processing at 17$0^{\circ}C$ within 35min. Considering the physicochemical and some functional parameters of water extracts of roasted samples, roasting at above 14$0^{\circ}C$ for over 55min or at 17$0^{\circ}C$ for around 35min was recommendable for the higher quality of Polygonatum odoritum tea, which conditions were similarly adapted for both steamed and unsteamed samples.

  • PDF

미숙사과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 원향례;박미원;최무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unripened apple extracts. The amount of total flavonoids in the peel and 5/30 samples were 2.7times and 5.0 times higher than the flesh and 6/30 samples, respectively. The degree of angin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on activity in hot water extracts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In the 5/30 sample, a $0.1\%$ concentration of unripened apple powder showed almost the same electron-donating ability with a $0.5\%$ concentration of the 6/30 sample. More than $90\%$ of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observed from the peel extracts regardless of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acetone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5/30 sample were the strongest at pH 1.2, and especially the $80\%$ methanol extracts exhibited a powerful scavenging effect of more than $90\%$ at pH 3.0.

  • PDF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Germination Dependency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rown Rice)

  • 강보라;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9-394
    • /
    • 2006
  • 본 연구는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항산화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 2종(2.5 mm 발아, 5 mm발아)의 총 메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과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발아정도에 따라 활성이 달라졌다. 각 시료의 총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차이를 이용하여 hexane, EtOAc, 물로 분획하고 다시 각 분획물의 SOD 유사활성 및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분획물에서 발아가 더 많이 진행될수록 SOD유사활성이 증가하여 특히 5 mm 발아현미의 hekane 분획물과 EtOAc 분획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 50 ppm의 74.1%보다 우수하였으며, vitamin C 100 ppm의 94.0%과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EC_{50}$ 값 역시 발아정도에 따라 크게 낮아졌으며, 특히 vitamin C의 $EC_{50}$ 값이 38 ppm이었으나, 5 mm 발아현미의 EtOAc 분획물의 $EC_{50}$ 값은 17 ppm으로 분획물임에도 불구하고 vitamin C보다 더 낮은 농도에서 활성을 가졌다. Nitrite 소거능은 현미와 발아현미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H 1.5에서 물분획물의 $IC_{50}$ 값은 현미 325 ppm, 2.5 mm 발아현미 120ppm, 5 mm 발아현미 122 ppm으로 현미와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컸으나, 2.5 mm 발아현미와 5 mm 발아현미간의 차이는 적어 발아에 의해 더 낮은 농도에서 nitrite 소거능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hexane 분획물과 물분획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각각 9.88, 30.8 및 46.5 mg/kg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CCA 구성 성분은 방부목재로부터 환경 중으로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성분들이 인간과 생태계에 미칠 악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을 것으로 판단된다.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율무의 추출 효소는 chymotrypsin-like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smotic control group(A/B 25)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후기당화합물이 첨가된 경우에 SEM상 분리된 세포사이이음(intercellular junction)과 융합된 미세융모를 관찰할 수 있었다. BSA의 투과성은 일 주 배양 후 A30 dish에서만 일 주 배양 후 B5 dish에 비해 19%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 사구체 상피세포의 HSPG 형성의 감소에 고농도의 당과 후기당화합물은 서로 부가적인 역할을 하고 후기당화합물이 더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HSPG 감소 소견과 더불어 SEM상 장기간 고혈당을 유지하면 사구체 여과기전에서 size-selective와 charge-selective 장벽에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당뇨병에서의 단백뇨의 기전 중 하나로 생각된다. MAR 값은 군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과체중군(0.76)이 정상체중(0.73) 또는 저체중군(0.73)에 비해 높은 값은 보여주었다. 9. 철분은 과체중군(1.67)이 저체중(0.80) 또는 정상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